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짠테크 열풍 '지지리 궁상 VS 티끌 모아 태산', 당신의 생각은?
재테트에 이어 짠테크가 주목받고 있다. 만보기 앱을 다운받아 가까운 거리는 걸어 다니고, 출석체크 앱으로 소소한 용돈벌이를 하는 문화가 2030세대 사이에서 확산되면서 전 연령층으로 퍼지고 있다.고물가 시대, 한 푼이라도 아끼기 위한 짠테크 열풍이 문화로 자리 잡으면서 궁상 이미지보다 절약을 배우려는 움직임으로 이어지고 있다. 불과 몇 해 전까지만 해도 한 번 뿐인 인생 즐기자는 ‘욜로(YOLO)'가 트렌드였지만 경기 침체와 고물가 시대가 열리면서 짠테크가 대세로 자리 잡은 모양새다.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전국 만 19~59세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2023 짠테크 관련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경기 침체로 생활비 부담이 높아지면서 ‘짠테크’로 불필요한 지출을 관리하려는 움직임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 10명 중 9명(87.9%)이 요즘은 ‘재테크’가 필수인 시대라고 여길 정도로 이에 대한 중요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었다. 반면, 재테크에 대한 관심은 이전 조사 대비 소폭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예전에 비해 재테크에 대한 관심이 생긴 편이다 - 90.2%(2021) → 86.8%(2023)/주변 사람들과 재테크에 대해 이야기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 81.0%(2021) → 74.1%(2023)).최근 다양한 방식의 재테크가 많아지고 있는 상황(91.3%, 동의율)에서 주로 투자 중인 재테크 방식으로는 예/적금 가입(79.1%, 중복응답)이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주식 투자(60.2%)가 그 뒤를 이었다. 주목할 만한 점은 만보기, 잔돈 적금 등 앱 서비스를 통해 포인트를 현금화하는 ‘앱테크’ 이용자가 이전 조사 대비 크게 증가(39.2%(2021) → 57.4%(2023))한
2023.06.02 14:26:02
-
“‘오징어 게임’ 열풍, 전통과 향토 문화의 가치 보여준 사례죠”
[인터뷰]전 세계가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구슬치기’ 등 ‘K놀이’에 빠져들었다. 연일 신기록을 경신 중인 넷플릭스 드라마 ‘오징어 게임’에 주요 소재로 등장한 덕분이다. 하지만 이러한 전통 놀이는 외국 시청자뿐만 아니라 좀처럼 놀이터에서 또래들과 어울릴 일이 없었던 요즘 세대들에게도 낯선 문화다. 오랜 역사를 가진 한국 고유의 문화를 맥이 끊기지 않고 다음 세대에게 전하는 역할이 필요한 이유다.이러한 문화의 이음새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한국문화원연합회다. 연합회는 한국 전통문화와 지역의 향토 문화를 발굴·소개하고 아카이브 작업을 기반으로 한 콘텐츠 개발에 앞장서고 있다. 한국문화원연합회 김태웅 회장은 “‘K문화’가 세계를 사로잡은 현상이야말로 우리 전통과 향토 문화의 가치를 보여주는 방증”이라고 말한다.-한국문화원연합회는 어떤 곳입니까.“한국문화원연합회는 1962년 강화문화원 개원을 시작으로 전국에 설립된 231개 문화원과 16개 시·도 연합회를 회원으로 하는 전국 규모의 문화 단체입니다. 지역 문화원들이 각 지역의 고유 문화를 보존·전승하는 역할을 맡는다면 연합회는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특수법인으로 정부를 대신해 지역 문화원을 지원하고 지역의 경계를 넘어 이 자산들이 미래 세대로 이어질 수 있도록 동력을 불어넣는 역할을 하고 있죠. 원천 콘텐츠 발굴 지원 사업, 어르신 문화 프로그램 사업, 실버 문화 페스티벌 사업 등이 대표적인 사업입니다.”-한국문화원연합회와 지방문화원은 지역 문화 영역에서 어떤 역할을 맡고 있습니까.“지방문화원은 지역학에 대한 관심
2021.11.12 06:0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