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저축은행, 9년만에 600억원 적자

    저축은행들이 1분기 수신금리 인상으로 인한 조달비용 증가와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 등에 따라 600억원이 넘는 적자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다만, 저축은행업계는 자기자본비율과 유동성비율이 규제 비율을 웃돌아 부실 위험은 크지 않다고 보고 있다.저축은행중앙회는 올해 1분기 전국 79개 저축은행 순손실(잠정)은 약 600억원 규모로 추정된다고 27일 밝혔다.저축은행이 적자를 낸 것은 2014년 이후 9년만으로 약 25개 저축은행이 손실을 기록했다고 중앙회는 전했다.1분기 연체율은 5.1%로 지난해 말 3.4% 대비 1.7%포인트(p) 상승했다.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 회장은 "연체율 5%는 은행 수준으로는 높은 수치지만 저축은행업권에서는 괜찮은 수준"이라고 해명했다.중앙회는 재무건정성 지표가 규제 비율을 상회하고 있어 하반기부터는 영업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1분기 자기자본비율(BIS)은 13.6%로 지난해 말 대비 0.45%포인트 올랐다.이는 법정 규제 비율인 7∼8%, 금융당국 권고 비율인 11%를 상회하는 수준이라고 중앙회는 설명했다.유동성비율 역시 241.4%로 법정 기준(100%)의 2.4배 수준이다.오 회장은 최근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사태 등으로 뱅크런(현금 대량 인출 사태) 불안이 커진 상황과 관련해 "기준보다 높은 유동성비율과 대손충당금 적립률로 문제가 없다. 자체 조사로는 고객 98%가 5천만원 이하 예금주라 예금자보호법 대상에 해당한다"며 뱅크런 위험성을 일축했다.이명지 기자 mjlee@hankyung.com 

    2023.04.27 14:11:56

    저축은행, 9년만에 600억원 적자
  • 기로에 선 롯데하이마트, 모호한 위치 벗어날 전략 찾을까

    가전업계 1위인 롯데하이마트가 ‘실패’와 ‘재도약’의 기로에 섰다. 한때 롯데하이마트는 롯데 유통 부문의 최대 효자로 꼽혔다. 하지만 지난해 사상 첫 적자를 기록하는 등 수익성이 악화하고 있다. 차별화에 성공하지 못하며 온라인과의 경쟁은 물론 오프라인 간 경쟁에서도 뒤처지는 모호한 위치가 됐 때문이다.롯데하이마트는 사업 효율화와 동시에 오프라인의 강점을 살려 재도약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올해부터는 편집숍의 핵심인 상품 기획자(MD)의 경쟁력에도 힘을 쏟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비즈니스 모델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사상 첫 적자…‘효자·캐시카우’가 어쩌다롯데하이마트는 사상 첫 영업 적자를 냈다. 지난해 매출은 3조3370억원으로, 전년 대비 13.8% 감소했고 영업 적자는 520억원을 기록했다. 롯데하이마트 관계자는 “글로벌 인플레이션과 고금리로 인한 소비 침체, 부동산 거래 침체에 따른 이사·혼수 감소로 가전 수요가 줄어들면서 실적이 악화됐고 희망퇴직 위로금 등 일회성 비용 영향까지 더해져 영업이익이 크게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롯데하이마트의 적자는 2012년 롯데그룹 인수 이후 처음이다. 당시 롯데쇼핑은 1조2480억원을 투자해 유진기업, 선종구 전 하이마트 회장, HI컨소시엄 등 하이마트 3대 주주가 가진 주식 1540만 주(지분 65.25%)를 확보했다. 이후 주주 총회를 겨쳐 사명은 ‘롯데하이마트’로 변경했다.당시 업계에서는 연간 1700억~2000억원의 영업이익을 내는 롯데하이마트가 캐시카우 역할을 할 것이라며 인수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2017년에는 인수 5년 만에 매출 4조원을 돌파하면서 롯

    2023.04.21 06:00:04

    기로에 선 롯데하이마트, 모호한 위치 벗어날 전략 찾을까
  • 98조 적자 국민연금, 10년 수익률도 주요 연기금 중 가장 낮아

    국민연금이 지난해 역대 최악의 성적을 냈다. 저출생·고령화로 인해 기금 고갈이 일러지는 시점에서 수익률도 최악을 찍자 연금 개혁에 대한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국민연금은 지난해 8.22%의 손실을 기록했다. 국민연금이 마이너스 1%를 넘어서는 적자를 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1년 동안의 손실금은 97조6000억원이다. 지난해 적립금도 900조원 아래로 내려왔다.국민연금이 마이너스 수익을 낸 해는 지금까지 딱 세 번이었다. 글로벌 금융 위기가 닥쳤던 2008년 마이너스 0.18% 적자를 냈고 2018년 미·중 무역 갈등으로 글로벌 금융 시장이 악화하면서 마이너스 0.92%의 성적을 받았다. 이번에는 더 큰 적자를 냈다. 국회예산정책처는 앞서 국민연금의 기금 운용 수익률을 1%포인트 높이면 기금 고갈 시기를 6년 정도 늦출 것이라고 분석했다. 국민들이 연금 운용 수익률에 민감할 수밖에 없는 이유다. 지난해 국민연금 투자 포트폴리오를 보면 가장 큰 손실을 낸 부문은 국내 주식(-22.5%)이었다. 해외 주식에서는 마이너스 12.53%의 성적을 냈다. 유일하게 돈을 번 영역은 대체 투자였다. 국민연금은 지난해 대체 투자에서 9.47%의 수익을 거뒀다. 부동산과 인프라 자산의 평가 가치가 상승하고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면서 전통 자산 대비 높은 수익률을 보인 것이다. 전년도인 2021년에는 국내 주식에서 5.88%, 해외 주식에서 29.77%의 수익률을 기록하며 전체 운용 수익은 10.86%를 찍었다. 2021년 포트폴리오에서 마이너스 수익을 기록한 것은 국내 채권(-1.25%)이 유일했다.10%대의 높은 수익률이 1년 만에 8% 적자로 돌아선 데는 이유가 있었다. 먼저 미국의 긴축 정책으로 글로벌 증시가 얼어붙었다. 미국 중

    2023.03.13 06:40:01

    98조 적자 국민연금, 10년 수익률도 주요 연기금 중 가장 낮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