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300조 걸었다’ 용인에 시스템 반도체 판 벌인 삼성전자

    삼성전자가 세계 최대의 반도체 허브를 한국에 짓는 작업에 착수했다. 화성·기흥·평택 등에 이은 새로운 클러스터를 용인에 조성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2042년까지 ‘용인 시스템 반도체 클러스터’에 300조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목표는 세계적 비메모리 생산 기지 확보다. 비메모리 세계 1위가 될 전진 기지를 통해 세계적인 반도체 자국 생산에 맞서겠다는 전략이다. 왜 ‘300조원’인가새로운 반도체 클러스터가 들어설 지역은  경기 용인시 남사읍이다. 규모는 약 710만㎡(약 215만 평)로 시스템 반도체 공장이 집중적으로 들어선다. 1공장(P1)부터 가동한 뒤 순차적으로 5공장(P5)까지 확장할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삼성전자는 용인 공장에서는 2나노(nm, 1nm는 10억 분의 1m) 이하 초미세 공정을 적용할 계획이다. 반도체 칩 회로 선폭의 기준을 나노미터 단위로 분류하는데 5나노 이하 기술은 ‘초미세 공정’이다.쉽게 말해 다음 세대의 비메모리 반도체가 이곳에서 만들어진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하반기에 비메모리 반도체 3나노 양산에 성공했다. 3나노 공정은 현존하는 반도체 제조 공정 가운데 가장 앞선 기술로, 2나노는 아직 세상에 나오지 않은 차세대 기술에 해당한다. 이번 발표가 새로운 내용은 아니다. 이전에도 삼성전자는 시스템 반도체에 대한 투자를 꾸준히 밝혀 왔고 300조원 투자는 앞서 발표한 내용을 보완하는 수준이다. 2019년 삼성전자는 2030년까지 파운드리와 시스템LSI 사업 등 전반적인 시스템 반도체에 133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고 2021년에는 다시 이 금액에서 38조원을 추가해 171조원으로 늘렸다. 과감하고 선제적인 투자를 통해 한

    2023.03.27 06:00:06

    ‘300조 걸었다’ 용인에 시스템 반도체 판 벌인 삼성전자
  • ‘차선책’ 소리 듣던 비메모리 반도체, ‘핵심 시장’ 되기까지

    [스페셜 리포트] 역사는 반복된다…피 튀기는 50년 반도체 전쟁史반도체 산업은 D램과 낸드플래시 같은 메모리를 중심으로 성장해 왔다. 삼성전자가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서 우위를 점한 것도 ‘세계 최초 **D램 개발’ 전략이 주효했다. ‘어떻게 경쟁사보다 빨리 앞선 메모리 기술력을 선보일까’는 산업 초기부터 최근까지 이어지는 반도체 기업들의 가장 큰 고민이기도 하다.반면 비메모리에 대한 관심은 이보다 늦었다. 메모리는 대량 생산하면 그 수요처가 모든 곳에 있었지만 비메모리 반도체는 수요가 분산돼 있었기 때문이다. 이 시장의 선두 주자인 인텔조차 ‘포스트 D램’ 프로젝트의 하나로 주력 사업을 교체했다. 메모리 경쟁에서 밀리자 비메모리 산업으로 눈을 돌린 결과다. 비메모리는 전체 반도체 시장의 70%를 차지할 정도로 커졌다. 최근에는 반도체 집적도가 1년 6개월 주기로 2배 늘어난다는 무어의 법칙을 기반으로 성장해 온 메모리 반도체가 물리적 한계에 부딪치면서 성장 속도가 더뎌졌고 이에 따라 비메모리에 대한 관심이 더욱더 커지고 있다. ‘비메모리=인텔’…메모리에서 밀린 인텔의 결단비메모리 반도체 산업을 구성하는 기술은 로직(주문형 반도체)·마이크로프로세서(CPU·MCU 등)·아날로그(PMIC·터치컨트롤러 등)·광학·소자·센서 등 다양하다. 메모리 반도체가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면 비메모리 반도체는 정보를 처리하는 역할로, 유사한 개념의 ‘시스템 반도체’라고도 불린다.비메모리의 역사는 인텔의 역사이기도 하다. 비메모리 대표 기업으로 최근에는 대만의 파운드리 1위

    2023.01.14 06:00:21

    ‘차선책’ 소리 듣던 비메모리 반도체, ‘핵심 시장’ 되기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