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얼마나 맵길래" 매운맛 대결 1위 차지한 '이' 소스

    식품업체 팔도가 출시한 ‘틈새소스’가 매운맛 대결에서 1위를 기록했다. 캡사이신 함량이 타사제품보다 274배 높아 스코빌지수는 6500에 달한다. 스코빌지수는 매운맛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다.18일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한국소비자연맹은 시중 판매되는 20개의 매운맛 소스제품의 품질과 안전성에 대해 시험 및 평가를 시행했다. 틈새소스를 포함한 국내제품 11개와 리고 루이지애나 엑스트라핫소스 등 수입 제품 9개를 대상으로 했다.그 결과 모든 제품은 안전성에 문제가 없었다. 다만 나트륨, 당류 함량, 매운맛정도는 제품별로 차이가 두드러져 구매 및 섭취에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매운맛 정도 비교를 위해 캡사이신과 디하이드로캡사이신 함량을 확인해본 결과, 팔도의 ‘틈새소스’가 877.2mg/kg로 가장 많았다. 가장 적은 제품은 천하코퍼레이션의 ‘제이-렉 스리라차 소스’(3.2mg/kg)였다.100g당 나트륨 함량은 최대 51배 차이가 났다. 벨라푸드의 ‘벨라 핫 양념치킨 소스’가 756.98mg으로 제일 낮았고, 최고 네키드크루 ‘진돗개핫소스’가 2909.09mg로 가장 높았다.이외에도 100g당 나트륨 함량이 2000mg을 넘는 제품은 △리고 루이지애나 엑스트라 핫소스(2022.07mg/100g) △만능 마라소스(2155.01mg/100g) △스리라차핫칠리소스(2461.74mg/100g) △틈새소스(2031.95mg/100g) 등이다.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나트륨 일일 권장 섭취량은 2000mg이다. 소스류 제품은 1회 섭취량이 많진 않으나, 100g당 나트륨 함량이 2000mg이 넘을 경우 한 번에 많은 양을 섭취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제품 간 가격 차이는 최대 8.8배였다. 단위당 가격이 가장 낮은 제품은 이마트 ‘데일리 핫칠리 소

    2024.04.18 17:49:29

    "얼마나 맵길래" 매운맛 대결 1위 차지한 '이' 소스
  • “믿고 먹었는데 실망이네”...식품 프랜차이즈 위생 논란

    식품 프랜차이즈 업체들의 위생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서영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받은 ‘외식 프랜차이즈 식품위생법 위반 현황’에 따르면 2018년부터 2023년 6월까지 마라탕, 떡볶이, 치킨 프랜차이즈 상위업체 식품위생법 위반 건수가 매장 수 대비 각 20%, 11%, 9%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1-대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는 마라탕 프랜차이즈의 경우 2018~2023년 6월 상위 8개 브랜드 매장 600개 기준으로 식품위생법 위반 건수가 총 119건이었다. 가장 많은 위반유형은 ‘기준 및 규격 위반’으로 54건이 발생했다. ‘위생교육 미이수’ 및 ‘건강진단 미실시’가 각 12건으로 뒤를 이었다. 다음으로 떡볶이 프랜차이즈의 경우 같은 기간 상위 9개 브랜드 매장 3408개 기준으로 식품위생법을 위반한 경우가 총 371건이었다. 가장 많은 위반유형은 ‘기준 및 규격 위반’과 ‘위생교육 미이수’로 각 97건이었으며, ‘건강진단 미실시’가 70건 순서로 많았다. 마지막 치킨 프랜차이즈의 경우 같은 기간 상위 10개 브랜드 매장 11,931개 기준으로 식품위생법 위반 건수가 1061건이었다. 가장 많은 위반 유형은 마라탕, 떡볶이 프랜차이즈와 동일했으며 ‘기준 및 규격 위반’이 307건으로 가장 많았고, ‘위생교육 미이수’가 297건, ‘영업자 준수사항 위반’이 126건 순서로 많았다. 마라탕, 떡볶이, 치킨 프랜차이즈 모두 동일하게 가장 많이 위반한 유형인 ‘기준 및 규격 위반’은 식품 내 이물질 혼합, 보존 및 유통기준 위반 등이 주로 해당한다. 서 의원은 "10대가 가장 선호하는 배달 음식이 마라탕, 떡볶이, 치킨 등이라고 하는데 해당 프랜차이즈 매

    2023.10.03 18:49:21

    “믿고 먹었는데 실망이네”...식품 프랜차이즈 위생 논란
  • [special] 식품도 표절이 되나요

    “식품 업계만큼 제품 카피가 활발한 업계는 아마도 없을 것 같다. A사가 B사 제품을 베껴 논란이 됐다고 해도, 이미 과거에 B사가 A사의 다른 제품을 베낀 사례가 있는 탓에 서로 법적 책임을 따지는 게 무의미할 정도다.” 식품 업계의 미투(me too·모방) 제품 출시는 유통가의 관행으로 불릴 정도로 뿌리 깊게 자리 잡힌 문화다. 메가히트 상품이 하나 나오면 수십여 종의 비슷한 제품이 쏟아져 나와, 어떤 제품이 원조인지 따지는 게 무의미해진 경우도 존재한다. 유통가, 굵직한 ‘모방’의 역사 2010년대 식품 업계를 강타한 해태제과 ‘허니버터칩’은 미투 신드롬을 부른 대표적인 케이스다. 기존 제품의 맛과 네이밍에 ‘허니(꿀)’와 ‘버터’ 콘셉트를 접목한 신상품이 우후죽순 나온 것. 허니버터칩 신드롬에 편승한 일종의 벤치마킹 열풍이었다. 다만 이들 제품의 인기는 그리 오래 가지 못했다. 초반에는 시장의 전체 파이를 확장하는 긍정적 측면도 있었다. 하지만 같은 콘셉트의 제품이 1~2년 사이 지나치게 많이 쏟아진 탓에 소비자 피로도가 높아지기 시작했다. 더군다나 제품력에 신경을 쏟기보다 단순 모방하는 수준에 치우친 상품이 많아, 장기적인 판매로 이어지지 못했다. 미투 제품이 유통가에 깔리면서 원조 제품의 생명력까지 깎아 먹었다는 평도 나왔다. 원조 제품의 이미지와 콘셉트뿐만 아니라 맛과 모양을 의도적으로 따라한 케이스도 적지 않다. 흔히 떠올릴 수 있는 대표적인 사례로는 ‘초코파이’가 있다. 1974년 오리온이 개발한 초코파이는 지금까지도 대중의 사랑을 받는 인기 상품인데, 이 제품의 국민적 히트 후 롯데제과 ‘롯데 초코파이’, 크라운제과 ‘크라운 쵸코파이

    2023.08.28 12:00:01

    [special] 식품도 표절이 되나요
  • 팬데믹이 바꾼 식품 구매 트렌드, ‘2위의 반란’ 만들었다

    [비즈니스 포커스]“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소비자들의 식품 구매 선택지가 다양화됐다.”한 유통업계 관계자의 진단이다. 그의 말처럼 코로나19 사태가 일으킨 ‘집밥’ 열풍으로 ‘외식’이 줄면서 소비자들의 식품 구매 트렌드도 빠르게 변했다.집에 머무르며 하나의 상품만 계속 먹다 보면 쉽게 질리기 십상이다. 한 브랜드에 충성하며 꾸준히 소비했던 과거와 달리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소비자들이 집에서 다양한 브랜드를 맛보고 즐기게 된 배경이다.그리고 이런 추세는 식품업계의 판세에도 큰 영향을 미치기에 이르렀다. 충성 고객들을 기반으로 시장에서 압도적인 점유율을 지켜 오던 제품들의 위상이 흔들리기 시작한 것이다. 죽·즉석음료(RTD) 커피·라면·맥주·냉동만두·카레 등이 대표 격이다. 코로나19 사태가 가져온 식품업계 2위의 ‘반란’이다.죽 시장은 여차하면 1위가 뒤바뀔 수 있는 상황으로 전개되고 있다. 한국의 상온 죽 시장은 20년 넘게 동원F&B의 ‘양반 죽’이 1위 자리를 지켜 왔다.하지만 CJ제일제당이 2018년 출시한 ‘햇반 소프트밀’이 등장하며 무섭게 그 뒤를 쫓기 시작한다.관련 업계에 따르면 햇반 소프트밀은 출시 직후 단숨에 2019년 시장점유율 30%대를 기록하며 죽 시장의 신흥 강자로 떠올랐다. 2020년 37.8%, 지난해에는 1위(41.8%)와 근소한 차이인 41.7%의 점유율을 달성했다.특히 올해 하반기(7∼12월)만 보면 평균 시장점유율 42.4%로 경쟁사(41.1%)를 제친 상황이다. 올해 시장 1위 등극 가능성도 예상된다.  파우치 죽으로 시장 1위 노리는 CJ제일제당햇반 소프트밀은 전자 레인지에 간편하게 데워 먹

    2022.12.07 06:00:10

    팬데믹이 바꾼 식품 구매 트렌드, ‘2위의 반란’ 만들었다
  • CJ제일제당, ‘슈완스 효과’ 누리며 해외 식품 매출 4조원 돌파

    [커버스토리] 해외서 훨훨 나는 한국 식품기업지난해 CJ제일제당의 해외 가공식품 매출은 4조원을 웃돌며 사상 최대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직 2020년 4분기 실적이 공개되지 않았지만 분기마다 해외 가공식품 매출이 1조원 이상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사실상 확정적이다.2018년까지만 해도 CJ제일제당의 해외 가공식품 매출은 약 7000억원 규모였는데 짧은 기간 동안 초고속 성장한 셈이다.미국을 중심으로 한 CJ제일제당의 해외 식품 영토 확장 전략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유행) 속에서 빛을 발했다. CJ제일제당은 현재 전체 해외 가공식품 매출의 약 80%가 미국에서 나온다.  이런 결과를 이끌어 낼 수 있었던 주된 요인은 단연 미국 시장을 겨냥한 과감한 인수·합병(M&A) 전략을 꼽을 수 있다. 특히 일각에서 제기된 우려 속에서도 CJ제일제당이 2019년 미국의 냉동식품 전문 기업 슈완스컴퍼니(이하 슈완스)를 인수한 것은 돌이켜보면 ‘신의 한 수’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승자의 저주’ 우려를 깨부수다CJ제일제당이 슈완스를 손에 넣기 위해 쓴 돈은 무려 2조원이다. CJ그룹 M&A 역사에서 가장 큰 규모다. CJ그룹은 2011년 대한통운을 인수하면서 1조7500억원을 써낸 바 있다.슈완스는 레드배런 피자, 미세스 스미스(파이) 등 현지인들이 즐겨 찾는 18개 브랜드를 가진 미국의 대형 식품 기업이다. 피자·파이·아시안 애피타이저 등 시장에서 현지 시장점유율 1·2위를 다툴 만큼 잘 알려져 있다.이런 슈완스의 CJ제일제당 인수 소식은 한국뿐만 아니라 미국 현지 유통업계에서도 주목할 만큼 대형 M&A였다.CJ제일제당이 거액을 들여 슈

    2021.02.03 09:07:42

    CJ제일제당, ‘슈완스 효과’ 누리며 해외 식품 매출 4조원 돌파
  • 코로나19 속 매출 신기록...한국 식품기업 해외 고성장 비결

    [커버스토리] 해외서 훨훨 나는 한국 식품기업한국 식품 기업들이 세계에서 맹활약 중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확산으로 급증하고 있는 가공식품의 수요를 끌어안는데 성공하며 시장점유율을 끌어올리고 있다. 예상을 뛰어넘는 성장세가 이어지는 추세다.글로벌 식품 기업들과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거둔 성과여서 더욱 값지다. 오랜 기간 해외 시장을 개척하기 위해 공들였던 시간과 노력들이 코로나19 상황에서 빛을 발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CJ제일제당·농심·대상·오리온·풀무원의 해외 시장 성공 비결을 들여다봤다.CJ제일제당을 비롯해 농심·대상·오리온 등의 지난해 해외 매출은 사상 최대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풀무원의 활약도 빼놓을 수 없다. 지난해 미국과 중국 등 해외 주력 시장에서 사상 처음으로 흑자 전환을 이뤄 냈다.코로나19 확산 속에서 급증하는 글로벌 가공식품 수요를 한국의 식품 기업들이 끌어안은 것이 해외에서 호실적이 이어지는 이유다.김대종 세종대 경영학부 교수는 “코로나19 상황에서 다른 국가들에 비해 성공적인 방역 성과를 거두며 ‘안전한 국가’라는 인식이 퍼진 것, 케이팝을 통해 한국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가 커진 부분 등이 최근 세계적으로 급증하는 식품 수요를 끌어안을 수 있었던 배경”이라고 분석했다. 물론 여기에는 전제가 깔려 있다. 김 교수는 “해외 시장을 개척하기 위해 각 기업들이 그동안 오랜 노력을 기울였기 때문에 이른바 ‘코로나19 특수’를 누리는 일이 가능했다”고 강조했다.그의 말처럼 CJ제일제당·농심·대상·오리온·풀무원

    2021.02.03 09:01:49

    코로나19 속 매출 신기록...한국 식품기업 해외 고성장 비결
  • [프리뷰]해외에서 훨훨 나는 한국 식품기업...고성장 비결은?

    CJ제일제당을 비롯해 농심·대상·오리온 등의 지난해 해외 매출은 사상 최대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풀무원의 활약도 빼놓을 수 없다. 지난해 미국과 중국 등 해외 주력 시장에서 사상 처음으로 흑자 전환을 이뤄 냈다.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속에서 급증하는 글로벌 가공식품 수요를 한국의 식품 기업들이 끌어안은 것이 해외에서 호실적이 이어지는 이유다.김대종 세종대 경영학부 교수는 “코로나19 상황에서 다른 국가들에 비해 성공적인 방역 성과를 거두며 ‘안전한 국가’라는 인식이 퍼진 것, 케이팝을 통해 한국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가 커진 부분 등이 최근 세계적으로 급증하는 식품 수요를 끌어안을 수 있었던 배경”이라고 분석했다.물론 여기에는 전제가 깔려 있다. 김 교수는 “해외 시장을 개척하기 위해 각 기업들이 그동안 오랜 노력을 기울였기 때문에 이른바 ‘코로나19 특수’를 누리는 일이 가능했다”고 강조했다.그의 말처럼 CJ제일제당·농심·대상·오리온·풀무원 등은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뤄 내겠다는 공통된 목표를 갖고 한정된 내수 시장에서 벗어나 오랜 기간 해외 영토 확대에 역량을 집중해 왔다. 이런 노력들이 비로소 코로나19 상황에서 빛을 발한 셈이다.◆M&A로 시장 강자 등극한 CJ제일제당·풀무원 CJ제일제당과 풀무원은 인수·합병(M&A)을 앞세워 해외 시장 공략에 나섰다. CJ제일제당은 2000년 초부터 ‘한식의 세계화’라는 목표를 내걸고 세계 시장으로 눈을 돌리기 시작했다.타깃은 미국이었다. 다양한 인종과 문화가 섞여 있는 세계의 중심인 미국 시장에서 가장 먼저

    2021.01.30 08:03:03

    [프리뷰]해외에서 훨훨 나는 한국 식품기업...고성장 비결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