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2022 AI 양재 허브 스타트업 CEO] NPU 하드웨어 판매, 반도체 설계 IP 스타트업 ‘에임퓨처’

    [한경잡앤조이=이진호 기자] 에임퓨처는 NPU(Neural Processing Unit) 하드웨어를 IP(설계자산)의 형태로 판매하며 라이센스비 및 로열티를 받는 반도체 설계 IP 스타트업이다. 김창수 대표(56)가 2020년 10월에 설립했다.삼성전자 시스템 반도체 부문에서 10여년간 연구원으로 근무한 김 대표는 1996년에 미국 실리콘밸리에 있는 삼성지사에 파견돼 근무하던 중 1997년 삼성을 퇴사하면서 미국 현지에 정착하게 됐다. 이후 다수의 미국회사에서 경력을 쌓아오던 중 2013년부터 LG전자 미주연구소에서 모바일용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개발을 해왔고 이후 인공지능(AI) 과제에 참여하게 됐다.에임퓨처는 LG전자 미주연구소 소속의 엔지니어들이 만든 스타트업이다. 에임퓨처는 2016년 알파고 이벤트가 있기 전인 2015년부터 미래기술에 대한 연구 활동의 하나로 인공지능망을 처리하는 데 특화된 NPU라는 하드웨어를 개발한 팀이다. 2020년 9월 LG전자로부터 분사했다.에임퓨처가 개발한 하드웨어 제품군으로 NMP-300, NMP-500, NMP-700 시리즈의 IP가 있다. 김 대표는 “이 제품들은 객체탐지(Object Detection), 얼굴인식(Face Recognition), 영상분류(Image Classification), 이상탐지(Anomaly Detection) 등에서 사용되는 인공지능망을 처리하면서 최대 16 TOPS(초당 테라 연산)까지의 성능을 지원한다”고 말했다.에임퓨처의 SDK 소프트웨어인 뉴로모자이크 스튜디오는 양자화 인식훈련(Quantization-aware training) 이라는 기능을 포함해 TensorFlow, Caffe, PyTorch, ONNX 등 대다수의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를 지원한다.“에임퓨처의 NPU IP는 뉴로모자이크라는 이름의 아키텍처에 기반합니다. 뉴로모자이크의 특징은 Scalability(확장성), Flexibility(유연성), Configura

    2022.12.07 08:03:58

    [2022 AI 양재 허브 스타트업 CEO] NPU 하드웨어 판매, 반도체 설계 IP 스타트업 ‘에임퓨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