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TAX] 은퇴자들이 주목할 연금계좌 세제 혜택은

    정부는 서민·중산층의 세금 부담 완화를 통한 노후 대비를 지원하기 위해 올해부터 연금계좌에 대한 세제 혜택을 확대했다.변화된 3가지 항목의 내용을 살펴보자. 첫째, 노후 소득 보장 강화를 위해 세액공제 납입 한도가 상향 조정됐다. 종전의 연금계좌 세액공제 대상 납입 한도는 연금저축과 퇴직연금을 합산한 금액 기준으로 최대 700만 원(연금저축은 400만 원)을 적용하되, 50세 이상이면서 총급여액이 1억2000만 원(종합소득금액 1억 원) 이하인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900만 원(연금저축은 600만 원)까지 적용했다.하지만 2023년 1월 1일 납입분부터는 소득 금액이나 나이와 관계없이 연금저축과 퇴직연금을 합산한 금액 기준으로 최대 900만 원(연금저축은 600만 원)으로 세액공제 대상 납입 한도를 확대 적용한다.따라서 기존에 세액공제 대상 납입 한도에 맞춰 납부하던 경우에는 납입액을 늘리거나 과거에 세액공제 대상 납입 한도를 초과한 부분이 있다면 ‘납입연도 전환특례’ 신청을 통해 추가 혜택을 누리면 된다.또한 종전에는 총급여액 5500만 원 초과(종합소득 금액 4000만 원 초과) 시에는 세액공제율이 15%가 아닌 12%가 적용됐는데, 이 중 종합소득 금액 기준이 4500만 원으로 다소 완화된 수준이다.둘째, 1주택 고령가구의 주택 다운사이징 차액에 대해 추가 납입이 허용됐다. 종전의 연금저축과 퇴직연금을 합산한 납입 한도가 연간 1800만 원과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만기 시 전환 금액으로 제한돼 있었다.올해부터는 부부 중 1명이 60세 이상으로 공시가격 12억 원 이하의 주택을 보유한 1주택자가 주택을 양도하고 더 낮은 가격의 주택을 취득해 이사한 경우, 매매 금액 차액을 연금계좌에

    2023.02.27 08:30:47

    [TAX] 은퇴자들이 주목할 연금계좌 세제 혜택은
  • [굿잡 #3] 경력·자격·비용無···은퇴자, 경단녀 뛰어드는 月400 버는 ‘이 직업’은?

    [한경잡앤조이=강홍민 기자] 이제 곧 있으면 월동준비들 하셔야 할 텐데요. 집안 곳곳에 쌓인 물건들 버려야지 하면서도 못 버리는 것들 많으시죠. 마음먹고 대청소를 해도 막상 쓰레기통으로 버리기가 쉽지 않습니다. 물건을 사기만 하고 버리지 않으면 집 안 꼴이 말이 아니게 되는 건 다들 아실 텐데, 그래서 이 직업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내 집, 내 공간을 대신 청소해주고 정리해주는 직업 ‘정리정돈전문가’입니다. 이 직업은 특별한 기술이나 자격이 없어도 누구나 할 수 있고, 투잡으로도 충분히 가능한 직업으로 퇴직자들 그리고 경단녀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오늘 99초 굿잡에서 좀 더 깊게 정리정돈전문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정리정돈전문가, 어떤 일을 하는 직업일까 정리정돈전문가는 정리가 필요한 고객의 의뢰가 있으면 집, 사무실을 방문해 공간을 정리해주는 일을 합니다. 일반적으로 물건을 버리지 못하는 분들을 저장강박증이라고 하는데 이런 분들이 주요고객이 됩니다. 일의 순서는 먼저 어떤 공간인지, 어떤 물건이 있는지를 미리 체크하고 실제 방문을 해서 계속 사용할 물건, 버릴 물건으로 나눠주는 일을 합니다. 정리 비용은 어느 정도일까 투입하는 인원수나 업체별로 조금씩 다른데 자격증이 있고 경력이 3년 이상이면 1인당 20만원, 경력이 없는 경우 10만원 정도 책정됩니다. 정리정돈 전문가, 어떻게 하면 될 수 있을까 이 직업은 우선 자격증이나 기술이 필요한 직업은 아닙니다. 정리에 대한 기본 이해만 있으면 누구나 할 수 있는 직업입니다. 자격증이 있긴 한데요. 민간자격증인 정리정돈전문가 1, 2급이 있고, 정리프로세스 /

    2022.10.17 10:31:24

    [굿잡 #3] 경력·자격·비용無···은퇴자, 경단녀 뛰어드는 月400 버는 ‘이 직업’은?
  • 내 노후자금은 얼마나 준비해야 할까

    [한경 머니 기고= 김동엽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상무] “노후자금은 얼마나 준비해야 하나요?” 은퇴를 목전 둔 사람이라면 누구라도 궁금해할 것이다. 이 질문에 답하려면 몇 가지 정보가 필요하다. 먼저 한 해 적정한 생활비 규모를 파악해야 한다. 사망 시점도 예측해야 한다. 그래야 은퇴 후 사망할 때까지 은퇴 기간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은퇴 기간 동안 물가상승률과 투자수익률(할인율)이 얼마나 될지 생각해봐야 한다. 정보 파악이 끝났으면 노후자금을 계산할 차례다. 이해를 돕기 위해 홍길동 씨를 예로 들어보자.예순다섯 살인 홍길동 씨는 조만간 은퇴할 예정이고, 은퇴 기간은 30년으로 예상한다. 은퇴하는 해에는 생활비로 한 해 3600만 원(월 300만 원)을 사용하고, 이후에는 매년 물가상승률에 맞춰 생활비를 늘려 갈 생각이다. 은퇴 기간 동안 물가는 매년 2.5%씩 상승하고, 노후자금을 운용해서 연평균 3% 수익을 낼 수 있다.매년 필요한 생활비부터 계산해보자. 65세 때는 3600만 원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물가상승률에 맞춰 2.5%씩 생활비가 늘어나기 때문에 66세 때 3690만 원, 67세 때는 3782만 원이 필요한다. 같은 방식으로 계산해 나가면 30년 뒤 94세 때에는 생활비로 7367만 원이 필요한다. 이번에는 미래에 생활비를 현재 가치로 할인할 차례다. 이때 할인율로 투자수익률(3%)을 사용한다. 이렇게 해서 매년 필요한 생활비를 현재 가치로 할인한 다음 전부 더하면 10억731만 원이 나온다.홍 씨에게 필요한 노후자금 계산 방법은퇴 설계 전문가가 직접 계산을 하든, 금융사 등에서 제공하는 노후자금 계산 시뮬레이터를 활용하든 간에 계산 방법은 크게 다르지 않다. 어쨌든 노후자금이 10억 원

    2022.05.31 09:32:41

    내 노후자금은 얼마나 준비해야 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