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저렴해진 실손보험, 갈아타야 할까

    최근 4세대 실손의료보험 상품으로 갈아타라는 권유가 늘었다. 저렴한 월 보험료로 유혹하는 신상품들의 유혹은 참아내기 힘들다. 하지만 보험료 부담은 낮아진 대신 보장이 줄어들 수도 있는 법. 꼼꼼한 셈법이 필요한 대목이다. #1. 57세인 A씨는 최근 담당 설계사로부터 가격이 저렴한 신상품이 나왔다며 실손의료보험(이하 실손보험)으로 갈아타라는 권유를 받았다. 현재 가입한 상품의 월 보험료가 10만 원이 넘어 부담스러웠던 참이다. 다만 신상품의 보장이 더 좋지 않다는 얘기에 주저하고 있다.#2. 31세 B씨는 설계사 권유로 실손보험 신상품으로 갈아탔다. 신상품이 보장 면에서 더 좋지 않다는 설명을 들었지만 어차피 병원 갈 일이 많지 않아 가격이 저렴한 것이 더 중요하다고 판단했다.지난 7월 1일 실손보험 신상품이 출시됐다. 새로운 실손보험은 환자(가입자)의 자기부담금이 기존 10%에서 30%로 높아졌다. 또 병원에 자주 갈 경우 대신 가격이 기존 상품(1세대 실손보험) 대비 최대 70% 이상 저렴하다. 즉, 보험료 부담이 낮아진 대신 보장이 줄어든 셈이다. 새로운 실손보험을 두고 갈아타는 게 유리한지 아닌지 갈팡질팡하는 소비자가 많다.실손보험, 변경 내용은실손보험은 가입 시기에 따라 보장 내용이 다르다. 통상 과거에 가입한 상품일수록 보장 내용이 좋고, 최근 가입한 상품일수록 보험료가 저렴하다. 실손보험은 2009년 10월 이전을 1세대 실손보험 혹은 구(舊)실손보험으로 부른다. 당시 실손보험은 정책성 상품이 아니었다. 이에 각 보험사마다 보장 내용이 조금씩 달랐다. 일반적으로 환자의 자기부담금이 전혀 없는 것이 특징이었다. 또 의사가 치료 목적으로 진단하면 보험금을 지

    2021.07.26 13:09:07

    저렴해진 실손보험, 갈아타야 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