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영업 사장님들 “소주값‧가스비 인상, 월세보다 더 무섭다”[메가 인플레이션②]
[스페셜 리포트]위태로운 청년의 미래경기도 양주에서 5년째 철물점과 스크린골프장을 운영하던 강 모 씨 부자는 올해 초 스크린골프장 문을 닫았다. 스크린 1회 이용료 1만원으로는 전기료와 난방비 등 폭등하는 비용을 감당할 수 없었다. 동네 장사다 보니 이용료를 올릴 수도 없다. 아들 강 모(33) 씨는 “코로나19 사태 때도 버텼는데 올해 겨울은 도저히 못 견디겠더라. 그나마 철물점은 손님들이 물건을 사고 바로 나가 난방을 안 해도 된다. ‘춥지 않냐’며 걱정하는 손님도 더러 있었는데 추위가 문제겠냐”고 말했다. 하지만 철물점 벌이도 쉽지는 않다. 그는 “5000원에 팔던 시멘트 1포대를 지금은 7500원에 팔고 있다”며 “1년 새 판매가가 1.5배 올랐고 매출은 반 토막이 났다”고 덧붙였다.자영업자들에게 한파보다 무서운 난방비 폭탄이 떨어졌다. 소상공인연합회가 올해 1월 실시한 긴급 난방비 실태 조사 결과 난방비가 30% 이상 상승했다고 답한 응답자는 51.6%에 달했다.유지 비용이 올라갔다고 판매 가격을 올리기는 쉽지 않다. 동네 장사를 하거나 코인노래방·미용실 등 경쟁 업체가 많은 업종은 500원, 1000원만 올려도 손님이 뚝 끊기기 때문이다.전기료 인상도 부담이다. 오세희 소상공인연합회 회장은 “전기를 많이 사용하는 PC방 같은 곳은 전기료가 400만원에서 700만원까지 뛰기도 했다”며 “임대료가 무서운 게 아니라 전기료·가스비가 더 무섭다”고 말했다.음식점 사장님들의 시름은 최근 더 깊어지고 있다. 지난해 일제히 올랐던 소주와 맥주 가격이 올해 또 꿈틀대고 있기 때문이다. 기획재정부와 주류업계 등에 따르면 올해 4월부터 맥주에
2023.02.25 06:00:13
-
‘위드 코로나’는 자영업자를 구할 수 있을까…영국 상황 살펴보니
[비즈니스 포커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우리 사회 곳곳에 상흔을 남기고 있다. 그중 가장 치명적인 상처를 입은 이들은 바로 ‘자영업자’들이다. 텅텅 빈 거리에 손님들의 발걸음이 뚝 끊겼고 사회적 거리 두기가 이어지며 소비 심리 또한 꽁꽁 얼어붙었다. 정부는 이르면 10월 말 혹은 11월부터 ‘위드 코로나’로 전환할 것이라고 예고했지만 여전히 코로나19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일상으로의 회복’에 대한 우려 또한 높은 게 사실이다. 위드 코로나 논란의 핵심은 결국 자영업자들의 생존과 영업권 보장에 대한 문제다. 위드 코로나가 자영업자들의 고통을 줄여줄 수 있을까. 지난 9월 위드 코로나 두 달째를 맞고 있는 영국의 자영업자들을 만나 그 실마리를 찾아봤다.영국, 음식점·펍 등 서비스 산업이 성장세 주도영국 정부는 지난 7월 높은 백신 접종률을 토대로 ‘자유의 날’을 선언하고 코로나19 사태와 관련한 방역 봉쇄를 풀었다. 지난 4월 미용실과 체육관 등의 문을 오픈하고 지난 5월 레스토랑·펍·카페 등의 실내 영업 제한을 풀었던 영국 정부는 지난 7월을 기점으로 모든 모임 제한과 영업 시설 운영 제한 또한 해제했다. 이와 함께 실외뿐만 아니라 실내에서도 마스크 착용 의무를 없앴다.영국 정부가 이 같은 결정을 내린 데는 경제적인 이유가 컸다. 지난해 영국은 코로나19 사태의 여파로 심각한 경제적 타격을 입었다. 영국 통계청(ONS)의 발표에 따르면 첫째 락다운이 진행된 지난해 4월 영국의 국내총생산(GDP)은 25% 하락했다.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한 봉쇄 조치가 이어지면서 가계 소비가 급감한 영향이었
2021.10.12 06:0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