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한국방송학회, “6년 간 1102조원 생산 유발 영상콘텐츠, 반도체 준하는 지원 필요”

    한국방송학회가 <국가 전략산업 영상 콘텐츠의 국가 경제적 효과와 육성>을 주제로 2일 서울 중구 정동 미디어교육원 가온에서 특별세미나를 개최했다.이번 행사는 정부가 에너지, 디스플레이, 첨단 방위산업과 함께 4대 신규 초격차 확보 분야 중 하나로 콘텐츠산업을 선정했고, 대표 장르인 영상 콘텐츠가 미래 먹거리 전략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는 상황에서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지원책 모색을 위해 열렸다. 첫 번째 발제자로 나선 호서대학교 문화영상학부 변상규 교수는 ‘영상콘텐츠 산업 성장 전망과 국민경제 파급효과’에 대해 발표했다.  변 교수는 “우리나라 콘텐츠 경쟁력은 글로벌 시장에서 인정받고 있지만, 제작 재원 부족이라는 만성적인 문제로 인해 글로벌 OTT 사업자들의 제작 하청기지로 편입될 가능성이 존재한다”며 “국내 콘텐츠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부 지원이 필요하며, 특히 제작비 조달을 위한 미디어 사업자의 투자가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이를 유인할 수 있는 정책적인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변 교수는 2022년부터 2027년까지 영상콘텐츠 산업의 직, 간접적인 국민경제 파급효과가 총 ▲생산유발 1102조 4889억원 ▲부가가치유발 381조 4983억원 ▲고용유발 539만 5306명에 달한다고 전망했다. 그는 “영상 콘텐츠 산업은 시청을 통해 국민들에게 제공하는 효용 외에도, 방송영화산업을 통한 경제적 파급효과 창출, 콘텐츠 수출로 한류 유발, 소비재 수출 유발 및 관광객 유입 효과 등으로 4차산업혁명 시대의 주력 성장동력 산업의 역할을 할 것으로 확인된다”고 설명했다. ‘국가전략산업으로서의 영상콘텐

    2022.11.02 14:31:30

    한국방송학회, “6년 간 1102조원 생산 유발 영상콘텐츠, 반도체 준하는 지원 필요”
  • 이어지는 '적자', 토종 OTT가 고전하는 이유는

    최근 웨이브, 티빙, 왓챠 등 토종OTT가 일제히 적자를 내며 고전하고 있는 가운데 대등한 상황에서 경쟁을 하려면 영상콘텐츠 산업 세제지원, 자율등급제 등 해결해야 하는 정책과제가 산적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로서는 국가의 제도적 지원을 충분히 받는 ‘금수저’ 해외 OTT와 ‘흙수저’ 신세인 토종OTT의 격차가 줄어들 개연성이 없기 때문이다.실제로 지난해 웨이브, 티빙, 왓챠는 총 4324억원의 매출을 올려 6316억원을 벌어들인 넷플릭스의 68%에 불과한 수치를 기록했다. 월간활성이용자수(MAU) 순위로 토종 3개사를 묶은 수치 역시 2022년 2월 기준 넷플릭스가 1245만명 수준으로 웨이브(488만명), 티빙(407만명), 쿠팡플레이(339만명)를 합친 것보다 많았다.<기생충>의 아카데미 석권을 시작으로 <오징어게임>, <지옥>, <지금우리학교는> 등 K콘텐츠가 대한민국 소프트파워 제고에 핵심역할을 하고 있지만 현실은 녹록치 않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콘텐츠 산업에서 상대방을 누르려면 글로벌 시청자들의 눈높이를 맞춰야 하고 오리지널콘텐츠 제작이나 IP수급을 위한 대규모 투자경쟁을 벌여야 하기 때문이다.현행 조세특례제한법 25조6에 따르면 영상콘텐츠 제작을 위해 국내에서 발생한 비용에 대한 세액공제율은 대기업 3%, 중견기업 7%, 중소기업 10% 수준이다. 해당 법안은 다른 산업의 부가가치 창출 및 국가 이미지 제고 등에 파급 효과가 큰 영상콘텐츠 산업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 2016년 12월 신설됐다. 법안의 좋은 취지에도 불구하고 공제율이 해외 주요국인 미국(25~35%), 영국(25%), 프랑스(30%), 호주(40%) 등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으로 책정돼 산업적 파급력 발휘에는 한계가

    2022.04.18 14:00:53

    이어지는 '적자', 토종 OTT가 고전하는 이유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