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中 디플레 우려에도 기준금리 5개월 연속 동결

    중국 인민은행이 사실상 기준금리 역할을 하는 대출우대금리(LPR)을 작년 9월 이후 5개월 연속 동결했다. 인민은행은 22일 홈페이지를 통해 LPR 1년 만기는 연 3.45%, 5년 만기는 연 4.20%로종전과 같이 유지한다고 발표했다. 작년 8월 21일 LPR 1년 만기를 2개월 만에 0.1%포인트 인하하고 5년 만기는 동결하는 조치를 발표한 이후 9월부터 5개월 연속으로 같은 수치를 유지한 것이다.중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작년 10월 –0.2%, 11월 –0.5%, 12월 –0.3%를 기록하며 디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있다.그럼에도불구하고 이번에 금리 인하를 결정하지 않은 이유는 작년 8월 단행한 LPR을 0.1%포인트 인하가 시장에 미치는 효과를 지켜보기 위한 것이라는 해석이다. 또 지난해 중국 경제성장률이 5.2%를 달성해 당국의 목표치인 ‘5% 안팎’에 부합했으니 추가 금리 인하를 통한 통화완화 정책은 잠시 멈추고자 하는 의도가 담긴 것으로 보인다. 인민은행은 매달 20일 LPR을 발표한다. 명목상으로는 시중은행 우량 고객 대상 대출금리다. 그러나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여러 가지 정책 사항을 고려해 결정하고 18개 은행의 신규 대출 금리 선정의 기준이 되기 때문에 사실상 기준금리 역할을 한다. 1년 만기는 일반대출 금리, 5년 만기는 주택담보대출 금리로 알려져 있다. 1년 만기 LPR 3.45%는 인민은행이 LPR을 홈페이지에 고시하기 시작한 2019년 8월 4.25% 이래로 4년 만에 가장 낮은 금리다. 5년 만기 LPR 4.20% 역시 2019년 8월 4.85%에서 지속해 낮아져 지난해 6월 이후 6개월째 최저치를 유지하고 있다.임나영 인턴기자 ny924@hankyung.com 

    2024.01.22 12:03:39

    中 디플레 우려에도 기준금리 5개월 연속 동결
  • 요동치는 위안화 가치…‘환율 조정’ 차차 손 떼는 중국 [글로벌 현장]

    [글로벌 현장]위안화 환율이 요동치고 있다. 올 들어 4월까지 4% 가까이 올랐다. 환율이 갑자기 빠르게 움직이면 외국인 자금이 급속도로 빠져나갈 수 있다. 중국을 포함한 대부분의 국가들은 환율이 단기적으로 크게 변하지 않는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선호한다.올해 월간 위안화 환율은 1월 0.08% 올랐고 2월 0.8% 내렸다. 3월 0.5% 정도 오르더니 4월 4.2%나 뛰었다. 월간 단위로 환율이 이렇게 많이 변동한 것은 사상 처음이다.중국은 환율을 달러당 8.2위안으로 고정하는 고정 환율제를 쓰다가 2005년 시장 원리를 반영하는 방향으로 제도를 개혁했다. 이후 위안화 강세(환율 하락)가 상당 기간 이어졌다. 2013년부터 크게 6~7위안 이내의 흐름을 보이고 있다.이렇게 보면 환율이 달러당 6.3위안에서 6.6위안으로 4% 정도 움직이는 것은 큰일이 아닌 것으로 느껴질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속도가 중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인민은행이 기준 환율 결정글로벌의 환율 기준은 달러다. ‘기축통화’의 위력을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다. 예컨대 원화와 위안화 간 환율은 원화와 달러, 달러와 위안 사이의 상대적 가치 변화에 따라 결정된다. 위안화가 약세가 된다고 해도 원화까지 달러 대비 약세가 되면 위안화와 원화 간 환율은 큰 변동이 없을 수 있다.선진국들은 대부분 외환 시장에서 시장 원리, 수요와 공급에 따라 환율이 결정된다. 정부가 환율에 개입한다고 해도 갖고 있는 달러를 시장에 풀거나 아니면 사거나 하면서 방향을 유도하는 식이다.중국은 아주 독특한 환율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먼저 위안화 시장은 크게 두 개다. 하나는 상하이 역내 시장이고 다른 하나는 홍콩 역외 시장이

    2022.05.12 17:30:04

    요동치는 위안화 가치…‘환율 조정’ 차차 손 떼는 중국 [글로벌 현장]
  • 20개월 만에 기준금리 내린 중국 [글로벌 현장]

    [글로벌 현장]경기 하강 우려가 커지고 있는 중국이 기준금리를 20개월 만에 내렸다. 미국 등 주요 경제 대국들이 인플레이션 우려로 금리 인상에 나서는 것과 대비된다. 미국 중앙은행(Fed)이 긴축 강화를 선언하면서 2022년 세 차례 금리 인상을 예고한 데 이어 영국 중앙은행도 3년 4개월 만에 금리를 깜짝 인상했다.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2021년 12월 1년 만기 대출 우대 금리(LPR)를 전달의 연 3.85%보다 0.05%포인트 낮은 연 3.80%로 인하한다고 2021년 12월 20일 발표했다. 다만 5년 만기 LPR은 연 4.65%로 동결했다. ‘헝다 디폴트 사태’ 영향이 직접적 중국은 2019년 8월부터 LPR을 사실상의 기준금리로 지정했다. 그전까지는 한국처럼 7일물 환매 조건부 채권을 기준금리로 썼다. LPR 1년 만기는 일반 대출에서, 5년 만기는 주택 담보 대출에서 기준으로 쓰인다. LPR은 18개 은행이 보고한 최우량 고객 대출 금리의 평균치로 매달 20일 공표된다. 형식상으로는 은행들의 동향을 취합한 것이지만 실제로는 중앙은행이 정책 지도 등을 통해 결정한다.중국이 LPR을 기준금리로 지정할 당시 1년 만기는 4.25%, 5년 만기는 4.85%였다. 2020년 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단계적으로 내렸다. 마지막 인하했던 2020년 4월 1년 만기는 0.2%포인트, 5년 만기는 0.1%포인트 인하했다.이번에 인민은행이 LPR을 내린 것은 2020년 4월 이후 20개월 만이다. 이번 인하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것은 중국 당국의 고민이 반영된 결과로 분석된다. 경기 하강을 막기 위해 금리를 내릴 필요성이 커졌지만 인플레이션과 부실 부채 문제에도 대응해야 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결국 기준금리를 내리기는 했지

    2021.12.25 06:00:13

    20개월 만에 기준금리 내린 중국 [글로벌 현장]
  • 내수 침체에 발목 잡힌 중국 경제

    [글로벌 현장]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한 내수 침체와 원자재 값 상승이 ‘나 홀로 고공 행진’을 이어 가던 중국 경제의 발목을 잡았다. 코로나19로 인한 단기 불황에서 벗어나 올해 1분기 V자 반등한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2분기엔 반 토막이 났다. 팬데믹(세계적 유행)이 만든 불확실성이 서서히 걷히자 중국 경제 곳곳에 자리했던 위기 신호가 고스란히 모습을 드러냈다는 평가가 나온다. 예상치 밑돈 중국의 2분기 성장률중국 국가통계국은 2분기 국내총생산(GDP)이 28조2857억 위안(약 5017조원)으로 작년 2분기보다 7.9%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7월 15일 발표했다. 전문가 예상치인 8.1%를 밑돌았다. 올해 1분기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1992년 분기별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이후 최고치인 전년 동기 대비 18.3%를 기록했다. 지난해 1분기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마이너스 6.8%로 떨어졌다. 코로나19의 확산으로 경제 활동이 멈추다시피 했기 때문이다. 그러다 작년 2분기 3.2%로 반등했고 3분기 4.9%, 4분기 6.5%를 각각 기록했다.코로나19의 기저 효과를 빼고 보면 올 2분기 성장세는 예년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다. 2019년 2분기와 비교하면 중국의 GDP는 2년 동안 평균 5.5%씩 성장했다. 코로나19 이전에 6%대 성장률을 이어 갔던 것과 차이가 있다.전문가들은 기저 효과에 따른 착시를 줄이기 위해 GDP 증가율을 전 분기 대비로 봐야 한다고 지적한다. 중국의 전 분기 대비 2분기 성장률은 1.3%다. 1분기 0.4%에 비하면 올라갔지만 2019년까지 5년여 동안 전 분기 대비 성장률 1.5% 안팎을 꾸준히 유지했던 데 비하면 부진한 성적표다.글로벌 금융회사들은 올해 하반기부터 중국의 수출 성장세가 꺾이면

    2021.07.28 06:31:01

    내수 침체에 발목 잡힌 중국 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