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비대면이 낳은 엔터계 신성장 동력 ‘팬덤 플랫폼’

    [비즈니스 포커스]스타와 팬덤의 소통 창구가 공식 카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거쳐 왔던 ‘팬덤 플랫폼’으로 정착됐다. 좋아하는 가수가 생기면 그 가수가 어느 플랫폼에 속해 있는지 알아보고 월 정액권을 끊는 것이 ‘입덕’의 시작이 됐다. 가수의 메시지를 받는 것은 물론 굿즈 판매부터 콘서트 예매까지 ‘팬질’의 A부터 Z가 팬덤 플랫폼에서 이뤄지기 때문이다.특히 팬덤 플랫폼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의 팬데믹(세계적 유행)을 계기로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대면 콘서트와 팬미팅 개최가 어려워지면서 플랫폼을 통한 비대면 소통이 팬덤엔 가수를 볼 수 있는 유일한 창구가 됐기 때문이다. 케이팝 팬들에겐 하이브의 ‘위버스’, SM엔터테인먼트의 ‘버블’, 엔씨소프트의 ‘유니버스’가 필수 애플리케이션이 됐다.  위버스·디어유·유니버스 ‘3파전’ 팬덤 플랫폼이라는 영역을 맨 처음 개척한 것은 하이브의 ‘위버스’다. 하이브는 공식 카페를 폐쇄하고 아티스트와 소통은 물론 콘서트 공지 등 방탄소년단(BTS)의 팬이라면 무조건 알아야 하는 모든 것을 위버스에 몰아 넣었다. 2019년 위버스가 출범했을 때만 해도 소속된 아티스트는 하이브의 BTS와 투모로우바이투게더를 비롯한 세 팀밖에 없었다. 하지만 그 후 위버스는 다양한 소속사의 아티스트들을 입점시키면서 지난 4분기 기준 41개의 팀 커뮤니티를 운영하는 규모로 성장했다. 아티스트의 입점이 늘자 가입자 수도 자연스럽게 증가했다. 하이브는 위버스가 지난해 4분기 기준 커뮤니티 가입자 수가 두 배 늘었고 월 방문자 수는

    2022.03.25 06:00:04

    비대면이 낳은 엔터계 신성장 동력 ‘팬덤 플랫폼’
  • 대면 콘서트 재개…리오프닝 시즌 맞은 엔터사

    [비즈니스 포커스] 방탄소년단(BTS)의 소속사인 ‘하이브’의 주가가 지난 2월 말부터 급격히 상승세를 탔다. ‘아미(BTS voseja)’가 반가워할 대면 콘서트 소식 덕분이다. BTS는 잠실종합운동장에서 3월 10일과 12일, 13일까지 ‘퍼미션 투 댄스 온 스테이지-서울’을 연다. BTS의 서울 콘서트는 2년 4개월 만이다. BTS는 서울 콘서트를 시작으로 4월에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대면 공연을 이어 갈 예정이다.그간 코로나19 사태의 팬데믹(세계적 유행) 때문에 엔터테인먼트 업체들은 대면 공연 대신 온라인 공연을 주로 열어 왔다. 물론 온라인 콘서트도 온라인 스트리밍 등을 통해 충분한 수익을 뒷받침할 수 있다. 하지만 팬들을 직접 만나는 오프라인 콘서트야말로 팬덤을 집결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엔터사엔 가장 큰 이벤트가 아닐 수 없다. 코로나19 시대 새로운 공연법, ‘하이브리드 공연’ 한국은 아직은 시간이 더 필요하지만 북미와 유럽 등 해외에서는 오미크론의 감염이 정점을 찍고 내려오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이르면 3월부터 엔터사들은 오프라인 콘서트의 재개를 예고하고 있다. JYP엔터테인먼트의 트와이스는 2월 15일 미국 로스앤젤레스를 시작으로 북미 투어를 진행 중이다. SM엔터테인먼트의 레드벨벳은 2년 3개월 만에 3월 19일과 20일 양일간 서울에서 콘서트를 열 것이라고 예고했다. 이 밖에 다수의 케이팝 그룹들이 대면 콘서트와 팬미팅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2분기가 엔터주의 본격적인 ‘리오프닝’ 시즌이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특히 엔터주의 대표 주자인 하이브는 기대가 더 커지는 시점이다. 지난해 4분기 하이브의

    2022.03.10 06:00:01

    대면 콘서트 재개…리오프닝 시즌 맞은 엔터사
  • BTS·케이팝 넘어 세계로…'1조 빅딜' 방시혁의 도전

    [스페셜 리포트] 아티스트의 성공은 K팝 엔터테인먼트의 성장 동력이다.연습생을 발탁한 후 가수로 데뷔시켜 국내외 시장에서 성공시키는 것이 엔터테인먼트업계의 주요 캐시 카우다. 증권가에서는 아티스트들의 컴백이나 데뷔 일정을 엔터업계의 큰 이슈로 분류한다. 바꿔 말하면 핵심 아티스트의 부재는 엔터 기업의 동력이 사라짐을 의미한다. 그래서 BTS를 글로벌 아티스트로 키워낸 ‘하이브(구 빅히트엔터테인먼트)’에도 BTS에 대한 높...

    2021.04.22 06:48:01

    BTS·케이팝 넘어 세계로…'1조 빅딜' 방시혁의 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