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정육 시장으로 옮겨 붙은 ‘배달의 전쟁’

    [비즈니스 포커스]동원그룹 식품 계열사인 동원홈푸드는 8월 초 온·오프라인 연계(O2O) 플랫폼 사업 진출을 선언했다. ‘미트큐(meat Q) 딜리버리’라는 이름의 애플리케이션(앱) 출시를 통해서다. 미트큐 딜리버리는 주변 맛집의 음식들을 빠르게 배달해 주는 ‘배달의 민족’의 정육점 버전이라고 보면 된다.앱을 설치하고 주소지를 등록하면 인근에 있는 정육점들의 리스트가 화면에 뜬다. 이들 중 원하는 정육점을 선택해 원하는 고기의 부위와 중량을 주문하고 결제까지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다. 미트큐 딜리버리의 가맹 정육점은 고객의 주문이 접수되는 동시에 고기를 썰어 보랭 팩에 포장한다. 최적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다. 이렇게 포장된 고기를 최대 1시간 이내에 고객이 원하는 장소로 가져다준다.오직 고기만을 배달해 주는 ‘정육 배송 시장’이 최근 뜨거워지고 있다. 동원홈푸드처럼 신선하고 다양한 부위의 고기를 빠르게 전달해 주는 것을 ‘무기’로 들고나와 소비자들의 밥상을 공략하고 나선 기업들이 많아졌다. ‘온라인 정육점’ 시대가 성큼 다가왔다. 밥 대신 고기…지속 성장 중인 정육 시장 관련 업계에 따르면 정육 배송 시장이 각광받는 배경은 크게 두 가지로 분석된다. 첫째는 한국인의 ‘고기 사랑’ 자체가 남다르기 때문이다.육류는 한국인의 주식으로 자리매김했다. 한우정책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육류(쇠고기·돼지고기·닭고기) 1인당 소비량은 54.3kg으로 집계됐다. 쌀 소비량(57.7kg)의 94% 수준까지 근접했다. 지금의 추세라면 내년에는 처음으로 육류 소비량이 쌀 소비량을 추월할 것으로 전

    2021.09.15 06:08:02

    정육 시장으로 옮겨 붙은 ‘배달의 전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