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아파트 시가 총액 ‘2700억원’ 증발
[숫자로 보는 경제]2749억원서울 아파트 시가 총액이 2700억원 정도 증발한 것으로 나타났다.9월 11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8월 말 현재 서울 아파트 시가 총액은 총 1357조4685억3800만원으로, 5월 10일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유예 시행 직전인 4월 말의 1357조7435억200만원에 비해 2749억6400만원 감소했다.양도세 중과 유예 기간 내 팔려는 매물은 늘었지만 최근 계속되는 금리 인상과 경기 침체의 여파로 매수세가 자취를 감추면서 집값 하락이 본격화했기 때문이다.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 집계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물 건수는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시행 직전인 5월 9일 5만5509건에서 현재 5만9759건으로 7.6% 증가했다.하지만 서울 아파트 월간 거래량은 지난 5월 1745건에서 6월 1079건, 7월 639건에 그치며 역대 최저를 기록 중이다.이 가운데 새 정부 들어 규제 완화 기대감으로 강세를 보였던 서울 재건축 단지의 시가 총액도 4월 말 239조5270억600만원에서 8월 말 239조4983억3000만원으로 286억7600만원 줄었다.이에 비해 1기 신도시 시가 총액은 4월 말 145조6084억5700만원에서 145조7093억6000만원으로 1009억원 정도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최근 들어 1기 신도시 아파트 값도 하락 전환됐지만 신도시 재정비 사업 추진에 대한 기대로 서울 재건축보다는 낙폭이 작기 때문이다. 3.7%서민·실소유자가 보유한 변동 금리 주택 담보 대출(주담대)을 최저 연 3.7%의 장기·고정 금리로 바꿔 주는 우대형 안심 전환 대출이 9월 15일부터 시작됐다.금융위원회는 시가 4억원 이하 1주택 보유자를 대상으로 9월 15일부터 10월 17일까지 우대형 안심 전환 대출을 신청, 접수하고 있다고 9월 14일 밝혔다.안심 전환 대출은 금리 상승기에 주
2022.09.17 06:00:10
-
"매물 쌓였는데 보러오는 사람 없다" 거래절벽, 집값 하락 신호탄일까
지난해 시흥 배곧신도시 아파트를 매수한 최 모(36) 씨는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이자 부담은 느는 데 집값은 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 오피스텔에서 월세로 신혼 생활을 하고 있는 최 씨는 아이가 태어나면 이사를 갈 생각에 신도시로 눈을 돌렸다. 배곧을 택한 것은 수도권 광역 급행철도(GTX) 호재와 신축 아파트라는 기대감 때문이었다. 최 씨 부부는 주택 담보 대출과 신용 대출 등 ‘영끌’과 전세를 끼고 지난해 집을 마련했다. 2년 뒤 아이가 생기면 이사할 생각이었다. 하지만 2%대 후반이던 대출 금리가 4%대에 가깝게 오르자 월 이자만 114만원을 내게 됐다. 오피스텔 월세까지 합치면 한 달에 집값으로만 214만원을 지출하는 셈이다. 가계 대출 평균 금리 8년 만에 4% 넘어서 최 씨만의 얘기가 아니다. 대출 금리가 급등하면서 ‘영끌’족도 무주택자도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지난 4월 은행권의 가계 대출 평균 금리는 8년 만에 연 4%를 넘어섰다. 한국은행이 15년 만에 기준금리를 두 달 연속 올린 데 이어 하반기에도 추가 인상 가능성이 있어 이자 부담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대출 금리가 뛰면서 전세 대출을 받은 전세 세입자 역시 빚 상환 부담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금리가 높아지고 대출 규제가 심해지면서 부동산 시장도 ‘파티는 끝났다’는 분위기다. 강남·용산·마포·목동·여의도 등 서울 주요 지역의 열기는 여전히 뜨겁지만 서울 외곽 지역에서는 거래 절벽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새로운 공급은 가뭄인데 매물은 넘쳐난다. 호가가 오르면서 매물은 쌓이는데 거래는 말라가고 있다. 부동산 공급자와 수요자, 매도자와 매수자 사이 눈치 게임이
2022.06.06 06:04:01
-
[영상뉴스]식지 않는 20~30대 아파트 패닉바잉... 전문가들 "지금은 영끌 주택 매수 지양할 때"
20~30대가 올해 1~7월 서울 아파트 매입자 중 41.9%를 차지했어요.30대 이하 서울 아파트 거래 비중이 2019년부터 1년마다 5.6%, 4.5%씩 대폭 증가해왔어요.연일 아파트값이 올라가면서 무주택 젊은 층들이 무리해서라도 추격 매수를 하는 거에요.서울뿐만 아니라 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도 30대 이하의 매수 거래 수가 증가했어요.서울 아파트값이 너무 상승하면서 수도권에서도 저평가된 아파트를 찾으려는 수요가 이어지는 것으로 보여요.전문가들은 실수요자들이 무리하게 주택을 매수하는 것을 지양할 필요가 있다고 입을 모았어요.무주택자라면 무엇보다 청약을 가장 먼저 고려하는 걸 추천해요.국토교통부의 청약제도 개편안에 따르면 빠르면 올해 11월부터 민간분양 중 신혼부부·생애최초 물량의 각 30%를 추첨제로 공급할 것으로 보여요.추첨제란 1인 가구도 청약이 가능하며 자녀 수와 관계없이 무작위 추첨을 통해 당첨자를 선정하는 거죠.또한 주거용 오피스텔이나 도시형생활주택도 대안이 될 수 있어요.국토부는 아파트 대체재를 늘려 도심 주택공급을 늘리기 위해 대안 주거 시설 규제를 완화했어요.주거용 오피스텔의 바닥 난방 허용면적을 높이고 도시형생활주택을 방을 4개까지 늘릴 수 있도록 했어요.전문가들은 현재 부동산시장은 과열된 것으로 보이므로 무리한 매수 대신 청약 혹은 대안주거 시설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어요. 김민주 기자 minjoo@hankyung.com
2021.09.24 13:17: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