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에 새로 쓰는 은퇴자금 관리 전략
[한경 머니 기고=김동엽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상무] 2023년 새해가 시작되고 벌써 한 달이 지났다. 2023년은 1차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의 대표주자라고 할 수 있는 ‘58년 개띠’가 65세가 되는 해다. 우리나라는 65세 이상을 고령자로 분류한다. 기초연금도 이때부터 지급된다. 이뿐만 아니다. 2023년에는 베이비붐 세대의 막내라고 할 수 있는 1963년생이 ‘60세 정년’을 맞는다. 정년이 지나면 월급은 사라지고 연금으로 살아야 한다. 이제 은퇴자금 관리의 중심축을 적립에서 인출로 이동해야 한다. 은퇴자금 관리는 등반과 비슷하다. 세계 최고봉 에베레스트를 7번이나 등반한 미국의 에드 비에스터스(Ed Viesturs)는 “정상에 오르는 것은 선택이다. 그러나 내려오는 것은 필수”라면서 “정상에 오르는 것은 대단한 성취이지만, 정상은 여정의 중간 지점에 불과하다”고 했다. 맞는 말이다. 등반의 성공은 정상에 오르는 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안전하게 산에서 내려오는 것까지 포함한다. 은퇴자금 관리도 마찬가지다. 일하는 동안 노후자금을 모으는 것은 여정의 절반에 불과하다. 나머지 절반의 여정은 은퇴 생활을 하면서 모아 둔 노후자금을 인출하는 데 있다. 죽기 전에 은퇴자금이 먼저 고갈되면 안 된다. 그렇다고 마냥 지출을 줄이며 허리띠를 졸라 맬 수는 없는 노릇이다. 일상적인 삶을 유지할 수 있을 만큼의 생활비는 매달 인출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수명이 늘어나면서 은퇴 생활 기간도 덩달아 늘어나는 상황에서 2가지 목표를 함께 달성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다시 등산 이야기로 돌아가 보자. 미국 하버드대 의학전문대학원의 교육병원인
2023.01.26 15:52:58
-
미리 알아두는 직장인 필수 상식! 퇴직연금, 40% 고수익률 받는 법
미리 알아두는 직장인 필수 상식! 퇴직연금, 40% 고수익률 받는 법코로나19로 연금 수익률 양극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어요. 미래에셋증권에서 퇴직연금을 운용하는 DC형과 IRP가입자의 1년 수익률을 분석한 결과, 수익률 상위 5% 평균수익률은 38.6%, 하위 5%는 -0.7%로 원금 손실을 봤어요.* DC형 : 매년 회사가 납입할 부담금이 사전에 확정되어 근로자에게 정기적으로 지급하는 제도* IRP : 근로자가 이직하거나 퇴직할 때 받는 퇴직금을 적립하고 나중에 연금으로 수령하는 형태연금 운용 방식에 따라 40%에 달하는 격차가 벌어지면서 단순히 1년간의 문제가 아니라고 볼 수 있어요. 이미 연금 투자 고수들은 두둑한 노후 자금을 챙겼어요.이들의 ‘고수익률 비결’은 무엇일까요?‘연금 고수’들은 코로나19 이후 이어진 증시 상승세를 활용해 ETF, 주식형 펀드 비중을 73%까지 늘리며 고수익을 냈어요.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는 원리금 보장형 상품은 전체의 27%만 묻어뒀죠.보유 종목으로는 미국과 중국의 대표 혁신기업들을 담고 있는 ‘미래에셋 G2이노베이터펀드’ 상품이 가장 많았고, ‘피델리티 글로벌테크놀로지펀드’, ‘TIGER 차이나전기차SOLACTIVE ETF’ 등이 뒤를 이었죠. *자료 : 미래에셋증권 고객 기준 (2021년 6월말)수익률 하위 투자자들은 제로 금리 수준의 은행예금에 연금을 방치했고, 원리금 보장형 상품에 집중투자 돼 있었어요.일부를 채권형 펀드와 금 펀드 등에 투자했지만 만족스럽지 못한 성과를 거뒀어요.포트폴리오 구성도 수익률 격차의 큰 원인으로 작용했어요. 상·하위 5%의 투자자들은 모두 7 :3 비율로 구성하고 있었지만, 고수익 투자자들은 실적 배당
2022.04.07 11:20: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