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술 이름 기가 막히네”...증류식 소주 ‘개빡치주’ 출시

     이마트24는 이달 26일부터 국내 OTT 업체 ‘왓챠’와 손잡고 웹드라마 ‘좋좋소’를 통해 탄생한 빡치주·개빡치주 2종을 출시한다고 25일 밝혔다빡치주·개빡치주는 각 25도, 40도인 프리미엄 증류식 소주다. 대한민국 직장인을 위로하는 술이라는 위트를 담은 상품명과 국내산 쌀, 물, 누룩으로만 만든 깔끔한 맛이 특징이다.술 이름은 좋좋소 시즌5 4화에서 본격적으로 주류 사업에 뛰어든 정승네트워크 직원들이 소주 브랜딩을 기획하는 장면에서 언급된 바 있다.언어유희와 재치로 폭소를 유발하며 방영 당시 많은 화제를 불러모았다. 이에 힘입어 지난해 온라인 한정 판매에 돌입했는데, 당시 3만병 완판을 기록하며 고객들의 호응을 얻기도 했다.이 상품을 26일부터 이마트24 편의점에서도 구매할 수 있게 된 것이다.이마트24는 지난달 출시한 독도소주에 이어 빡치주, 개빡치주까지 업계 최초로 선보여 프리미엄 증류식 소주 고객을 이마트24로 끌어 들인다는 계획이다.김정우 기자 enyou@hankyung.com 

    2023.05.25 10:58:03

    “술 이름 기가 막히네”...증류식 소주 ‘개빡치주’ 출시
  • “한국 음식 먹으러 가자”...싱가포르에서 ‘대박’난 이 편의점

     이마트24가 싱가포르에서 큰 인기를 끌며 목표 매출의 2배 실적을 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마트24는 지난해 12월 싱가포르 현지 기업과 손잡고 1호점(주롱포인트점)과 2호점(넥스몰점)을 연달아 개점했다. 한국 편의점으로는 최초로 싱가포르게 진출한 것이다.이마트24는 현지 기업에 브랜드 사용권과 운영시스템 노하우를 제공하고 로열티를 받는 방식으로 점포를 운영 중이다.이마트24 개점 후 약 5개월간의 운영 실적은 기대 이상인 것으로 전해진다.이마트24 관계자는 “구체적인 매출 자료를 공개할 수는 없으나 개점 당시 잡은 목표 매출액의 2배 이상 실적이 나오고 있어 현지 파트너 업체도 놀라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편의점 산업 성장 가능성 높아싱가포르의 경우 인구가 약 600만명에 이르는 작은 국가다. 다만 1인당 국민소득이 8만달러(약 1억원·지난해 기준)에 육박할 정도로 높다.이런 싱가포르는 인구당 편의점 수가 8천500명당 1개에 불과하다. 지난해 중국프랜차이즈경영협회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한국은 1059명당 1개, 일본 2218명당 1개, 미국 2211명당 1개 수준이다.높은 소득 수준에 절대적으로 부족한 편의점 수를 고려하면 편의점의 성장 가능성이 큰 셈이다.현지에서의 높은 한국 음식의 인기도 편의점으로 현지인들의 발길을 그러모으는 데 일조하고 있다는 분석이다.닭강정, 핫도그, 떡볶이, 어묵튀김, 컵밥, 식혜, 김밥, 삼각김밥 등 한국형 분식류 즉석식품 매출 비중이 57%에 달할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다.이마트24 관계자는 “싱가포르 현지에서 한식은 가격이 비싼 편인데, 맛과 품질을 겸비한 K-푸드를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맛볼 수 있다는 점이 젊은 층의

    2023.05.06 09:41:11

    “한국 음식 먹으러 가자”...싱가포르에서 ‘대박’난 이 편의점
  • 정용진 "고객·상품 있는 현장서 해법 찾자"…현장경영 강화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이 8일 오전 이마트24 상품전시회 '딜리셔스페스티벌'을 직접 방문하며 현장경영에 나섰다.딜리셔스페스티벌은 8일부터 10일까지 3일간 양재 aT센터에서 진행되며, 23년 사업 전략 및 상품 트렌드, 매장운영 노하우를 경영주와 공감하는 자리다.정용진 부회장은 현장을 둘러보며 첫 연간 흑자전환에 성공하고 더 큰 성장을 위해 창사이래 첫 상품전시회를 연 이마트24 임직원들을 격려하며 "어려운 시기일수록 고객과 상품이 있는 현장에 해법이 있다"고 현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리테일 비즈니스의 핵심은 고객이고, 고객과 유통업체가 대화할 수 있는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요소는 상품과 서비스"라며 "특히, 불확실한 경영환경 시대에는 기본으로 돌아가 고객과 상품에 더욱 광적으로 집중하여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혁신할 때 위기를 돌파하고 더 큰 도약의 기회를 잡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2020년을 시작으로 올해까지 총 3차례의 신년사에서 '고객에 대한 광적인 집중'을 언급하며 고객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해온 정부회장이 이날 이마트 24 상품전시회 현장을 찾아 다시 한번 고객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했다.지난해 매출 2조원(2조1181억원)을 돌파하고 영업이익 68억원으로 흑자 전환을 달성한 이마트24는 첫 상품 전시회를 통해 상품 및 디지털 혁신 전략을 경영주와 공감하며 미래 성장을 가속화한다는 계획이다.한편, 이마트24 상품전시회 딜리셔스페스티발은 6400여개 매장의 경영주와 34개 협력사에서 참석하며 전시관은 플러스관, MD컨셉관, 상생관으로 구성됐다.플러스관에서는 마케팅, IT서비스 등 매장 운영의 다양한

    2023.03.08 14:47:45

    정용진 "고객·상품 있는 현장서 해법 찾자"…현장경영 강화
  • ‘BMW부터 냉장고까지’…별걸 다 파는 편의점의 속사정

    “다이아몬드·골드바에 TV·냉장고·세탁기까지…이번엔 자동차를 판다고?”편의점은 오랜 기간 담배가게로 불렸다. 담배가 판매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기 때문이다. 이어 소주·맥주·라면·도시락 등이 편의점을 상징하는 상품이었다.요즘은 달라졌다. 벤츠 다이아몬드, 이동식 주택, 명품 가방, 수천만원짜리 와인까지 판매하기 시작했다. 한정 판매를 앞세워 어디까지 판매할 수 있는지 도전하고 있는 듯한 모습이다. 생존 전략이다. 5만 개가 넘는 점포들로 시장은 과포화 상태다. 업계의 자율 규약으로 신규 출점도 어렵다. 편의점은 살아남고 지명도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이벤트성 판매를 이어 가고 있다. 여기에 ‘외형 성장’이 아닌 ‘가맹점 수익성 개선’이라는 전략에 따라 고가의 제품 판매도 늘려 가고 있다. 벤츠부터 700만원짜리 와인까지편의점들은 설·추석·연말 등 특정 기간에 한정 판매 형식으로 독특한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지난 설에 가장 화제를 모았던 판매 편의점은 이마트24였다. 설에 맞춰 명절 선물로 3캐럿 다이아몬드·벤츠·BMW 등을 판매했다. 5990만원의 3.27캐럿 다이아몬드는 한국 최대 보석감정원인 ‘우신’이 감정한 것으로, 전문 요원이 보안 차량으로 고객이 원하는 장소와 시간에 맞춰 안전하게 대면 배송해 줄 계획이었다. 하지만 이 제품은 팔리지 않았다.  이마트24는 또 벤츠 E클래스와 BMW 5시리즈 차량도 설에 판매를 시도했다. 벤츠는 최대 100만원, BMW는 최대 1200만원 저렴하게 내놓았다. 이마트24는 지난해 추석에도 전기차 전문 업체 디피코와 포트로 초소형 전기 트럭

    2023.02.06 06:00:30

    ‘BMW부터 냉장고까지’…별걸 다 파는 편의점의 속사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