본문 바로가기
  • “'아 맞다' 반복하는 사보타주 직원···제가 왜 뽑았을까요?" [강홍민의 HR Insight]

    [한경잡앤조이=강홍민 기자] “몇 번을 얘기해도 바뀌지가 않아요. 이력서나 면접 볼 때 했던 것 중에 제대로 하는 게 없어요. 더 문제는 출·퇴근 시간 안 지키는 것부터 프로젝트 마감에 그 직원만 펑크를 내요. 참. 입으론 죄송하다고 하는데 안 보이는데 선 뒷담화나 하고···전생에 뭔 죄를 지어 제가 이 고통을 받는지 모르겠어요.” 전직원 6명이 근무하는 한 스타트업 대표의 하소연이다. 대화 내내 열을 올리며 이야기했던 ㄱ직원(사보타주 당사자)을 내보낼 방법을 고민했던 그는 뾰족한 수가 없다는 걸 알았는지 이내 포기한 듯 보였다. 현재 고용노동법상 특별한 이유 없이 해고가 어렵기 때문인데, 사실 사보타주만큼 권고사직이 확실한 이유가 또 있을까 싶다. 더군다나 모두가 일당백이 되어야 하는 스타트업 조직 특성상 대표부터 막내 직원까지 한 사람이라도 게으름을 피운다면 살아남기가 힘든 현실에서 사보타주는 큰 걸림돌 중 하나다.  사보타주(sabotage)란, 프랑스어의 사보(sabot:나막신)에서 나온 말로 중세 유럽 농민들이 영주의 부당한 처사에 항의해 수확물을 사보로 짓밟는 데서 유래됐다. 이 뜻이 변하고 변해 한국에서는 흔히 태업을 뜻한다. 다른 직원과 똑같이 월급은 받지만 일은 하지 않는 사람을 사보타주로 부르는데, 이들은 회사나 주변 동료들에게 막심한 피해를 주기 때문에 공공의 적으로 불린다. 셋 이상 모인 곳이면 사보타주 하는 사람이 있을 정도로 근절이 어려운 이 행태가 최근 스타트업 곳곳에서 목격되고 있다.   성장동력이 될 줄 알았던 그(그녀)가 개천을 흐리는 미꾸라지일 줄이야... 수년 간 직장생활을 하다 창업전

    2022.10.13 14:39:04

    “'아 맞다' 반복하는 사보타주 직원···제가 왜 뽑았을까요?" [강홍민의 HR Ins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