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BMW 세단·볼보트럭 전시한 삼성SDI…초격차 기술력 과시

    삼성SDI가 3월 15일부터 3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인터배터리 2023'에 참가해 배터리 브랜드 프라이맥스(PRiMX)의 사물배터리(BoT, Battery of Things) 애플리케이션 라인업을 공개하고 초격차 기술력을 선보인다.삼성SDI는 부스 중앙의 코어 테크놀로지존을 중심으로 각형, 원통형, 파우치형 배터리와 버튼 배터리를 비롯해 전기자동차, 정보기술(IT) & 웨어러블, 전동공구,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등 해당 배터리가 탑재된 주요 애플리케이션들로 공간을 구성한다.배터리 기술력, 히스토리 등 영상 콘텐츠를 공유하고 일상생활에서 확산되고 있는 배터리에 대한 관람객들의 이해도 돕는다.코어 테크놀로지존에서는 삼성SDI의 전고체 배터리, 혁신적 구조 설계, 고효율 급속 충전, 안전 기술 등 삼성SDI만의 차별화된 기술 경쟁력을 확인할 수 있다.삼성SDI의 전고체 배터리는 독자 조성의 고체 전해질 소재와 리튬 음극재로 수명을 개선한 무음극 기술(Anode-less)이 특징이다. 삼성SDI는 국내 유일한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라인의 완공을 앞두고 있다. 파일럿 라인을 통해 2023년 하반기 시제품 샘플 제작을 시작으로 전고체 배터리 개발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테스트를 진행할 계획이다.ESS 존은 최고의 안전성을 위한 직분사 시스템과 수랭식 냉각 시스템이 탑재된 삼성SDI의 신규 E5S 모듈과 랙을 전시할 예정이다. IT존과 파워존을 통해 스마트폰 및 웨어러블 기기와 인공지능(AI) 로봇, 전동공구 등 다양한 제품을 살펴볼 수 있다.특히 xEV 존에서는 BMW '뉴 i7', 볼보트럭의 'FM 일렉트릭'이 나란히 전시한다. BMW '뉴 i7'은 BMW 최초의 순수전기 플래그십 세단이다. 삼성SDI의 P5 배터리(각형)

    2023.03.14 12:40:13

    BMW 세단·볼보트럭 전시한 삼성SDI…초격차 기술력 과시
  • ‘장사 잘 한’ 삼성SDI, LG엔솔보다 덜 팔고도 더 남겼다

    삼성SDI가 2022년 매출 20조1241억원, 영업이익 1조8080억원을 기록해 처음으로 연간 매출 20조원을 돌파했다.전년 대비 매출은 48.5%(6조5709억원)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69.4%(7404억원) 껑충 뛰면서 매출, 영업이익 모두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배터리시장 점유율 세계 2위인 LG에너지솔루션(25조5986억원)보다 매출액은 적었지만 영업이익은 1조2137억원을 올린 LG에너지솔루션보다 많았다.2022년 4분기 매출은 5조9659억원, 영업이익 490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56.3%, 81.9% 올랐다.사업부별로 보면 에너지 부문 매출은 5조341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1.9%, 전분기 대비 10.5%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359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8.8% 증가했고, 전 분기 대비 25.9% 감소했다.전 분기와 비교해 중대형 전지는 수요 둔화 우려에도 불구하고 매출이 확대됐다. 자동차 전지는 P5(젠5)를 중심으로 매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했고, 에너지 저장시스템(ESS) 전지는 전력용 프로젝트에 공급돼 매출이 크게 늘었다. 영업이익은 일회성 비용 제외 시 전분기 수준을 유지했다.소형 전지는 전 분기와 비슷한 수준의 매출을 기록했다. 원형 전지는 전동공구 수요가 둔화됐으나 주요 고객과의 장기 공급 계약으로 판매 영향을 최소화했고, 전기차용 판매가 늘면서 전 분기 수준을 유지했다.전자재료 부문 매출은 624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9% 감소했고, 전분기 대비로는 16.9%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131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5% 감소했고, 전 분기 대비 62.4% 증가했다.전자재료 부문은 전 분기 대비 고부가 디스플레이 소재를 중심으로 매출이 증가하고 수익성이 개선됐다. 편광필름은 고객 다변화 등으로 판매가 늘면서 매출이 증가했다. 유기

    2023.01.30 16:17:02

    ‘장사 잘 한’ 삼성SDI, LG엔솔보다 덜 팔고도 더 남겼다
  • 포스코그룹, ‘게임 체인저’ 전고체 배터리 소재 ‘고체전해질’ 생산 돌입

    포스코그룹이 '꿈의 배터리'로 주목받는 전고체 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고체전해질 공장을 준공하고 본격 생산에 나섰다. 28일 포스코그룹은 김병규 경상남도 경제부지사, 이종희 양산시의회 의장, 이정곤 양산시 부시장 및 유병옥 포스코홀딩스 친환경미래소재팀장(부사장), 이경섭 이차전지소재사업추진단장, 김태흥 정관 사장 등 관계자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포스코JK솔리드솔루션’ 준공식을 개최했다.유병옥 포스코홀딩스 친환경미래소재팀장은 “고체전해질 사업은 포스코그룹의 대표적인 미래 소재 사업이다. 포스코JK솔리드솔루션 공장 준공을 발판 삼아 글로벌 배터리 및 완성차 회사들을 대상으로 인증을 진행하고, 생산 규모를 수천 톤 급으로 확대해 차세대 2차전지 소재 시장을 선점하겠다”고 말했다.포스코JK솔리드솔루션은 올해 2월 포스코홀딩스가 국내 최고 수준의 고체전해질 기술을 보유한 정관과 함께 설립한 합작법인이다. 이번 준공을 통해 연산 24톤 규모 고체전해질 생산 능력을 갖추게 됐다.고체전해질은 전고체 배터리에 사용되는 핵심 소재다. 전지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있는 액체 전해질을 대체해 안전성을 확보하고 에너지 밀도를 높일 수 있어 꿈의 소재라고 불린다.포스코그룹은 올해 고체전해질 생산법인 포스코JK솔리드솔루션 준공에 앞서 전고체배터리 업체 프롤로지움 지분 투자, 실리콘 음극재 업체 테라테크노스 인수 등 차세대 2차전지소재 분야에 선제적으로 투자하며 사업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고 있다.안옥희 기자 ahnoh05@hankyung.com 

    2022.10.28 13:44:56

    포스코그룹, ‘게임 체인저’ 전고체 배터리 소재 ‘고체전해질’ 생산 돌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