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원보 인천스타트업파크센터장 “스타트업의 스케일업에 집중해 단기간에 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다”
[한경잡앤조이=이진호 기자] 인천스타트업파크는 2019년 7월 중소벤처기업부 스타트업파크조성 사업(국비 120.7억원, 시비 120.7억원) 공모를 유치해 2021년 2월 공식 개소했다. 스타트업, 투자자, 대기업, 대학, 연구기관이 소통하고 교류하는 국내 1호 개방형 혁신 창업 클러스터인 인천스타트업파크는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 기반 스마트시티 및 바이오융합 분야의 스타트업을 지원한다.대한민국 최초 공공(인천경제자유구역청, 인천테크노파크)과 민간(신한금융그룹, 셀트리온)이 한 공간에서 선의의 경쟁도 하고 협력도 하며 운영되고 있다.공공부문인 인스타 I의 지원 프로그램은 실증, 투자, 글로벌 진출에 집중돼 있으며, 민간부문인 인스타 II에서는 인큐베이션 멤버십, 액셀러레이팅 멤버십, 글로벌 멤버십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실증 오픈 이노베이션도 지원한다. 심원보 스타트업파크센터장은 “공간과 사업에 대한 주변 관심이 높아져 현재까지 국내외 약 200개 기관 4000여명이 인천스타트업파크를 방문했다”며 “기업들이 인천스타트업파크의 실증 프로그램을 통해 투자받고 한 단계 스케일업 할 수 있게 노력한다”고 말했다. 인천 송도국제도시 인천스타트업파크에서 심 센터장을 만났다.심원보 인천테크노파크 인천스타트업파크센터장인천 스타트업파크 센터장 (2020.07~현재)인천테크노파크 ICT진흥 센터장(2017~2019)인천정보산업진흥원 ICT성장지원부장(2011~2016)정보통신산업진흥원 RFID/USN 센터 기획팀장(2007~2010)한국정보통신수출진흥센터 글로벌 사업 팀장(2003~2006)현대종합상사 근무(1994~2002)고려대학교 경영학과 졸업(1987~1993)청년 팁스(TIPS) 인큐베이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2022.11.29 18:52:43
-
'스케일 업'의 결정적 요소 '자금·기술·시장' 그리고 이것 [박재현의 디자인 창업 전략]
[한경잡앤조이=박재현 부산디자인진흥원 지원본부장] 인류의 시간을 100년 주기의 세기로 구분할 때 각 세기별 지배가치를 담아내는 키워드가 있다. 이를테면 16세기는 레오나르도 다빈치로 대변되는 예술(Art)의 시대, 17세기는 정치(Politics)의 시대, 18세기부터 20세기는 각각 공업(Engineering), 경제(Economics), 경영(Management)의 시대였다. 그리고 지금, 21세기는 디자인(Design)의 시대이다.1919년 태동해 철저한 기능주의 교육철학의 상징이 된 바우하우스(Bauhaus), 그리고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Form follows function)’라는 개념으로 ‘형태는 전례를 따른다’는 고전적 개념을 뒤집었던 미국의 건축가 루이스 설리번(Louis H. Sullivan, 1856~1924)의 영향을 받으며, 모던디자인은 21세기를 디자인의 시대라 예고했다.현대디자인의 형태는 기능(Function)의 추종을 표방해왔다. 기능에 직접적으로 개입하지 않는 장식적인 요소는 최대한 배제되고, 효용에 기반을 둔 구조나 기능적 역할에 따라 형태가 결정되는 디자인이 등장했다. 공기저항이 적은 비행기와 자동차, 한정된 공간에 더 많은 사람들이 주거할 수 있는 아파트, 대량생산이 용이한 콜라병과 필립 스탁(Philippe Starck, 1949~ )의 외계 생물체 같은 레몬즙 짜개, 자전거용 스틸튜브를 소재로 활용해 대량생산에 최적화된 마르셀 브로이어(Marcel Breuer, 1902~1981)의 바실리 의자 등 급변하던 산업화 과정과 경제적 이슈들을 통해 각각의 기능에 형태를 부여하며 구체화 되었다.디자인의 궁극적인 역할은 형태 부여를 넘어 기능과 그 이상에 대해 직접 결정하는 역할을 필요로 한다. 형태는 기능을 따르고, 기능은 디자이너의 의도(purpose)를 따른다. 형태 위에 기능, 기능 위에
2021.11.15 10:36:45
-
7명으로 시리즈A 투자를 받을 수 있었던 이유[스타트업 스케일업 스토리]
[한경잡앤조이=정성현 라이너 COS] 나는 라이너 팀의 COS다. 풀네임은 Chief of Staff. 우리말로 직역하면 수석비서관이다. 국내 IT 스타트업에서는 생소한 직함이지만 사실 이 포지션은 미국의 테크 스타트업에는 예전부터 있었던 직무다. 최근 제프 베조스의 퇴임 이후 아마존 CEO가 된 앤디 제시가 아마존 베조스의 COS였다. COS가 하는 일은 대표가 더 중요한 일에 시간을 쏟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일로, 포지션의 역할과 책임이 정형화된 것은 아니다. 이는 기대되는 역량 및 업무가 함께 일할 CEO마다 다르다는 말이기도 하다.라이너에서는 '노력하면 성과가 나는 구조'를 만드는 것을 리더의 역할로 생각한다. 이 개념은 ‘무인양품은 90%가 구조다’라는 책에서 영감을 얻었다. 리더는 쓸데없는 작업을 철저히 없애고, 팀원들이 한 방향으로 집중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는 의미다. ‘노력하면 성과가 나는 구조'를 위해 무인양품이 사용했던 도구는 2천 페이지에 달하는 매뉴얼이었다. 매뉴얼은 ‘어떻게 행동하는가’와 ‘무엇을 실현하는가’라는 물음에 대한 대답이자 회사 업무의 표준을 잡아주는 구조였다.현재 팀에서의 내 역할은 노력하면 성과가 나는 구조를 만드는 일을 돕는 것이다. 팀의 성장에 따라 일하는 방식과 구조를 고민하고 팀이 잘 돌아갈 수 있게 만드는 것이다. <텍스트 브이로그>를 통해 라이너 팀이 그동안 어떻게 일해왔는지, 어떻게 성장하며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현재 어떤 고민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 공유할 생각이다.하나의 미션팀을 위한 3가지 핵심2020년 8월, 라이너는 단 7명만으로 50억 원 규모의 시리즈 A 투자를 유치했다. 입사했던 때를
2021.11.04 10:06:30
-
‘성장’과 ‘일자리’ 해결 하는 스케일업 육성 [김용우의 경영 전략]
[경영 전략]저성장과 일자리가 이슈인 시대에 이 두 가지를 모두 잡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기업가 정신을 실현하는 창업 기업가, 벤처 기업가가 많아야 한다. 특히 비상장 기업으로 기업 가치 10억 달러(1조원) 이상인 ‘유니콘 기업’이 많이 나와야 한다.중소벤처기업부의 발표에 따르면 2021년 6월 말 벤처기업 고용은 전년 동기 대비 10.2% 증가했다. 이는 고용보험 가입자 기준 전체 기업 고용 증가율 3.4% 대비 약 3배 높은 수준이다. 특히 유니콘 기업인 벤처기업 8개사의 평균 고용 증가 인원은 전체 벤처기업 평균 대비 약 139배나 높았다.이처럼 벤처기업, 특히 유니콘 기업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은 막강하다. 그리고 유니콘이 된 기업의 성장 속도는 아주 빠르다. 그런데 문제는 한국의 유니콘 기업 수는 글로벌 전체 대비 1.4% 수준에 불과하다는 것이다.글로벌 시장 조사 기관 CB인사이트가 최근 발표한 조사에 따르면 글로벌 전체 779개 유니콘 기업 중 한국 기업은 11개였다. 최근 중소벤처기업부는 티몬·두나무·직방 등을 포함해 한국 유니콘 기업이 15개라고 발표했는데, 그래도 2%가 채 되지 않는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유니콘 기업이 많이 나올까. 유니콘 기업으로 빠르게 성장하는 ‘스케일업(scale-up)’ 기업이 많이 나와야 한다.정보공유·네트워킹 장 만들어 줘야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정의에 따르면 스케일업 기업은 매출이나 고용이 최근 3년간 평균 20% 이상 성장한 기업을 말한다.미국은 5%의 스케일업 기업이 신규 일자리의 3분의 2를 창출하고 있고 영국은 6%의 스케일업 기업이 54%를 차지한다. 한국은 9.8%의 스케일업 기업이 33.4%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조사 결과
2021.10.21 06: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