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금융 위기급 환율 쇼크’ 왔다…기업 덮친 킹달러 공포

    [비즈니스 포커스] 미국 중앙은행(Fed)의 3회 연속 자이언트 스텝(한 번에 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 후폭풍이 한국 경제를 강타했다.Fed의 고강도 긴축 기조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등의 여파로 달러 초강세가 이어지면서 원·달러 환율이 심리적 지지선으로 여겨지는 달러당 1400원을 돌파했다. 이는 금융 위기 이후 13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세계 금융 위기 이후 한 번도 깨지지 않았던 ‘1달러=1400원’의 벽이 무너진 것이다. 미국 물가 상승률을 Fed의 목표치인 2%로 되돌리기 위한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킹달러(달러 초강세)’ 기조도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는 게 지배적 관측이다.달러 가치가 급등하면서 한국 기업들은 초비상이 걸렸다. 원·달러 환율이 치솟음에 따라 한국 기업들은 크게 오른 원자재 값에 더해 환율 부담까지 떠안게 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매출 500대 기업 중 수출 제조 기업 재무 담당자를 대상(105개사 응답)으로 ‘환율 전망과 기업 영향’을 조사한 결과 기업들은 올해 연평균 환율 수준을 달러당 1303원으로 예상했다.수출 제조 기업은 환율 전망을 기초로 수출입 단가, 영업이익 등 구체적 경영 계획을 수립한다. 기업들은 올해 초 연평균 환율 전망을 달러당 1200원대로 예상하고 사업 계획을 수립했다. 기업들은 올해 예상되는 환율 전망치가 연초 사업 계획 수립 시 수준을 웃돌아 원자재 수입 단가 등 생산비 증가로 이어져 영업이익이 평균 0.6% 악화될 것이라고 봤다.  환율은 수출 기업에 ‘동전의 양면’과 같아고환율은 수출 기업에는 매출이 늘어나는 효과가 있지만 원자재를 비싼 가격에 해외에서 들여와

    2022.10.03 06:00:05

    ‘금융 위기급 환율 쇼크’ 왔다…기업 덮친 킹달러 공포
  • 슈퍼 달러 쇼크가 불러온 글로벌 ‘新 쩐의 전쟁’

    [스페셜 리포트]역사적으로 ‘환율 전쟁’은 수출 증대, 수입 축소를 목적으로 자국 통화의 가치를 끌어내리는 경쟁이었다. 자국의 통화 가치가 떨어지면 해외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이 높아져 수출에 유리하기 때문이다.하지만 최근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고물가를 잡기 위해 각국 중앙은행이 자국 통화의 평가 절상을 유도하는 새로운 현상이 벌어지면서 통화 전쟁의 양상이 바뀌었다. 글로벌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이를 ‘역(逆)환율 전쟁(reverse currency war)’이라고 정의했다.2022년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시작된 전쟁은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유행) 이후 회복 중이던 세계 경제를 다시 짓눌렀다.인플레이션이 걷잡을 수 없이 치솟자 각국은 통화 정책의 우선 순위를 경제 성장에서 물가 상승 억제로 옮겼다. 자국의 통화 가치가 낮아지면 수입품 가격이 상대적으로 올라 인플레이션을 더욱 부추길 수 있기 때문이다.  ‘미친 물가 잡자’…금리 인상 도미노글로벌 환율 전쟁의 중심에는 기축 통화인 미국 달러가 있다. 미국발 긴축,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중국의 제로 코로나19 정책 등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미국 달러 가치가 20여 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강달러 기조가 지속되고 있다.주요국은 ‘슈퍼 달러’에 맞서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을 억제하고 자국의 통화 가치 하락을 방어하기 위해 외환 시장에 적극 개입해 경쟁적으로 기준금리 인상에 속도를 내고 있다. 역환율 전쟁의 시작이다.신흥국은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금리 인상 대열에 합류할 수밖에 없다. 일반적으로 미국의 금리 인상은 달러 강세를 가속화하면서 신흥국의 자본 유출

    2022.07.30 06:00:07

    슈퍼 달러 쇼크가 불러온 글로벌 ‘新 쩐의 전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