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직장 만족도 높을수록 출산 의향 높아….”저출산 해결에 기업 역할 중요”

    우리나라의 지난해 출생아 수가 역대 최저치인 24만 9000명을 기록했다. 올해 출생아 수는 이보다 더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2012년 48만 5000명 수준이던 출생아 수는 10년 사이 반토막이 됐다.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는 저출산 현상의 중심에는 결혼 적령기인 2030세대 청년들이 있다. 정부가 출산을 장려하기 위해 지난 17년(2006~2022년) 간 332조 원을 쏟아 부었다. 하지만 청년들은 결혼에서 출산으로 이어지는 전통적인 생애주기 모델을 더 이상 받아들이지 않는다. 이인실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이하 한미연)(이사장 정운찬) 원장은 “저출산 현상을 청년들의 탓으로 돌릴 수는 없다”며 “오히려 연애와 결혼을 포기하고 치열한 경쟁사회를 살아가는 청년들의 불안과 좌절을 살펴야 한다”고 강조한다. 저출산 현상은 청년세대가 자초한 ‘문제’가 아니라 청년세대에게 나타난 ‘결과’라는 것이다. 한미연은 결혼·출산에 대한 2030세대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전문 리서치업체 엠브레인(대표 최인수)과 함께 올해 심층조사를 실시한 후 7일 그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전국 15~59세 남녀 2,300명을 대상으로 정량조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특히 신뢰도 향상을 위해 결혼·출산의향 및 성별을 기준으로 6개 그룹의 표적집단을 구성한 후 사전 심층면접(Focus Group Discussion)을 통해 설문 문항을 도출했으며 다시 이를 여러 차례 수정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번 조사는 결혼과 출산에 대해 2030 세대가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분명하게 보여줬다.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의미 있는 결과 들을 자세히 살펴봤다. 2030 출산에 가장 큰 영향 ‘경력단절’ 이번 조사 결과에서는 특히 2030대 여성의 경우, 출산 후 다시

    2023.08.12 15:56:34

    직장 만족도 높을수록 출산 의향 높아….”저출산 해결에 기업 역할 중요”
  • 인구 절벽부터 인프라 노후화까지…늙어가는 일본 [글로벌 현장]

    [글로벌 현장]도쿄 3대 민영 전철 가운데 하나인 오다큐선은 올해 3월 12일부터 초등학생 요금을 전 구간 50엔(교통카드 이용 시)으로 대폭 인하했다. 최근 환율(100엔당 950원)을 적용하면 475원이다. 지금까지는 성인 요금의 반값이었다.오다큐선은 신주쿠에서 가나가와현의 유서 깊은 해안 도시인 오다와라까지 82.5km를 달리는 노선이다. 일본의 지하철 요금도 거리에 비례한다. 어린이가 신주쿠에서 오다와라까지 가려면 445엔이 들었다. 하지만 3월부터는 시점부터 종점까지 달려도 50엔이다. 요금이 90% 내려간 셈이다.서울 지하철의 초등학생 기본 요금은 450원이다. 서울 지하철로 똑같이 82km를 달리면 1050원이 든다. 오다큐선의 어린이 요금이 서울의 반값인 셈이다. 도쿄 지하철 어린이 요금, 서울보다 싸졌다오다큐는 어린이 요금 인하로 연간 2억5000만 엔의 수입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철도는 코로나19 피해를 가장 크게 받은 업종이다. 대규모 적자를 낸 민간 철도 회사들은 역 주변 쇼핑몰과 호텔 자산을 팔아 근근이 버티고 있다.한 푼이 아쉬운 때 오다큐가 연간 25억원의 손실 감수를 결정한 것은 인구 감소가 코로나19 사태보다 더 무섭기 때문이다. 오다큐선은 1일 유동 인구가 일본 1위인 신주쿠와 도쿄에 이어 인구가 둘째로 많은 광역 지방자치단체인 가나가와현을 연결하는 수도권 알짜 노선이다.노선 주변의 인구가 매년 증가해 인구 감소는 남의 일 같아 보였다. 하지만 국립사회보장·인구문제연구소와 공동 연구 결과 2020년 518만 명까지 늘었던 노선 주변 인구가 5년 내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035년이면 주변 인구가 502만 명까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오다큐는 코로나19 사태

    2022.08.11 06:00:02

    인구 절벽부터 인프라 노후화까지…늙어가는 일본 [글로벌 현장]
  • 인구 절벽에 성큼 다가온 ‘축소 사회’… 50년 후 생산가능인구 반 토막

    [스페셜 리포트-새로운 시대 새로운 전략, 트윈 트랜스포메이션] 인구 절벽이 현실화되면서 생산가능인구가 빠르게 줄어드는 ‘축소 사회’가 시작됐다. 인구 감소는 당초 예상보다 일찍 지난해부터 시작됐다. 생산가능인구는 50년 후 현재의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축소 사회는 비단 한국만의 문제가 아니다. 세계 각국의 대부분이 인구 구조 변화라는 ‘거대한 과제’에 직면해 있다. 선진국은 물론 개발도상국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시장에선 인공지능(AI)과 로봇이 인구 절벽에 대응할 생산 수단이 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하지만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늘 함께한다. 이에 따라 다른 국가의 노동력을 흡수하는 이민 쟁탈전이 일어날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AI·로봇,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윌 스미스 주연의 SF 영화 ‘아이, 로봇’에는 자아를 가진 로봇이 등장한다. 지능을 가졌을 뿐만 아니라 감정을 이해하는 능력도 갖췄다. 이 로봇은 인간이 정한 ‘법칙’에 따라 인류가 해야 할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는 동시에 보조한다. 영화에선 몇몇 로봇이 인류에 반항하지만 그전까지는 AI와 로봇을 통해 인류가 꿈꾸는 ‘유토피아’를 보여준다.축소 사회가 한국보다 먼저 시작된 국가들은 로봇 산업의 발전으로 인간의 빈자리를 채우는 데 여념이 없다. 생산가능인구가 부족하더라도 자동·기계화 기술의 발전이 인구 감소분을 상쇄하고도 남을 수 있다는 ‘장밋빛 희망’ 아래 로봇 연구에 매진하는 중이다.특히 고령화가 한참 전부터 시작된 선진국들은 자동화와 관련된 로봇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국제로

    2022.04.05 06:00:02

    인구 절벽에 성큼 다가온 ‘축소 사회’… 50년 후 생산가능인구 반 토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