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엔데믹 시대, 교육비 늘고 패션 광고비 상승"

    스페셜/카드 빅데이터로 본 엔데믹 소비 패턴은 데이터 테크 기업 와이더 플래닛은 사용자의 기호와 소비 트렌드 관심을 빅데이터로 분석하고 가장 적합한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는 빅데이터 플랫폼 기업이다. 회사는 4300만 명의 자사 개인 비식별 데이터를 기반으로 총 22개 업종의 소비 행태를 분석한 결과 엔데믹 이후 강세 산업을 주목할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했다.와이더 플래닛은 엔데믹 소비 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자사 TG360의 통합 데이터 솔루션 몰레큘을 활용해 분석했다. TG360의 몰레큘은 다양한 비식별 데이터를 수집, 인공지능(AI) 알고리즘 분석을 거친 후 새롭게 정제된 데이터를 활용해 고객 분류 및 분석, 인사이트 도출, 마케팅 실행까지 가능한 통합 데이터 솔루션이다.TG360의 몰레큘을 이용해 엔데믹으로 전환된 이후 90일간 온라인에서 판매된 의류·패션 카테고리 사이트 방문 이력 데이터를 분석했다.엔데믹으로 외출 증가...패션 업종 광고비 상승세분석 결과 주로 아이를 키우고 있는 기혼자가 늘어난 외출 수요에 대한 소비를 진행하고 있었다.여성 73%, 남성 27%로 여성의 방문이 가장 많았으며 30대 34%, 40대 52%로 3040대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해당 데이터는 오프라인에서 유치원, 학습지 등 교육 관련 업종에서 주로 결제하고 있었다. 이는 아이를 키우고 있는 젊은 기혼여성 그룹에서 엔데믹 이후 의류·패션 업종에 대한 소비가 증가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또한 이들의 결제 행동 분석 결과 유치원이나 학습지 등 교육 관련 업종에서의 결제 이력이 각각 1, 2위를 차지했다. 엔데믹 이후 의류·패션 업종 광고비 회복세를 보이는 가운데 패션 제조사와 명품 쇼핑

    2022.07.25 15:50:50

    "엔데믹 시대, 교육비 늘고 패션 광고비 상승"
  • 中, 애국주의 소비·불매운동...서방 기업, 전전긍긍

    중국에서 베이징 동계 올림픽을 앞두고 애국주의 소비 열풍과 외국 기업과 제품에 대한 불매운동이 거세지고 있다. 과도한 애국주의 열정이 마오쩌둥 시대의 ‘홍위병’을 연상시킨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샘스클럽이 중국을 존중하지 않으면서 중국에서 돈만 벌어가려 한다.” “샘스클럽이 중국산 쌀을 먹고 중국인들의 뺨을 때린다.”최근 웨이보 등 중국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올라온 샘스클럽을 비판하는 글들이다.샘스클럽은 세계 최대 유통 기업인 미국 월마트가 운영하는 회원제 고급 식료품점이다. 샘스클럽이 중국에서 비난의 대상이 된 이유는 인권 탄압 등을 이유로 신장위구르자치구에서 생산되는 제품을 취급하지 않고 있다는 소문 때문이다. 실제로 샘스클럽 매장에는 신장위구르자치구의 특산물인 대추야자, 살구, 멜론 등이 진열돼 있지 않다.월마트 측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재고가 떨어진 것”이라며 “제품이 들어오는 대로 다시 판매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중국 소비자들은 강하게 반발하면서 보이콧(불매운동)까지 벌이고 있다. 특히 등록된 소비자만 물건을 구입할 수 있는 매장인 샘스클럽에 가입한 중국인 회원들이 잇따라 탈퇴하고 있다. 이들은 회원카드를 해지한 뒤 영수증과 환불 받은 현금을 사진으로 찍어 샘스클럽 보이콧에 동참한다는 인증샷을 공유하고 있다.월마트는 1996년 중국에 진출해 총 434개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이 가운데 33개 매장을 갖고 있고, 유효 회원 400만 명을 확보하고 있는 샘스클럽은 최근 비대면 온라인 쇼핑이 크게 늘면서 중국 시장에서 엄

    2022.01.25 10:55:42

    中, 애국주의 소비·불매운동...서방 기업, 전전긍긍
  • 소비 시장의 ‘게임 체인저’로 등장한 MZ세대

    [스페셜 리포트] MZ세대 소비 성향·선호 브랜드 조사‘MZ세대(밀레니얼+Z세대)’는 지금 기업들의 가장 큰 고객이자 고민거리다. MZ세대를 겨냥한 상품부터 전담 조직, 아예 MZ세대에게 기업을 맡기는 등 기업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MZ세대를 맞이할 준비를 하고 있다. MZ세대는 베이비붐 세대나 X세대와는 확연히 다른 생활 방식과 가치관을 지니고 있다. 동시에 모바일 구매에 익숙하고 정보를 탐색하는 능력도 뛰어나다. 이들을 아는 것이 곧 향후 기업의 성패를 좌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경비즈니스는 전국에 거주하는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MZ세대의 소비 행태와 선호 브랜드를 조사했다. 조사 결과 MZ세대는 기업의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이슈에도 민감할 뿐만 아니라 친환경 제품 사용에도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다. 선호 브랜드로는 현대차·갤럭시 스마트폰·한국투자증권·KB국민카드·이니스프리 등이 꼽혔다.  한정판 구매를 위해 줄을 서지만 동전까지 아끼는 ‘짠테크(짠돌이+재테크)’에도 관심이 많다. 플래그십 스토어를 찾아다니면서 정작 온라인 플랫폼에서 결제한다. 한국 경제의 게임 체인저로 떠오른 ‘MZ세대(밀레니얼+Z세대)’는 이처럼 상당히 복잡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MZ세대’는 1980년대 초반부터 2000년대 초 출생한 밀레니얼 세대와 199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초반에 출생한 Z세대를 통칭하는 말이다. 이들의 사회 참여 비율이 높아지자 기업들이 MZ세대의 시선을 사로잡기 위해 공을 들이고 있다. 유통가부터 금융권까지 MZ세대 공략에 나선 기업들은 업종을 가리지 않는다. 이들은 MZ세대의 취

    2021.10.27 06:00:32

    소비 시장의 ‘게임 체인저’로 등장한 MZ세대
  • MZ세대 49.6% “비싸도 친환경 제품”…“명품 1개 이상 있다” 63.5%

    [스페셜 리포트] MZ세대 소비 성향·선호 브랜드 조사‘가성비와 가심비 동시에 추구하고 친환경 제품과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이슈에 민감.’ 한경비즈니스가 1000명의 MZ세대(밀레니얼+Z세대)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를 통해 파악한 MZ세대의 ‘소비 성향’이다. MZ세대가 향후 가장 큰 소비층으로 급부상하는 만큼 이들의 성향을 파악하는 것은 기업들엔 매우 중요한 숙제다. 모바일 구매 비중이 압도적일 것이란 예상과 달리 MZ세대들은 오프라인에서의 경험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또 가정 내 소비 선택에도 영향력이 높아 이들의 의견이 전체 소비 시장에서 점차 큰 힘을 갖게 될 것을 예측할 수 있다. ‘가성비 소비’ 91.5%…‘플렉스 소비’ 22.9%MZ세대가 의류·잡화를 구매할 때 가장 많이 고려하는 요소로는 ‘디자인’이 46.3%로 가장 높은 선택을 받았다. 뒤를 이어 가격이 28.3%, 품질이 14.6%를 차지했다. ‘브랜드(8.7%)’와 ‘트렌드(2.1%)’를 중시할 것이란 예상과 달리 품질과 가격을 택한 비율이 높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전자 기기를 구매할 때 가장 많이 고려하는 요소는 ‘품질’이 47.4%로 거의 과반을 차지했다. 둘째로는 ‘브랜드’가 24.1%로 전반적으로 의류·잡화보다 전자 기기에서 브랜드의 중요성이 높게 평가 받았다. 가격은 18.1%로 그 뒤를 이었다. MZ세대의 소비 패턴에 따라 최근 가성비·가심비·플렉스 등 소비 성향을 설명하는 다양한 용어가 등장했다. 스스로 자신이 어떤 소비층인지 알아보기 위해 ‘나는 ㅇㅇㅇ를 추구하는 소비자다’라는 질문에 ‘

    2021.10.27 06:00:01

    MZ세대 49.6% “비싸도 친환경 제품”…“명품 1개 이상 있다” 6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