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두터운 중대형 아파트 인기, 올해 하반기 집값 상승 이끌어

    올해 하반기 ‘중대형’ 타입 아파트가 전국 아파트값 상승을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반기부터 얼어붙었던 부동산 시장에 온기가 퍼지는 가운데 상승 여력이 충분한 중대형 평형 선호도가 높아졌다는 분석이다. 27일 한국부동산원 통계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올해 6월까지 17개월 연속 보합·하락을 반복하다 7월 0.06%를 기록하며 상승 전환됐다. 이어 8월 0.23%, 9월 0.35%, 10월 0.27% 등으로 4개월 연속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중대형 평형이 상승률이 높았다. 지난 6월부터 10월까지 5개월간 전용면적 85㎡ 초과 102㎡ 이하 면적 아파트가 1.92%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전용 60㎡ 초과 85㎡ 이하는 1.18%, 전용 135㎡ 초과가 0.84%, 전용 102㎡ 초과 135㎡ 이하가 0.57% 순으로 그 뒤를 이었다. 반면 초소형인 전용 40㎡ 이하는 같은 기간 0.11% 오른 데 그쳤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에서 전용 85㎡ 초과 102㎡ 이하가 2.73%로 가장 많이 올랐다. 같은 기간 135㎡ 초과도 1.30%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지방에서는 전용 85㎡ 초과 102㎡ 이하가 0.56% 상승했고, 135㎡ 초과도 0.16%의 오름폭을 나타냈다. 분양시장에서도 중대형 평형은 인기가 두드러졌다. 지난 10월 경기 화성에 분양된 ‘동탄레이크파크 자연& e편한세상’ 전용 95㎡A, 115㎡A 두 타입에는 총 7만7276명 청약자가 몰리며, 각각 430.34대 1, 386.00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8월 대전 서구에 공급된 ‘둔산 자이 아이파크’ 전용 145㎡도 226.00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고금리 기조로 부동산 시장 침체를 겪을 때는 비교적 저렴한 소형 아파트가 강세를 보이다가 부동산 시장이 회복되면서 상승폭이 큰 중대형으로 몰리는 것”이라며

    2023.11.27 10:12:38

    두터운 중대형 아파트 인기, 올해 하반기 집값 상승 이끌어
  • ‘잔돈 모아 재테크로 활용?’···핀트, 잔돈 모으기 서비스 오픈

    [한경잡앤조이=강홍민 기자] 인공지능AI 간편투자 금융 플랫폼 ‘핀트(Fint)’를 운영하는 디셈버앤컴퍼니자산운용이 자투리 돈을 재테크에 활용할 수 있는 ‘잔돈 모으기’ 서비스를 오픈했다.‘잔돈 모으기’ 서비스는 핀트카드로 결제 시 남는 자투리 돈을 쉽고 편리하게 모아주는 서비스다. 일정 금액 이상 모일 경우 핀트 투자금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객 설정에 따라 1000원, 5000원, 10000원 미만의 잔돈을 선택할 수 있고, 잔돈의 1배에서 최대 10배만큼 금액을 추가로 모을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한다. 예를 들어 1000원 미만의 잔돈을 2배만큼 모으기로 설정한 후 핀트카드로 2100원을 결제하면, 자투리 900원의 2배인 1800원이 잔돈 저금통에 쌓이는 방식이다.잔돈 모으기와 함께 핀트카드로 결제했을 때 적립되는 결제 적립금(최대 0.7%)이 잔돈 저금통에 1만원 이상 모이면 핀트 투자금으로 입금 및 운용할 수 있다. 핀트는 비대면 투자일임 서비스로 투자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없어도 개인의 투자 성향에 맞춰 글로벌 ETF 포트폴리오 구성부터 리밸런싱, ETF 매매까지 투자의 전 과정을 AI가 대신해 준다.정인영 디셈버앤컴퍼니자산운용 대표는 “잔돈 모으기는 일상생활에서 쉽게 지나칠 수 있는 자투리 돈을 자연스럽게 재테크에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며 “핀트를 통해 투자는 어렵고 복잡하다는 막연한 생각을 떨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디셈버앤컴퍼니는 추석 명절을 맞아 핀트카드 이용 시 결제 금액의 최대 100%를 핀트머니로 환급해주는 ‘핀트 추석 용돈 이벤트’를 내달 8일까지 진행한다. 핀트카드를 이용하는 고객이라면 별도 응모 절차 없이 참여

    2021.09.17 11:06:33

    ‘잔돈 모아 재테크로 활용?’···핀트, 잔돈 모으기 서비스 오픈
  • ‘속도냐’, ‘입지냐’ 선택의 기로...다시 짜는 청약 전략

    [비즈니스 포커스]정부가 주택 공급 대책을 대거 쏟아내면서 수도권에 거주하는 예비 청약자들이 고민에 빠졌다. 올 하반기부터 시작될 3기 신도시 사전 청약과 2월 4일 발표된 ‘서울 도심 고밀 개발을 통한 공공 분양’ 중 어디를 선택해야 할지 혼란스럽기 때문이다.3기 신도시는 서울 외곽 수도권에 자리해 2‧4대책 사업지(예정지)보다 입지가 떨어지지만 신규 택지에 건설하는 만큼 사업이 속도를 내고 있다. 반면 2‧4대책 사업지는 서울과 접근성이 3기 신도시보다 우수하지만 기존 주택 지역을 개발하는 만큼 공급까지 걸리는 시간이 더 필요한 상황이다.결국 예비 청약자에게는 ‘속도냐’, ‘입지냐’의 선택이 필요한 상황이다.광명‧시흥에 7만 가구 6번째 3기 신도시 공급국토교통부는 2월 24일 2‧4대책에 포함됐던 신규 공공 택지 후보지 중 1차 입지로 경기 광명‧시흥을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그러면서 기존에 발표했던 3기 신도시에 포함시켜 ‘6번째 3기 신도시’라고 명명했다.이 지역에는 7만 가구 규모의 주택이 공급될 예정이다. 이는 여의도 면적의 4.3배에 이른다. 2‧4대책에서 밝힌 6번째 3기 신도시를 제외한 나머지 15만 호의 신규 공공 택지 입지는 오는 4월께 공개할 예정이다.앞서 발표된 기존의 3기 신도시는 남양주 왕숙(6만6000가구), 하남 교산(3만2000가구), 고양 창릉(3만8000가구), 부천 대장(2만 가구), 인천 계양(1만7000가구) 등 5곳이었으니 이번에 선정된 광명·시흥 규모면에서 가장 크다.서울과의 접근성도 기존 3기 신도시에 비해 가장 우수하다. 서울 여의도에서 12km 거리로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 안쪽에 자리하고 있다. 서울시 경계에서

    2021.02.27 08:09:01

    ‘속도냐’, ‘입지냐’ 선택의 기로...다시 짜는 청약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