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될성부른 기업은 떡잎부터 달라…‘리스크 테이킹’의 중요성 [장동한의 리스크 관리 ABC]

    [장동한의 리스크 관리 ABC]2000년 1월판 포천 매거진 표지엔 분명 ‘스티브 잡스(Steve Jobs)’ 사진이 올라 있는데 이름이 ‘스티비 원더(Stevie Wonder)’라고 찍혀 있다. 스티비 원더는 필자가 아주 좋아하는 미국 리듬 앤드 블루스(R&B)의 싱어다. 도대체 왜 스티브 잡스를 스티비 원더라고 쓴 걸까.1970년대 말 친구 스티브 워즈니악과 함께 자기 집 차고에서 인류 최초의 퍼스널 컴퓨터를 만든 이가 스티브 잡스다. 그가 시작한 애플 컴퓨터는 승승장구했다.회사 규모가 급속히 커지자 전문 경영 역량이 필요했고 엔지니어였던 스티브 잡스와 스티브 워즈니악은 당시 펩시콜라의 최고경영자(CEO)였던 존 스컬리를 영입한다.세 명은 한때 환상의 콤비라는 칭찬을 받기도 했지만 1985년 결국 갈라서고 만다. 천재적이지만 독선적인 성격의 스티브 잡스는 원만한 사회생활과 안정적인 비즈니스 운영에 도리어 방해가 된다는 비판 속에 이사회 결의를 통해 자기가 세운 애플에서 쫓겨나는 수모를 겪었다.하지만 그게 끝이 아니었다. 스티브 잡스가 곧바로 워크스테이션급 고급 컴퓨터 넥스트(NeXT)를 선보였지만 그 역시 실패했다. 훌륭한 하드웨어 컴퓨터였지만 소프트웨어가 뒷받침되지 않았다.거듭된 실패에도 스티브 잡스는 굴하지 않고 새로운 비즈니스를 찾아 나섰는데 결국 3D 애니메이션 필름 회사인 픽사에 투자해 대박을 터뜨렸다. 탄력을 받은 스티브 잡스는 1997년 애플에 컴백해 아이맥·아이팟·아이폰·아이패드 등 히트 상품을 연이어 출시한다.그리고 췌장암 투병을 하다가 2011년 사망한다. 그야말로 스티브 잡스의 생애는 ‘원더(wonder) 풀(full)’하다. ‘스티브 원더(Stevie

    2021.08.05 06:00:22

    될성부른 기업은 떡잎부터 달라…‘리스크 테이킹’의 중요성 [장동한의 리스크 관리 ABC]
  • 기대 수익 무한대인 도박에 참여하지 않는 이유 [장동한의 리스크 관리 ABC]

    [장동한의 리스크 관리 ABC]동전 던지기 게임을 생각해 보자. A가 동전을 던져 앞면이 나오면 B는 A에게 2달러를 주고 게임은 끝나고 뒷면이 나오면 A는 다시 동전을 던진다.만약 두 번째 던지기에서 앞면이 나오면 B는 A에게 2의 2제곱달러($2²)를 지불하고 게임은 끝나는데, 뒷면이 나오면 A는 다시 동전을 던지게 된다. 이런 식으로 동전의 앞면이 나올 때까지 게임이 계속되는데 만약 n번째 던지기에서 앞면이 나오면 B는 A에게 2의 n제곱달러($2ⁿ)를 지불해야 한다.오랫동안 계속 뒷면이 나오다가 결국 언젠가 앞면이 나오면 A는 큰돈을 받게 될 것이다. 그렇다면 이 게임에 참여하기 위해 A는 B에게 얼마만큼의 참가비를 지불할 수 있을까. 물론 개인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10달러 이상의 참가비를 내고 이 게임에 참여하는 사람은 드물 것이다.왜 사람들은 큰돈을 벌 수도 있는 이 동전 던지기 게임에 10달러 이상을 지불하려고 하지 않는 걸까. 18세기 스위스의 수학자 다니엘 베르누이가 러시아의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강의하며 착안했다고 해서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역설’이라고 불리는 문제를 분석하기 위해 이 게임의 기댓값을 구해 보자.정상적인 동전을 던졌을 때 앞이나 뒤가 나올 확률이 50 대 50이라는 것을 유념하자. ‘$2(1/2) + $2²(1/2)² + $2³(1/2)³ + … = $1 + $1 + $1 + … = ∞.’ 이처럼 무한대의 기댓값을 갖는다. 실제 동전을 던졌을 때 계속 뒷면이 나오는 경우는 세 번 이상을 넘기기 힘들다.세 번째에 앞면이 나와 8달러(2의 3제곱달러)를 받고 게임이 끝날 확률이 90%에 가깝다.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역설은 우리가 의사 결정에 많이 사용하고 있는 기댓값 기준

    2021.07.23 06:20:03

    기대 수익 무한대인 도박에 참여하지 않는 이유 [장동한의 리스크 관리 ABC]
  • 균형 수익률은 어떻게 결정될까[장동한의 리스크 관리 ABC]

    [장동한의 리스크 관리 ABC]포트폴리오 투자란 말이 있는데 포트폴리오의 본래 뜻은 서류철이나 서류 가방이다. 서류 가방 안에 여러 종류의 많은 서류가 들어 있는 것처럼 투자도 여러 대상에 분산 투자해야 투자 리스크를 줄이면서 소기의 수익률을 올리는 성공적인 투자가 가능하다는 얘기다.포트폴리오 투자의 요체는 리스크 분산이고 목표는 적정 수익률을 낼 수 있다는 조건에서 투자 리스크를 줄이는 것이다. 예를 들어 주식 투자 리스크는 주식 투자 수익률의 변동성을 의미하는데 통상 분산 값이나 표준편차 값으로 측정한다.그런데 주가가 등락하는 요인들은 뭘까. 우선 주가가 오르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회사가 세상이 주목하는 신제품 개발에 성공했다’, ‘회사가 산유국의 대형 프로젝트를 수주했다’, ‘한국의 1988년 서울올림픽 유치 성공’, ‘한반도 평화 통일 달성’ 등은 주가 상승의 경우가 될 것이다.다음과 같은 상황은 주가를 하락시킨다. ‘제조업체의 공장에 불이 났다’, ‘소송에서 패소해 회사가 큰 배상금을 물게 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비즈니스가 엉망이다’, ‘글로벌 금융 위기에 따른 신용 경색으로 자본 조달이 어려워져 적기 투자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등이다.이처럼 여러 종류의 다양한 이유로 주가가 등락하면서 해당 주식의 투자 리스크가 높아지는데 주식 투자 리스크는 시장의 움직임과 상관없는 비체계적 리스크와 시장의 움직임에 연동된 체계적 리스크로 나뉜다.앞서 언급한 주가 등락의 예시 중에서 앞의 두 가지는 비체계적 리스크이고 뒤의 두 가지 예는 체계적 리스크

    2021.07.09 06:50:02

    균형 수익률은 어떻게 결정될까[장동한의 리스크 관리 ABC]
  • MBS 탄생기와 천재 펀드 LTCM의 몰락…고전에서 배우는 리스크 관리

    [장동한의 리스크 관리 ABC] “공부를 왜 해야 하나요.” 많은 학생들이 품고 있는 의문이지 싶은데 필자 또한 소싯적에 분명 가졌던 의문이다. 그런데 30년 가까이 학생들을 가르치다 보니 이제야 비로소 공부가 왜 중요한지 깨닫게 된 것 같고 게다가 공부가 재미있을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이런 경험이 있을 수 없는 학생들은 ‘공부가 왜 중요한지’ 이해하기 어려울 것이다.피할 수 없다면 즐겨야 한다. 공부를 포함해 어떤 일이든 가장 효과적으로 일을 수행하는 방법은 즐기는 것이다. 공부를 즐긴다? 참으로 어려운 일이다. 대학교수는 매 학기 강의를 마치면 학생들에게서 성적표를 받는다. 소위 강의 평가인데 필자의 25년 교수 생활 중 가장 기억에 남는 평가가 있다. “아 공부가 재미있을 수도 있군요.” 실로 감동적인 평가였다. 평생 공부가 전혀 재미없었던 그 학생은 난생처음 공부의 묘미를 깨달았던 듯하다.격물치지(格物致知)라고 한다. 주위 사물의 변화를 보면서 깨우친다는 실로 오묘한 가르침이다. 이론이 됐건 실무가 됐건 그 메커니즘을 이해하면 눈이 트이고 머릿속이 싹 정리되는 기쁨을 느끼게 된다. 그러기 위해선 즐겨야 한다. ‘지지자 불여호지자, 호지자 불여락지자.’ ‘아는 사람은 좋아하는 사람만 못하고 좋아하는 사람은 즐기는 사람만 못하다’는 말이다.관심 분야의 좋은 책이나 흥미로운 동영상을 보는 것도 즐기면서 공부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된다. 효과적인 공부 방법 중 하나는 좋은 참고 도서를 활용하는 것이다. 금융·리스크 관리 분야에도 한 시기를 대표하는 좋은 책들이 있는데 이들을 읽으면서 지난 40년간 국제 금

    2021.06.06 06:35:01

    MBS 탄생기와 천재 펀드 LTCM의 몰락…고전에서 배우는 리스크 관리
  • '점수 따기식' ESG 경쟁 경계해야 하는 이유

    [장동한의 리스크 관리 ABC] 필자는 1995년 건국대 교수가 됐고 2024년 정년을 맞는다. 30년 넘는 대학 생활에서 여러 변화를 겪었지만 국내외 대학에서 교수 경험을 했던 필자에게 가장 큰 변화는 대학 평가라고 생각한다. 한국에서 대학 평가가 본격화되면서 대학 문화도 많이 달라졌다. 경쟁이 심해지고 직장 분위기도 썰렁해졌다. 입사 초기 휴게실에 교수들이 모여 한담하고 바둑 두고 TV 보고 했던 일상은 사라진 지 오래다. 연구 성과 내...

    2021.05.27 06:58:01

    '점수 따기식' ESG 경쟁 경계해야 하는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