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플레 시대, ‘글로벌 인프라’는 견고했다
인플레이션 시대가 장기화되면서 이에 따라 수혜가 예상되는 자산군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 대표 자산 중 하나가 원자재다. 그러나 원자재 선물 시장의 높은 변동성은 개인투자자들이 투자하기에 큰 장애가 될 수밖에 없다. 주식보다 변동성은 낮으면서 인플레를 훌륭히 방어할 수 있는 자산에는 무엇이 있을까.전 세계에 거래되고 있는 인프라스트럭처(Infrastructure, 이하 인프라) 관련 주식이 인플레 수혜주로 이목을 끌고 있다.실제로 올해 상반기 금리 인상과 경기 둔화 우려에 글로벌 증시는 연초 이후 지속적인 변동성을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인프라 자산에 투자하는 펀드들은 견고하게 하락장을 방어하는 모습이다.인프라는 경제 활동의 기반을 형성하는 기초적인 시설과 시스템을 말한다. 도로, 전기, 통신, 항만, 공항 등 경제 활동에 밀접한 사회간접자본(SOC)이 그것이다.대부분의 선진국에서는 사회간접자본이 민영화돼 있다. 한국의 맥쿼리인프라가 대표적인 예다. 주식 시장에 상장된 맥쿼리인프라는 인천국제공항 고속도로, 서울~춘천 간 고속도로, 인천대교에 투자하고 있으며, 이로부터 발생한 이익을 투자자에게 배분하는 형태의 비즈니스를 영위한다.국내에는 인프라 기업이 소수이지만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시장에는 디지털 인프라, 에너지 인프라, 사회적 인프라 등 다양한 형태의 인프라 기업들이 존재한다.통신타워, 5G 시대의 새로운 성장 산업 두각통신타워는 국내에서 아직 생소하지만 서양에서는 인프라 산업의 주요 섹터를 담당하는 사업 중 하나다. 지난 4월 말 기준 통신타워 회사로 구성된 인프라 리츠(REITs) 섹터의 시가총액은 2304억 달러로 전체 미
2022.08.29 06:0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