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M부터 하이브까지…엔터사가 블록체인 하는 이유[비트코인 A to Z]
아이돌 산업과 팬덤 문화에서는 단순히 음반과 공연만이 아니라 소셜 미디어를 통한 양방향 소통이 필수다. 하이브의 ‘위버스’, SM엔터테인먼트(이하 SM)의 ‘버블’, 엔씨소프트의 ‘유니버스’ 등의 팬덤 서비스에서는 스타와의 소통뿐만 아니라 독점 콘텐츠, 온라인 상점 등도 제공하며 활성 사용자와 실질적인 매출 면에서도 계속적인 성장세를 이어 가고 있다. 엔터테인먼트업계는 주 고객 연령층이 어리다는 점을 중시해 더 앞선, 더 차별적인 새로운 제품을 만드는 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고 이제는 메타버스를 비롯한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분야에도 진출을 꾀하고 있다.메타버스로 ‘광야’ 구현한 SM의 목표SM은 4대 기획사 중 메타버스에 대한 의욕을 가장 먼저 나타냈다. SM이 디지털 상에 구현한 가상 국가 ‘뮤직네이션 SM타운’과 ‘SM타운 버추얼 네이션’을 거쳐 2020년 에스파의 데뷔와 함께 SMCU(SM타운 컬처 유니버스)에 이르기까지 SM은 지금까지 구축해 온 브랜드를 하나의 세계관에 담겠다는 의지를 보여 왔다. SM은 메타버스에 그치지 않고 블록체인과의 연계에도 신경쓰고 있다. 이수만 총괄 프로듀서는 글로벌 블록체인 플랫폼이 개최한 콘퍼런스에 직접 참여해 연설했고 창작 문화를 통한 블록체인 대중화를 위해 ‘P2C(Play to Create)’라는 개념을 고안해 냈다. P2C는 이 총괄 프로듀서가 창안한 개념이다. 누구나 창작을 즐기고 경제적 수익까지 얻을 수 있는 새로운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생태계다. 이 총괄 프로듀서는 바이낸스 블록체인 위크 기조연설에서 “기존에는 코인이라는 경제적인 보상만 있었다면 이제는 NFT를 통
2022.11.08 06: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