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더 좁아진 임원 승진 문…‘젊은 피·여성·재무통’은 뚫었다

    [비즈니스 포커스] 기업들의 실적이 곤두박질하고 어두운 경기 전망 속에서 임원 인사에 칼바람이 불어닥치며 임원 승진 규모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한국의 100대 기업 임원 수는 7100명대에서 2023년 6800~6900명 수준으로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전체 임원 승진자 감소 추세에도 불구하고 젊은 리더와 여성 인재 발탁이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으면서 30~40대 임원과 여성 임원은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5가지 특징을 중심으로 2022년 달라진 임원 인사 트렌드를 살펴봤다.  ① 부회장 승진자 감소올해 대기업 사장단 인사의 특징은 부회장 승진자 감소다. 주요 그룹의 부회장단은 총수를 보좌하는 가신(家臣) 역할을 해 왔지만 세대교체와 맞물리면서 올해 주요 그룹에서 부회장 승진자는 손에 꼽을 정도였다.기업들은 ‘전쟁 중에는 장수를 바꾸지 않는다’는 인사 기조로 전반적으로 변화보다 안정에 무게를 뒀다. 삼성·SK·현대차·LG 등 4대 그룹에선 핵심 경영진인 부회장들이 대부분 유임됐다.오너 일가 중에선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장남인 김동관 한화솔루션 부회장, 성기학 영원무역·영원아웃도어 회장의 차녀인 성래은 영원그룹 부회장이 타이틀을 달았다.전문 경영인 중에선 최성안 삼성엔지니어링 사장이 삼성중공업 부회장으로, 이명우 동원산업 사장이 동원산업 사업지주부문 부회장으로, 명노현 (주)LS 사장·도석구 LS MnM 사장이 각각 부회장으로 승진했다.  ② 파격에서 대세로…‘3040 젊은 피’ 돌풍연공서열에서 벗어나 능력과 성과 중심 인사 기조를 이어 가면서 30~40대 젊은 임원을 발탁한 기업들이 늘어났다. 50대 전유물이었던

    2022.12.13 06:09:02

    더 좁아진 임원 승진 문…‘젊은 피·여성·재무통’은 뚫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