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글에는 공동묘지가 있다는데…실패의 경영학
[비즈니스 포커스]모든 기업에는 숨기고 싶은 실패 사례가 있다.중요한 것은 실패 자체가 아니라 실패를 성공 자산으로 만드는 것이다. ‘하인리히 법칙(1:29:300의 법칙)’은 실패에도 적용할 수 있다. 신문 1면을 장식할 만한 1개의 대형 실패의 뒤에는 작은 실패 29건과 300건의 실패 징후가 있다고 봐야 한다.실패학의 창시자 하타무라 요타로 도쿄대 명예교수는 “실패에서 배우면 큰 실패를 막고 성공의 지렛대로 활용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여기 실패했다고 좌절하기보다 실패의 원인을 철저하게 분석해 실패를 성공의 기회로 삼은 기업들이 있다. 실패=혁신의 무덤 아니다어디든 쉽게 붙였다 뗄 수 있는 포스트잇은 사실 실패의 산물이다. 3M 연구원이던 스펜서 실버는 1968년 항공기 제작에 쓸 수 있는 초강력 접착제를 발명하다가 실패했는데 그가 만든 접착제는 끈적임이 없고 표면에 잔여물을 남기지 않는 특성이 있었다. 사무실 필수품이 된 포스트잇의 탄생 배경이다.세계 최초로 먼지 봉투 없는 진공청소기, 날개 없는 선풍기를 출시해 ‘영국의 애플’로 불리는 가전 기업 다이슨도 혁신의 아이콘이 되기까지 무수한 시행착오를 겪었다.최고경영자(CEO) 제임스 다이슨 다이슨 창업자는 ‘왜 선풍기는 꼭 날개를 써야 하지’라는 기존의 고정관념을 깬 아이디어를 갖고 1979년부터 1984년까지 5년간 5127번의 프로토타입을 통해 먼지 봉투 없는 진공청소기 ‘다이슨 DC01’을 탄생시켰다.다이슨은 2016년부터 3조원을 투자해 전기차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하다가 상업성을 이유로 2019년 10월 중단했다. 하지만 다이슨이 개발하던 전기차 기술이 또 어떤 혁신 제품의 탄
2022.05.12 06:0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