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배터리 동맹’ SK온·포드, 공급망 위기 뚫는다…북미 양극재 공장 공동 투자

    SK온이 글로벌 완성차 기업인 포드자동차, 양극재 생산 기업인 에코프로비엠과 함께 북미에서 양극재 생산 시설을 구축하기 위해 공동 투자하기로 했다고 22일 밝혔다. 양극재는 배터리 성능을 좌우하는 필수 소재다.3사는 공동 투자를 위한 투자의향서(LOI)를 최근 체결했다. 3사는 연내 공동 투자를 위한 본 계약을 체결하고 2023년 하반기 공장 착공에 들어갈 계획이다. 투자 금액과 지분율,  공장 소재지는 조율 중이다.이 생산 시설에서 만들게 될 양극재는 SK온과 포드가 최근 공식 설립한 합작 배터리 공장 ‘블루오벌SK’에 공급된다.3사는 소재-부품-완제품으로 이어지는 밸류 체인을 구축함으로써 탄탄한 공급망을 만들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고 파트너십을 더욱 굳건히 하게 됐다.3사는 이미 각 사의 핵심 제품으로 협업 라인을 구축해 오고 있다. 에코프로비엠은 강력한 성능을 내는 하이니켈 양극재를 SK온에 공급하고 있다. SK온은 안전 기술과 제조 역량을 바탕으로 NCM9 배터리를 세계 최초로 개발해 포드의 F-150 라이트닝 전기트럭에 공급하고 있다. 이 차량은 2022년 상반기 시장에 출시됐다.SK온은 이번 협력으로 북미 생산 거점을 빠르게 확대하는 가운데 배터리 필수 소재인 고성능 양극재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게 됐다. 현지에서 배터리 생산을 넘어 향후 원소재 확보와 생산을 아우르는 소재 현지화 전략 목표에도 한 발 더 다가서게 됐다.SK온은 유럽, 중국과 함께 세계 3대 자동차 시장으로 꼽히는 북미 시장에서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미국 조지아 주에 총 3조원을 들여 2개 공장을 확보했다. 9.8기GWh 규모 1공장을 2022년 초부터 상업 가동했다. 11.7GWh 규모 2공장은 2023년 중 상업 가동한다.

    2022.07.22 10:26:51

    ‘배터리 동맹’ SK온·포드, 공급망 위기 뚫는다…북미 양극재 공장 공동 투자
  • 미국의 뒤늦은 전기차 드라이브…“K배터리엔 호재”

    [화제의 리포트]이번 호 화제의 리포트는 주민우 NH투자증권 애널리스트가 펴낸 ‘2차전지를 지배할 4가지 이슈’를 선정했다.주 애널리스트는 2021년 하반기에서 2022년까지 2차전지 업종에 영향을 줄 4가지 이슈로 ‘미국의 전기차 보급 확대’, ‘배터리 기술의 진보 방향’, ‘완성차 업체들의 배터리 조달 전략’, ‘신규 업체들의 활약’을 꼽았다.그는 “하반기부터 주요 업체들의 신규 투자 및 수직 계열화 발표와 함께 실적 추정치 상향 조정이 연달아 나타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① K배터리, 美 전기차 보급 확대 수혜미국은 유럽·중국과 함께 3대 전기차 시장 중 하나다. 2021년 상반기 기준 전 세계 순수 전기차 판매량은 178만 대였다. 그중 중국이 97만 대(54%), 유럽이 52만 대(29%), 미국이 21만 대(11%)를 판매했다. 순수 전기차 침투율은 중국 8.0%, 유럽 5.9%, 미국 2.5%였다.통상 미국과 유럽의 내연 기관 판매량이 비슷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현재 미국의 전기차 판매량은 유럽보다 많이 뒤처진 상황이다.그런 미국이 뒤늦게 전기차 보급에 속도를 내고 있다. 바이든 정부는 2030년까지 미국 내 친환경차(BEV+PHEV+FCEV) 판매 비율을 40~50%로 끌어올리겠다고 밝혔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인프라 법안 내 전기차 충전소 구축비용 75억 달러, 전기차 보조금 최대 1만2500달러로 상향, 연비 규제 강화 등을 준비하고 있다.미국 전기차 시장 개화에 따른 수혜는 한국 2차전지 업체들에 맞춰질 것으로 전망된다. 단순 외형 확장 외에도 탈중국 배터리 공급망을 구축하는 계기가 된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미국은 신북미자유협정(USMCA : 미국·멕시코·캐나

    2021.09.29 06:02:01

    미국의 뒤늦은 전기차 드라이브…“K배터리엔 호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