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범죄도시 1000만 돌파'에 극장가 “코로나19 이전 수준 회복”

    1000만 관객 영화가 다시 등장했다. ‘범죄도시2’가 1000만 관객을 돌파하면 역대 28번째, 한국영화로는 20번째 1000만 영화가 탄생했다. 지난달 18일 개봉한 ‘범죄도시2’는 개봉 21일째인 지난 11일 1000만 관객을 넘어섰다. 1000만영화의 등장은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 이후 3년 만이다.범죄도시2의 인기로 극장가도 들썩인다. 6월 들어 평일에 대략 20만명, 주말엔 50만명 안팎의 관객이 극장을 찾고 있다. 영화업계에서는 “시장이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는 고무적인 평가가 나온다. ‘범죄도시2’의 흥행속도는 코로나19 전 마지막 1000만영화인 기생충보다 빨랐다.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사회적 거리 두기가 시행되면서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로 떠났던 관객들이 거리 두기 해제와 함께 돌아오자 극장에 모처럼 활기가 돌고 있다. 가족이나 연인, 친구와 함께 영화를 즐기러 온 관객들로 주말에는 빈 좌석을 찾아보기 힘들 정도다. CGV 관계자는 “‘범죄도시2’의 흥행은 시장에 ‘콘텐츠에 대한 평가만 좋으면 다시 1000만 영화가 나올 수 있다’는 기대감을 심어 줬다”며 “코로나19 기간 동안 침체됐던 영화 산업이 빠르게 회복할 수 있는 추진력을 얻게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팬데믹 직전 2019년 ‘1000만 영화’ 5편 나와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유행) 이전 극장가는 전성기를 달렸다. 2019년에만 ‘기생충’을 비롯해 5편의 1000만 대작이 쏟아졌다. 한 해 동안 2억2700만 명(방문 횟수 누적)이 극장을 방문했다.코로나19 사태 이후 극장은 직격탄을 맞았다. 2020년 관객 수는 5952만 명으로 74% 줄었고 지난

    2022.06.15 06:00:07

    '범죄도시 1000만 돌파'에 극장가 “코로나19 이전 수준 회복”
  • “코로나19에 넷플릭스까지”…CJ CGV, 떨어진 신용도 회복 가능할까

    [마켓 인사이트]CJ CGV가 위드 코로나를 계기로 재무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의 장기화로 악화된 수익성을 끌어올리고 연이은 자본 확충과 자산 매각으로 치솟은 부채 비율을 낮추는 데 주력하고 있다.최근 위드 코로나의 영향으로 영화 관람객 수가 회복되고 있지만 넷플릭스의 거센 공세로 한국 영화 산업의 판도 자체가 바뀌고 있어 향후 신용도에 대해 다양한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1600억원 대규모 자본 확충 진행CJ CGV가 올해 마지막 대규모 자본 확충을 결정했다. 올해 12월 1600억원의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하기로 한 것이다. 이 발행에는 CJ CGV의 많은 고민이 담겨 있다.그 무엇보다 코로나19 사태의 장기화로 악화된 재무 구조가 가장 큰 걱정이다. 또 채권 투자에 대한 기관투자가의 반응이 비우호적이기도 하다.CJ CGV는 코로나19 사태로 매출이 크게 꺾이면서 부채 비율이 치솟아 서둘러 재무 구조를 개선해야만 했다. 신종자본증권은 자본으로 회계 처리가 가능해 재무 구조를 개선해야 하는 기업이 많이 선호하는 자금 조달 방식이다. 코로나19 사태가 확산되기 전까지 CJ CGV가 지닌 오랜 사업 경험과 운영 노하우, 브랜드 가치 등으로 시장 지위와 사업 안정성에 의구심을 갖는 이들은 거의 없었다. 한국 영화 관람 시장이 과거보다 성장성이 둔화된 것은 사실이지만 성장성이 높은 해외 시장에서 사업을 적극 확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과 베트남에 이어 2016년 터키의 1위 멀티플렉스 극장 운영 사업자도 인수했다.하지만 코로나19 사태가 확산되면서 매출이 계속 저조한 상태다. 한국 박스오피스의 올해 1~3분기 누적 관객

    2021.11.28 06:01:29

    “코로나19에 넷플릭스까지”…CJ CGV, 떨어진 신용도 회복 가능할까
  • 영화에서 영감받은 아르마니, 의대에서 패션 ‘턴’[류서영의 명품이야기]

    [류서영의 명품이야기] 조르지오 아르마니 ① 2000년 10월 20일 조르지오 아르마니의 25년 패션 왕국 업적을 기린 전시회가 미국 뉴욕의 구겐하임 미술관에서 열렸다. 미술을 하는 일부 사람들은 이를 마땅하지 않게 여겼다. 미술관에서 패션 전시가 열렸기 때문이다. 하지만 미술관장은 아르마니를 코코 샤넬, 이브 생 로랑 다음으로 20세기 패션 디자이너를 대표한다고 생각해 전시회를 개최했다고 말했다.이탈리아의 디자이너가 미국의 유명 미술관에서 왜 전시회를 개최했을까. 아르마니가 세계적인 명성을 갖춘 한 시대의 문화를 대표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아르마니는 1934년 7월 11일 이탈리아 북부 밀라노에서 좀 떨어진 피아첸차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운송회사 간부였고 영화를 무척 좋아했다. 아르마니도 아버지를 닮아 영화를 즐겨 봤고 그의 패션은 영화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 이탈리아가 나치 편에서 제2차 세계대전을 치르는 동안 아르마니는 많은 시간을 영화를 보면서 보냈다. 아버지의 영화에 대한 애정이 아르마니에게 끼친 영향은 2015년 4월 아르마니가 그의 경력 40년을 기념하기 위해 밀라노에 ‘아르마니-실로스’ 건물을 세우고 필름 시리즈를 전시 상영한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제대 후 백화점 쇼윈도 디스플레이로 인정 받아 가족들은 아르마니가 꼼꼼하고 내성적인 성격이어서 의사가 되기를 희망했다. 가족의 바람대로 아르마니는 밀라노대 의학부에 입학했고 2년 후 군에 입대했다. 군대에서 사진을 찍으며 잠시 포토그래퍼의 꿈을 키우기도 했다. 제대 후 진로를 바꿔 밀라노에 있는 리나센테 백화점에서 쇼윈도 디스플레이 아르바이트를

    2021.11.14 06:01:07

    영화에서 영감받은 아르마니, 의대에서 패션 ‘턴’[류서영의 명품이야기]
  • 영화 사라지면 '프로도 효과'도 없다…“지금이 마지막 골든 타임”

    [커버 스토리] 지금의 한국 영화 산업이 처한 위기를 극복하려면 한국 영화 산업의 특수성을 파악해야만 한다. 한국 영화는 외국에 비해 부가 시장이 작아 극장의 관객 수가 곧 한국 영화 산업의 기반이 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극장의 매출이 한국 영화 산업 전체 매출의 약 80%를 차지한다. 이렇듯 극장 매출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구조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관객이 급감하자 한국 영화 산업 전체의 붕괴가 시작될 수...

    2021.02.18 09:32:18

    영화 사라지면 '프로도 효과'도 없다…“지금이 마지막 골든 타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