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대표 브랜드 1·2위는? '삼성전자·현대차'
브랜드 컨설팅 그룹인 인터브랜드가 제11회 ‘Best Korea Brands 2023(이하 2023년 베스트 코리아 브랜드)’ 오프라인 컨퍼런스를 개최하고, 대한민국 대표 50대 브랜드와 ‘Brands as Acts of Leadership-브랜드, 새로운 중력’이라는 주제의 브랜드 인사이트를 발표했다.2022년에 이어 2023년 베스트 코리아 브랜드 1위와 2위는 각각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가 차지했다. 삼성전자(1위)의 브랜드 가치는 102조 1,138억 원으로 전년 대비 19.9% 성장했으며, 현대자동차(2위)는 전년 대비 16.5% 상승한 20조 1,625억 원의 브랜드 가치를 기록했다.10.9%의 성장을 보이며 3위에 오른 기아(3위)의 브랜드 가치는 7조 6,994억 원, 네이버(4위)는 전년 대비 3.9% 하락한 6조 7,493억 원으로 나타났다. 뒤이어 SK텔레콤(5위)는 전년 대비 3.3% 상승한 3조 6,320억 원을 달성했다. 이들 최상위 5개 브랜드의 가치는 총 140조 3천억 원으로, 50대 브랜드 전체 가치의 약 69.8%를 차지했다.2023년 베스트 코리아 브랜드 1위와 2위에 오른 삼성전자(1위)와 현대자동차(2위)는 각각 전년 대비 19.9%, 16.5%의 성장률로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인 브랜드에도 나란히 이름을 올렸다. 이외에도 현대백화점(43위)은 전년 대비 13.1% 증가한 4,764억 원의 브랜드 가치를 기록했다.뒤이어 BGF리테일(38위)은 12.6% 상승한 5,963억 원을, 쿠팡(14위)은 9.4% 증가한 2조 1,944억 원의 브랜드 가치를 보유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6,437억 원의 브랜드 가치로 8.7%의 성장률을 보인 하이브(35위)는 39위에서 4계단 상승한 35위에 올랐다. 높은 성장률을 보인 이들 브랜드들은 차별화된 서비스로 소비자들의 일상 속 다양한 영역에서 브랜드 존재감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 연 매출 5조 원을 돌파하며 역대
2023.05.25 15:01:06
-
삼성가 세모녀, 한국 여성 주식부자 1~3위 ‘싹쓸이’
한국 여성 주식부자 순위에서 홍라희, 이부진, 이서현 등 삼성가(家) 세 모녀가 나란히 1~3위를 기록했다.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19일 국내 기업 총수 일가 가운데 여성 주식부호 상위 30명을 조사한 결과다. 지난 12일 종가 기준 세 모녀가 보유한 주식평가액은 23조7173억원으로 집계됐다.이는 코로나 발생 직전인 2020년 1월 20일 종가 기준 평가액(12조5632억원)과 비교해 88.8% 증가한 것이다.리더스인덱스는 “코로나19 유행으로 주가가 급락할 무렵 상속이나 증여받은 주식이 많았고, 이후 주가가 반등하면서 주식평가액이 크게 올랐다”고 분석했다.삼성가 세 모녀의 주식 가치는 고 이건희 회장 사망 이후 상속으로 받은 지분으로 169.6%나 증가했다.1위인 홍라희 전 리움 미술관장의 보유 지분 가치는 3조3791억원에서 7조7204억원이 됐다.2위 이부진 호텔 신라 사장 대표이사의 보유주식 가치는 5조9473억 원으로 팬데믹 이전 가치 1조7869억 원 대비 232.8% 증가했다.3위 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의 평가액은 5조775억원으로, 코로나 이전보다 184.1% 늘어났다.이어 최태원 에스케이(SK)그룹 회장의 동생인 최기원 에스케이행복나눔재단 이사장(7938억원)이 4위를 차지했다. 다만 주식평가액은 코로나 이전보다 31.5% 감소했다.구본무 전 엘지(LG)그룹 회장의 부인 김영식씨와 딸 구연경(엘지복지재단 대표)·구연수씨 등 세 모녀가 보유한 주식평가액은 1조895억원으로 코로나 이전보다 9.3% 증가했다.김씨의 주식평가액은 5845억원(5위), 구연경 대표는 4054억원(8위), 구연수씨는 997억원(18위)이다.신세계그룹 이명희 회장과 딸인 정유경 신세계 총괄사장의 주식평가액은 9191억원이덨다.이명희 회장은 정유
2023.05.19 16:23:50
-
500대 기업 매출 42곳 순위변동..에코프로비엠 234계단↑
지난 1년 새 국내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 중 SK온, 엘앤에프, 자이에스앤디, 카카오뱅크 등이 500대 기업에 신규 진입한 반면, 두나무, 부영주택, 씨젠 등은 탈락했다.10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작년 매출액 500대 기업을 조사한 결과 전년 대비 42개사가 교체된 것으로 집계됐다. 조사에 따르면 기업 작년 매출은 4060조2438억원으로 전년(3283조3329억원)보다 23.7% 늘었다. 영업이익은 236조88억원으로 전년(280조6842억원) 대비 15.9% 줄었다. 500위 기업 매출은 1조3086억원이었다. 2021년 1조973억원보다 19.3% 증가함에 따라 작년 매출 1조원을 넘기고도 500대 기업에 들지 못한 업체가 141곳이나 됐다.500대 기업 신규 진입 업체는 포스코(철강), SK온, 한국마사회, 엘앤에프 등 42곳이다. 2021년(39곳)보다 3곳 늘었다.기업별로는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가 각각 매출 302조2314억원, 142조5275억원으로 1, 2위를 차지했고, 매출 86조5590억원을 올린 기아가 5위에서 3위로 2계단 도약했다. GS칼텍스와 에스케이트레이딩인터네셔널도 ‘톱10 기업’에 신규 진입했다. 4위는 LG전자(83조4673억원), 5위는 한국전력공사(71조2579억원), 6위는 전년보다 1계단 상승한 한화(62조2784억원)로 집계됐다. GS칼텍스(58조5321억원), 메리츠증권(57조376억원), 에스케이트레이딩인터내셔널(54조4557억원), 하나은행(53조6672억원)이 그 뒤를 이었다.순위가 가장 많이 오른 기업은 지난해 대우건설을 인수한 중흥토건이었다. 중흥토건의 지난해 매출은 11조1065억원으로 전년 1조7675억원 대비 9조3390억원(528.4%)이나 폭증, 500대 기업 내 순위가 326위에서 75위로 251계단이나 뛰어올랐다. 배터리 양극재 생산능력을 크게 늘린 에코프로비엠도 지난해 매출이 전년보다 260
2023.05.10 11:28:59
-
잡코리아, 기업분석보고서 누적 조회수 1600만 돌파
[한경잡앤조이=이진호 기자] 취업 플랫폼 잡코리아가 제공하는 기업분석보고서 콘텐츠 누적 조회수가 1600만을 돌파했다. 잡코리아는 기업분석보고서가 구직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으며 25일 기준 누적조회수가 1635만 4820건을 넘어섰다고 밝혔다.기업분석보고서란, 구직 활동 전반에 필요한 핵심 자료들로 구성된 취업 전략 자료다. 잡코리아는 “신입직 구직자들이 어려워 하는 것 중 하나가 기업의 정확한 정보를 얻는 것”이라며 “실제 취업준비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취준생 5명중 4명이 기업에 대한 정보 부족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이에 잡코리아는 취업준비생들에게 정확한 기업 정보를 제공하고 취업 성공을 돕기 위해 2017년부터 기업분석보고서를 발간해 제공해 오고 있다.기업분석보고서는 1개의 기업당 △채용분석 및 기업정보 △최신 트렌드 분석 △재무제표 및 사업보고서 △고객·자사·경쟁사 분석 △TOWS 분석 등 5개 분석 자료로 구성된다. 구직자는 기업분석보고서를 통해 기업의 실적과 경영현황, 기업전략, 업계 최신이슈와 뉴스 체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정보를 확인하고 취업 시 활용할 수 있다.잡코리아를 방문하면 현대자동차, 삼성, SK, CJ 등 대기업의 기업분석보고서뿐 아니라, 외국계기업과 공기업, 그리고 쿠팡, 무신사, 오늘의집 등 MZ세대 구직자들의 관심도와 취업 선호도가 높은 유니콘 및 주요 스타트업들의 기업분석보고서 등 총 1962건의 자료를 무료로 확인할 수 있다.잡코리아 관계자는 "신입직 구직자들이 흔히 하는 실수 중 하나가 기업의 주력 사업과 현재 업계 상황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가지고 면접에 임하는 것
2023.04.27 09:38:14
-
"수출 어쩌나"…반도체 한파에 '경제 대들보' 흔들
‘경제 대들보’ 수출이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관세청에 따르면 4월 1~20일 수출액은 324억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1% 줄었다. 수출을 견인하던 반도체 타격이 컸고 최대 교역국인 중국 수출비중 크게 줄어든 영향이다. 4월 말까지 수출이 계속 줄면 7개월 연속 수출 감소를 기록하게 된다. 한국의 성장 동력이 멈추는 것이다.이에 누적 무역수지 적자는 역대 최악을 기록했던 지난해 절반 규모를 이미 넘어섰다. 20일 기준 올해 연간 누적 무역수지는 265억8400만 달러(약 35조3407억원)로 집계됐다. 이대로라면 14개월 연속 적자 기록도 경신할 전망이다. 4월 수출에서 자동차와 반도체의 위상이 바뀌었다. 자동차(348억5000만달러)와 자동차부품(123억9000만달러)을 합친 수출액은 472억4000만달러로 반도체 수출액(409억3000만달러)을 훌쩍 넘었다. 지금껏 수출 1위 품목이었던 반도체 수출은 39.3% 급감했다.반도체 수출은 지난해 8월부터 뒷걸음질을 치고 있다. 다만 1월(-44.5%)과 2월(-42.5%)에 비해선 다소 감소폭이 줄었다. 또 석유제품(-25.3%), 철강제품(-12.6%), 무선통신기기(-25.4%) 등 주력 품목 10개 중 8개가 줄줄이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반면 자동차(58.1%)와 선박(101.9%)은 호조를 보이며 수출의 버팀목 역할을 했다. 최대 교역국인 중국에 대한 수출 역시 큰 폭으로 줄었다. 대중국 수출은 이달 1~20일 사이 26.8% 급감했다. 대중 수출은 지난해 6월부터 연속 감소했다. 베트남(-30.5%), 일본(-18.3%), 대만(-34.0%),홍콩(-6.6%) 등도 수출 감소세였다. 김영은 기자 kye0218@hankyung.com
2023.04.21 22:00:02
-
삼성의 메모리 감산 결정, 주가는 올랐는데… "이러다 인텔 꼴 난다” 경고?
삼성전자의 메모리 반도체 감산 결정을 두고 시장의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 삼성전자가 감산을 공식화하자 삼성전자의 주가가 크게 오르는 등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삼성전자의 이번 감산 결정에 강한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영국의 유력 경제 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삼성이 지금처럼 반도체 D램 점유율 1위에 안주하면 인텔처럼 시장에서 뒤쳐질 수 있다”고 강력한 경고를 보냈다.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오랫동안 1위 자리를 지켜 온 삼성은 지난 4월7일 메모리 반도체 생산량을 줄이겠다고 발표했다. 삼성전자가 감산을 결정한 것은 1990년대 이후 처음으로 약 25년 만이다. 삼성은 그 동안 ‘인위적 감산은 없다’고 밝혀왔지만, 반도체 한파의 직격탄을 맞아 장을 바꿨다. 삼성의 반도체 사업은 올해 1분기(1∼3월) 영업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5.8% 감소했다. 글로벌 반도체 시장이 고전을 면치 못하면서 지난해부터 SK하이닉스, 마이크론, 키옥시아 등에서 감산에 돌입하고 있다. 메모리 반도체 점유율 1위 삼성전자까지 이와 같은 감산 흐름에 동참하는 것이다.시장은 반기는 분위기다. 삼성의 이례적인 감산 결정으로 반도체 시장의 ‘치킨 게임’ 우려가 해소될 것이라는 기대감이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위원은 4월19일 리포트를 통해 "삼성전자의 메모리 반도체 감산 규모가 시장 기대치를 크게 상회할 것으로 전망되며 3분기부터 수급개선 가능성이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삼성전자에 대한 외국인 투자도 몰리고 있다. 김 연구원은 "올 들어 삼성전자 외국인 순매수 규모는 6조8000억원을 기록해 외인 보유 비중이 51.52%로 연초 대비 1.85%p
2023.04.21 18:08:12
-
구글 “우리도 접는다”, 삼성에 폴더블폰 도전장…안드로이드 동맹 깨지나?
구글이 오는 6월 처음으로 ‘접는 스마트폰’인 폴더블폰을 선보인다. CNBC는 4월18일 구글의 내부 자료를 입수해 구글이 올 상반기 첫 폴더블폰인 ‘픽셀 폴드’를 출시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현재 삼성전자가 주도하고 있는 폴더블폰 시장에 구글이 도전장을 내민 것이다.구글은 다음달 열리는 연례 개발자 콘퍼런스인 ‘구글 I/O’에서 픽셀 폴드를 정식으로 공개할 예정이다. 문서에 따르면 '펠릭스'라는 코드명으로 알려진 픽셀 폴드의 가격은 1700달러(약 223만원) 이상에 책정될 것으로 보인다. 1799달러(약 237만원)인 삼성전자 ‘갤럭시Z 폴드4’보다는 저렴하지만, 지금까지 구글이 내놨던 스마트폰 중에서는 가장 비싼 가격이다.픽셀 폴드의 디스플레이 크기는 외부 5.8인치, 내부 7.7인치다. 한 번 충전하면 최대 24시간 사용할 수 있는 배터리를 탑재됐다. 무게는 10온스(283g)로 갤럭시Z 폴드4보다 약간 무겁다. 프로세서로는 구글과 삼성전자가 함께 개발한 텐서 G2가 들어간다. 구글측은 폴더블폰 중 힌지(접히는 부분·경첩)가 가장 튼튼하다는 점을 장점으로 내세웠다.구글은 사실상 삼성전자가 장악하고 있는 폴더블폰 시장의 공략을 위해 적극적인 마케팅을 준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픽셀 폴드 구매자에겐 자사 스마트워치인 ‘픽셀 워치’를 무료로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또 아이폰이나 다른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폰 이용자가 픽셀 폴드를 구매할 경우 일정 금액을 할인해주는 보상 판매도 진행한다.CNBC는 구글의 픽셀 폴드 출시 시기가 미묘하다는 점을 꼬집었다. 삼성전자가 갤럭시 스마트폰의 기본 검색 엔진을 마이크로소프트(MS) '빙'으로 교체를
2023.04.19 12:23:22
-
TSMC 공장 따라 '집값' 오르는 대만…고임금이 부동산 부채질
세계 최대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기업인 TSMC가 대만 집값을 끌어올리고 있다. TSMC가 생산기지를 확장하면서 고임금 일자리가 늘어나자 부동산 가격이 들썩이는 것이다. 블룸버그통신은 14일(현지시간) 대만 수도 타이베이에서 남서쪽으로 약 60㎞ 떨어진 신주가 반도체 산업이 주택 시장에 반도체 산업이 주택 시장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이 가장 잘 드러나는 지역으로 꼽았다. 중개업체 신이 리얼티에 따르면 신주 지역의 주택 가격은 지난 5년 동안 99%나 치솟았다. 대만 전 지역 평균치의 세 배에 달하는 수치다.TSMC 생산기지와 국책 연구 기관, 이공계 대학 등이 반도체 생태계를 이루고 있는 신주과학단지를 중심으로 집값이 상승하고 있다. 블룸버그는 과학단지와 30분 떨어져 있는 거리에 고급 아파트 단지가 건설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고급 상권도 형성되고 있다. 미슐랭 스타 셰프들 역시 이 지역에 새로운 식당을 열고 있다. 대만 통계청에 따르면 TSMC 등 반도체 업체의 초급 엔지니어 연봉은 100만 대만달러~200만 대만달러(4272만원~8540만원)다. 이는 대만 직장인 평균 연봉의 2~4배에 해당한다. 고임금을 받는 근로자들이 주말에 외제차 전시장을 찾거나 새로운 주택 개발 현장을 둘러보곤 한다고 블룸버그 통신은 전했다. 부동산 붐은 상대적으로 집값이 저렴한 남부지역까지 확산되고 있다. 신주 다음으로 주택 가격 상승률이 높은 도시는 남부의 타이난과 가오슝이다. 타이난에도 역시 TSMC 생산기지가 있고 가오슝에는 TSMC가 새로운 공장을 구축 중이다. 이 영향으로 타이난과 가오슝의 지난해 4분기 주택 가격은 1년 전보다 각각 9%, 14% 치솟아 전국 평균 상승률(7.6%)을 웃돌았다.타이베이에
2023.04.14 22:00:01
-
삼성카드, 삼성카드 쇼핑 서비스 일시 중단
삼성카드는 '삼성카드 쇼핑'의 시스템 개선 작업에 따라, 3월 22일 22시부터 24일 10시까지 '삼성카드 쇼핑' 서비스를 일시 중단한다고 밝혔다.이번 시스템 개선 작업은 지난 10일, '삼성카드 쇼핑' 서비스 개선 작업에 이어 진행하는 2차 개선 작업이다.서비스 개선 작업 시간 동안, '삼성카드 쇼핑' 홈페이지, 앱을 통한△로그인 △주문, 주문내역 조회 △교환, 반품 △Q&A 등의 쇼핑 서비스는이용이 불가하다.서비스 중단 일시는 작업 진행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삼성카드 쇼핑'의 서비스 일시중단 안내는 삼성카드 홈페이지, 앱과 '삼성카드 쇼핑' 앱에서도 확인 가능하다.정유진 기자 jinjin@hankyung.com
2023.03.22 21:07:31
-
삼성·SK·현대차 직원 10명 중 8명이 가입한 앱, 가입자 수 800만명 넘어섰다
[한경잡앤조이=강홍민 기자] 직장인 소셜 플랫폼 블라인드의 글로벌 가입자 수가 800만 명을 넘어섰다. 웹을 포함한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는 920만 명이다. 국내 3대 그룹사인 삼성, SK, 현대차 재직자의 10명 중 8명(79%)이 블라인드에 가입했다. 시가총액 1000대 기업 재직자 중에서는 10명 중 9명이 블라인드에 가입한 것으로 드러났다. 가입자 증가 속도도 빨라지고 있다. 지난해 블라인드에 가입한 직장인은 200만 명 이상으로, 이는 하루 평균 직장인 5400명이 서비스에 가입한 셈이다. 방문 빈도는 직장인 소셜 플랫폼 가운데 1위다. 특히 대기업 재직자들이 서비스를 자주 활용했다. 국내 10대 그룹 가입자의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 대비 일간 활성 이용자 수(DAU)의 비율은 50%에 달했다. 이는 블라인드에 이틀에 한 번 꼴로 방문하는 것으로, 세계 최대 구인·구직 플랫폼보다 1.5배 높은 수치다. 1월 한 달간 블라인드에 새로 등록된 댓글은 600만 개를 돌파했다. 모든 한국 가입자가 한 달에 한 번 이상 댓글을 작성한 셈이다. 블라인드는 성장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수익성 강화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블라인드의 채용 서비스인 블라인드 하이어는 올 1월 사업 모델을 전면 개편했다. 블라인드에서 바로 블라인드 하이어의 채용 공고를 열람할 수 있게 됐다. 기업은 국내 500만 직장인에게 공고를 노출할 수 있는 기회가 열렸고, 가입자는 채용 공고와 현직자 리뷰를 한 곳에서 확인할 수 있어 간편하다. 팀블라인드 관계자는 “블라인드는 한국과 미국 서부의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이용하는 보편적 플랫폼이 됐다. 앞으로 궁극적 목표인 글로벌 직장인 플랫폼
2023.02.28 16:50:54
-
삼성·SK·현대차 재직자 80% 가입…800만 회원 폭풍 성장
국내 3대 그룹사인 삼성·SK·현대차 재직자 10명 중 8명(79%)이 블라인드에 가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가총액 1000대 기업 재직자 중에서는 10명 중 9명이 블라인드에 가입한 것으로 나타났다.익명 기반의 직장인 소셜 플랫폼 블라인드의 운영사인 팀블라인드는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해 블라인드의 글로벌 가입자 수가 2023년 1월 기준 800만명을 돌파했다고 2월 28일 밝혔다. 웹을 포함한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는 920만명이다. 가입자 증가 속도도 빨라지고 있다. 2022년 블라인드에 가입한 직장인은 200만명 이상으로, 이는 하루 평균 직장인 5400명이 서비스에 가입한 꼴이다.방문 빈도는 직장인 소셜 플랫폼 가운데 1위다. 특히 대기업 재직자들이 서비스를 자주 활용했다. 국내 10대 그룹 가입자의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 대비 일간 활성 이용자 수(DAU)의 비율은 50%에 달했다. 이는 블라인드에 이틀에 한 번 꼴로 방문하는 것으로, 세계 최대 구인·구직 플랫폼보다 1.5배 높은 수치다.올해 1월 한 달간 블라인드에 새로 등록된 댓글은 600만개를 돌파했다. 모든 한국 가입자가 한 달에 한 번 이상 댓글을 작성한 셈이다. 블라인드는 이 같은 성장세를 유지하기 위해 수익성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 블라인드의 채용 서비스인 블라인드 하이어는 지난 1월 사업 모델을 전면 개편했다.블라인드에서 바로 블라인드 하이어의 모든 채용 공고를 열람할 수 있게 됐다. 기업은 한국의 500만 직장인에게 공고를 노출할 수 있다. 가입자는 채용 공고와 현직자 리뷰를 한 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팀블라인드 관계자는 “블라인드는 한국과 미국 서부의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이용하는 보편적 플랫폼이 됐다”며
2023.02.28 12:31:01
-
삼성-네이버, ‘애플 견제’ 위해 간편 결제 손잡아
[비즈니스 플라자]삼성페이와 네이버페이가 애플페이에 맞서 ‘간편 결제 동맹’을 구축했다. 오프라인·온라인 결제 시장 강자가 맞손을 잡은 것은 이례적이다. 상반기 삼성페이는 온라인으로, 네이버페이는 오프라인 결제 시장으로 영역을 넓힌다. 2월 22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삼성페이와 네이버페이는 2월 20일 전략적 협업을 공식 발표했다. 삼성페이 이용자는 55만 네이버 스마트 스토어 등 네이버페이 온라인 주문형 가맹점에서 바로 온라인 결제가 가능하다. 네이버페이 이용자는 삼성페이로 결제할 수 있는 300만 개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스마트폰을 마그네틱 보안 전송(MST) 방식의 단말기에 갖다 대면 물건을 살 수 있다.한지니 삼성전자 MX사업부 디지털월렛팀장 부사장은 “네이버페이와의 협업을 통해 삼성페이 사용자들은 오프라인을 넘어 온라인에서도 편리한 모바일 결제 경험을 누릴 수 있게 됐다”며 “두 회사 간 협력을 통해 모바일 결제 생태계 확대와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가입자 약 3150만 명을 보유한 네이버페이는 오프라인 결제 시 QR코드 또는 바코드 방식을 거쳐야만 해 불편이 컸다. 또 현장 결제가 가능한 곳은 서울시 제로페이 가맹점과 전국 약 10만 개 가맹점 정도인 것으로 알려졌다.네이버페이가 2018년부터 오프라인 결제를 시작했지만 온라인 강자로만 남아 있는 이유다. 간편 결제 시장에서 오프라인 부문 1위·온라인 1위 업체의 협업은 애플페이 견제 목적이 강하다.애플페이는 이르면 2월 말 한국에 출시된다. 한국의 18~29세 스마트폰 사용자 52%가 아이폰을 쓰고 있는 만큼 애플페이가 한국 결제 시장에 지각변동을 일으
2023.02.24 06:16:01
-
‘JY·종희님’ 호칭 쓰는 삼성…‘사대과차부’ 지고 ‘님프매’ 뜬다
[비즈니스 포커스]삼성전자에서 ‘회장님’, ‘사장님’, ‘상무님’ 등의 호칭이 사라진다. 그간 직원에게만 적용되던 수평 호칭을 경영진과 임원에게까지 확대했다.삼성전자 경영진을 포함한 임직원은 앞으로 영어 이름이나 영문명의 이니셜(앞글자), 한글 이름에 ‘님’을 붙이는 등 상호 수평적 호칭만 사용해야 한다. 이재용 회장은 영문 이니셜인 ‘JY’ 또는 ‘재용님’, 한종희 DX부문장(부회장)도 ‘JH’, ‘종희님’으로 부르는 식이다.삼성전자는 2016년부터 수평 호칭 제도를 시행해 왔다. 인사 제도 개편을 통해 직급도 기존 7단계(사원 1·2·3, 대리, 과장, 차장, 부장)에서 4단계(CL1~CL4)로 단순화했다. 연공서열을 타파하고 수평적 문화를 만들기 위해서다.제도가 자리 잡기까지 우여곡절도 있었다. 직원들이 타 부서 동료를 만날 때 사내망에서 부장·차장 등 직급을 찾아보고 기존 직급으로 소통하는 경우가 많았다. 현재는 직원 간 수평 호칭이 정착됐다는 판단으로 경영진과 임원에게까지 확대 적용한 것이다. 20년 전부터 수평 호칭…CJ·아모레는 안착최근 근속이나 연공에 근거한 보상에서 역량 수준과 직무에 근거한 보상 제도가 확산되면서 ‘사·대·과·차·부(사원·대리·과장·차장·부장)’ 등 기존 직급 체계를 간소화하거나 ‘님’ 또는 ‘프로’, ‘매니저’로 단일화하는 추세다. 역량을 근거로 하는 기업은 선임·책임·수석 등의 호칭을 쓰고 있다.KT&G도 올해 2월부터 호칭을 ‘프로’로 쓰고 있다. 대기업들의 호칭 파괴 바람
2023.02.15 06:08:01
-
“삼성도 복사지 아끼는데…” 경기 한파에 대기업도 허리띠 바짝 죈다
[비즈니스 포커스]고물가·고금리·고환율 등 ‘3고(高)’에 따른 글로벌 복합 위기와 공급망 변화, 수요 감소가 덮치면서 기업들의 체감 경기가 급속히 얼어붙고 있다.삼성전자는 최근 수익성이 악화된 DX사업부문을 중심으로 경상비용 감축을 주문했다. 프린터 복사 용지를 포함해 소모품비 50%를 절감하고 해외 출장도 절반 이상 줄이는 내용까지 포함됐다.실제 삼성의 2023년 세계 가전 전시회(CES) 참석자 규모는 전년보다 축소된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은 3년 차 이상 직원 100~200명 규모로 운영해 온 해외 연수 프로그램(지역 전문가 파견)도 잠정 중단했다.경기 침체로 수출과 내수가 모두 불안해지면서 기업 체감 경기가 2년 2개월 만에 최저치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2022년 12월 전 산업의 기업경기실사지수(BSI)가 전달(75)보다 1포인트 내린 74를 기록해 코로나19 사태가 한창이던 2020년 10월(74) 이후 2년 2개월 만에 가장 낮았다. 기업의 경기 인식 지표인 BSI는 100을 기준으로 수치가 낮을수록 경기를 부정적으로 전망하는 기업이 많다는 의미다.현장에서 느끼는 체감 경기는 더욱 싸늘하다. 한 기업 관계자는 “영업이익이 꺾이면서 삼성도 복사 용지를 아껴 쓴다는데 코로나19 사태 때보다 지금이 더 힘든 것 같다”며 “요즘은 출장 가서 법카(법인카드) 쓰는 것도 눈치가 보일 지경”이라고 말했다. ‘돈 안 되면 접는다’ 자산 현금화로 곳간 쌓기기업들은 경기 침체에 선제 대응하기 위해 앞다퉈 투자를 줄이고 유동성 확보에 나서며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다. 재계 맏형인 삼성이 스타트를 끊자 다른 기업들도 잇따라 긴축 경영 모드에 돌입했다.SK하이닉스는
2023.02.01 06:08:02
-
"삼성생명법이 뭐야?" 보험업법 개정에 '삼성' 소환되는 이유는
'삼성생명법' 또는 '삼성해체법'이라는 별칭으로 더 유명한 '보험업법 일부개정안'이 다시 관심을 받고 있다. 지난 2년간 국회에 계류돼온 법안이지만 지난해 말 정무위원회 법안심사제1소위원회에 상정됐기 때문이다. 다만, 여야간 이견이 좁혀지지 않아 논의가 급물살을 탈지는 미지수다. 보험사의 주식 보유액 산정 기준을 놓고 여야의 이견이 좁혀지지 않고 있어서다.다시 주목받는 '보험업법 개정안'이른바 '삼성생명법'으로 알려진 '보험업법 일부개정법률안'이 다시 관심을 받고 있다. 삼성생명법의 최초 발의는 2014년(19대 국회)이지만 제대로 논의되지 못했고, 20대 국회에서도 같은 상황이 반복됐다. 21대 국회가 시작된 이후로는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 10명이 2020년 6월 다시 발의했다. 보험사의 주식 가치 평가 방법을 바꾸자는 게 골자다. 보험사의 자산운용 비율을 산정할 때 여러 항목이 기준이 되는데, 이 가운데 '취득원가' 부분을 '시가'로 변경하자는 주장이다. 취득원가로 계산하면 유가증권의 현재 가치를 자산운용에 제대로 반영하지 못해 자산운용의 공정성이 훼손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 법안에서 관심을 받는 부분은 3%' 책정 기준이다. 현행법에서는 보험사가 다른 회사의 채권 또는 주식을 보유하는 경우 그 보유 금액이 총자산 혹은 자기자본의 일정 비율을 초과하지 않도록 한도를 정해 규제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보험사가 투자할 수 있는 한도는 총자산의 3%다.개정안이 통과된다면 '3% 산정의 기준'도 달라진다. 현재는 보험사가 확보한 타 기업 주식이 총자산의 3%가 넘지 않아도 개정안 통과로 현
2023.01.23 06:0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