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택담보대출 4%·신용대출 6% 일제히 돌파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등으로 지난달 은행권 전체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4%대를 돌파했다. 9년 4개월 만에 최고 수준이다. 일반신용대출금리는 6%로 2013년 8월 이후 최고치다.한국은행이 29일 발표한 ‘2022년 6월중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에 따르면 6월 예금은행의 전체 가계대출 금리(신규 취급액 기준)는 전월(4.14%)대비 0.09%포인트 오른 연 4.23%로 나타났다. 이는 2013년 9월(4.26%) 이후 최고 수준이다.이 가운데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4.04%로 전월(3.9%)보다 0.14%포인트 증가했다. 2013년 2월(4.06%) 이후 9년 4개월 만에 4%대를 돌파했다. 일반신용대출은 6%로 0.22%포인트 올랐다. 2013년 8월(6.13%) 이후 최고 수준이다.신규 취급액 기준 고정금리 비중은 18.4%로 전월(17.4%)보다 1%포인트 늘었다. 5개월 만의 상승 전환이다. 변동금리 비중은 전월(82.6%)보다 1.0%포인트 줄어든 81.6%로 나타났다.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전월(1.98%)대비 0.40%포인트 상승한 2.38%로 나타났다. CD(91일물)는 1.99%로 전월 대비 0.22%포인트 증가했다. 은행채 5년물은 3.93%로 전월(3.49%)보다 0.44%포인트 올랐다.기업대출 금리는 3.60%에서 3.84%로 0.24%포인트 상승했다. 2015년 2월(4.02%)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대기업 대출 금리는 연 3.59%로 0.24%포인트, 중소기업 대출 금리는 연 4.06%로 0.27%포인트 올랐다.김태림 기자 tae@hankyung.com
2022.07.29 13:59:36
-
[숫자로 본 경제] 생애 최초 주택 구매 가구, 주담대 상한 80% 완화…8월 1일부터
[숫자로 본 경제] 80%생애 최초 주택 구매 가구에 적용되는 주택담보대출비율(LTV) 상한 80% 완화가 8월 1일부터 적용된다.금융위원회는 7월 20일 대출 규제를 합리적으로 개선하는 내용 등을 담은 은행업 등 감독 규정 개정안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개정안은 행정 예고 등을 거쳐 8월 1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다.개정안은 생애 최초 주택 구매자의 LTV 상한 80%로 완화 등 정부가 기존에 발표한 대출 규제 정상화 방안의 근거 규정을 마련했다. 이에 따라 8월 1일 이후 생애 최초 주택 구매자는 주택 소재 지역이나 주택 가격에 상관없이 LTV 상한 80%를 적용받을 수 있다. 대출 한도는 기존 4억원에서 6억원으로 늘어난다. 현재 투기지역·투기과열지구의 LTV 상한은 40%, 조정대상지역의 LTV 상한은 50%다.규제지역 주택 담보 대출 시 기존 주택 처분 기한 연장(6개월→2년), 생활 자금 목적 주택 담보 대출 한도 완화(1억원→2억원),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배제되는 긴급 생계용도 주택 담보 대출 대출 한도 확대(1억원→1억5000만원) 등 정부가 하반기 경제 정책 방향에서 예고한 대출 규제 합리화 방안들도 이번 개정안에 담겨 8월 1일 시행을 예고했다.10명 중 3명40~50대 대출자 10명 중 3명은 금융회사 3곳 이상에서 동시에 돈을 빌린 다중 채무자인 것으로 나타났다.7월 21일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업권별 가계 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3월 말 현재 40∼50대 다중 채무자는 256만1909명으로, 같은 연령대 전체 차주(960만5397명)의 26.7%를 차지했다. 다중 채무자는 3개 이상 금융회사에서 돈을 빌린 사람으로, 금리 인상기에는 상환 부담이 많이 늘어나 취약 차주로 이어질 가
2022.07.23 06:02:06
-
[숫자로 본 경제] 기준금리 1.75%…한은 14년 9개월 만에 두 달 연속 인상
[숫자로 본 경제]1.75%한국은행(이하 한은)이 5월 26일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를 열고 5월 기준금리를 1.75%로 인상했다. 14년 9개월 만에 두 달 연속 인상이다.한은은 이날 금통위를 개최하고 5월 기준금리를 1.75%로 결정했다. 한은은 지난 1월 기준금리를 1.25%로 올렸다. 이후 4월 1.50%로 인상한데 이어 5월에도 0.25%포인트 올린 것. 한은이 두 달 연속 금리를 인상한 것은 2007년 7월과 8월(당시 콜금리)에 이어 14년 9개월 만이다.한은이 이런 결정을 내린 것은 향후 물가 상승률이 5%대로 전망된다는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4월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4.8%로 급등했다. 2008년 10월(4.8%) 이후 13년 6개월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5월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5%대로 추정된다. 사회적 거리 두기가 해제되면서 항공·여행 등과 같은 수요가 몰릴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미국이 추가로 금리를 0.5%포인트 올리는 빅스텝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는 점도 연속 인상을 결정한 배경이다. 5월 25일 공개한 5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 회의 의사록에 따르면 대부분의 참석자가 “0.5%포인트 기준금리 인상이 다음 두어 번 회의에서 적절할 것 같다”고 판단했다. 향후 FOMC 회의에서 빅스텝을 이어 가겠다는 점을 시사한 것이다.한편 한은은 이날 수정 경제 전망에서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3%에서 2.7%로 하향 조정했다. 물가 전망치는 3.1%에서 4.5%로 높였다.50년 최장 50년 만기의 초장기 주택 담보 대출 도입이 추진된다. 대상은 청년과 신혼부부다. 5월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내년 청년과 신혼부부를 위한 초장기 정책 주택 담보 대출 상품 출시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현
2022.05.28 06:00:06
-
“오늘이 가장 낮습니다”…주담대 7%·전세 대출 6% 시대 4대 은행 전격분석
[비즈니스 포커스]“오늘이 가장 낮습니다.” 주택 담보 대출과 전세 자금 대출 금리를 파악하기 위해 방문한 은행에서 들었던 말이다. 기준금리 인상으로 시장 금리도 덩달아 치솟으면서 하루가 다르게 대출 금리가 높아지고 있다.은행을 찾는 이들의 표정은 대부분 어두웠다. 물가 상승으로 얇아진 지갑에 어울리지 않는 높은 금리는 은행 문턱을 더욱 높게 느끼게 했다. 옆 창구에서 들리던 “금리 좀 낮추려고 하는데 카드를 만들거나 하는 우대 조건은 없나요”라고 묻던 한 직장인의 목소리가 여전히 귀에 맴돈다.KB국민은행·하나은행·신한은행·우리은행 등 4대 은행의 고정형 주택 담보 대출 금리는 연 7%대를 바라보고 있다. 전세 대출 금리도 5%를 넘어 올해 중 6%대를 넘을 것으로 보인다. 주담대 7%, 전세 대출 6% 시대를 살며 원금과 이자를 갚는 데 허덕이고 있는 이들을 위해 4대 은행의 대출 현황을 자세히 파악해 봤다.30년 주담대, 가장 유리한 신한은행KB부동산에 따르면 올해 4월 기준 서울 아파트의 평균 매매 가격은 12억원대다. 이를 기준으로 4대 은행에서 대출을 알아봤다.서울은 투기지역에 포함돼 매매가 9억원까지는 40%, 9억원을 넘어가는 금액에 대해선 20%만 대출이 가능하다. 9억원까지는 3억6000만원, 9억원을 넘어가는 3억원에 대해선 6000만원 등 총대출 금액은 4억2000만원이다.대출 실행인은 은행별 최고 금리를 적용 받는 선으로 설정했다. 또한 많은 이들이 선택하는 변동·고정 금리 30년 원리금 분할 상환 방식으로 월평균 상환액과 총대출 이자, 총상환 금액을 파악했다.4대 은행 30년 주택 담보 대출 변동 금리가 가장 낮은 곳은 신한은행이다. 신한주
2022.05.25 06:00:03
-
주담대 금리 또 올랐다…7년 7개월 만에 최고
지난달 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7년 7개월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코픽스와 은행채 등 지표금리가 상승한 데다, 은행들이 가산금리를 올린 영향이다.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2021년 12월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 자료에 따르면 예금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가중평균·신규취급액 기준)는 지난해 12월 연 3.63%로, 한 달 동안 0.12%포인트 올랐다. 지난 2014년 5월 3.63%를 기록한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전체 가계대출 평균 금리는 전월보다 0.05%포인트 오른 3.66%으로, 2018년 8월(3.66%)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신용대출 금리는 연 5.12%로 전월 대비 0.04% 포인트 내려갔다. 송재창 한국은행 경제통계국 금융통계팀장은 “코픽스와 은행채 등 지표금리 상승으로 주택담보대출과 보증대출 금리가 올랐다”며 “신용대출과 집단대출은 일부 고신용자 대상 상품 판매가 재개되고, 사전 승인된 저금리 대출 취급이 늘어난 영향으로 금리가 낮아졌다”고 말했다. 또 “기준금리 인상으로 시장금리가 상승세인 것은 대출금리 상방 요인”이라면서 “은행권의 대출 재개와 고신용자 저금리 대출이 늘어나는 추세인 것은 하방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기업대출 금리는 전월 대비 0.02%포인트 오른 3.14%로 나타났다. 2020년 2월 3.19%를 기록한 이후 최고 수준이다. 그중에서도 대기업 대출 금리는 2.90%에서 2.86%로 0.04%포인트 떨어졌고, 중소기업 대출 금리는 3.30%에서 3.37%로 0.07%포인트 올랐다. 기업대출과 가계대출 금리를 모두 반영한 예금은행의 전체 대출금리 평균은 전월 3.23%에서 0.02%포인트 올라간 3.25%였다. 예금은행의 저축성
2022.01.29 06:00:05
-
주담대 금리 2년6개월만에 3% 넘어…신용대출은 4%대
지난달 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 평균 금리가 3%를 넘어서며 2년 6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신용대출 평균 금리 또한 4%대를 기록했다. 기준금리가 인상되면서 지표금리가 연달아 오른 데다, 금융당국의 대출 규제 여파로 시중은행들이 우대금리를 축소한 결과다. 한국은행이 29일 발표한 ‘2021년 9월 중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에 따르면, 지난달 9월 신규 취급액 기준 예금은행의 전체 가계대출 금리는 연 3.18%로 전월에 비해 0.08%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2019년 6월(3.25%) 이후 최고치다.주택담보대출은 2019년 3월 이후 2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연 3.01%를 기록했다. 전월과 비교하면 0.13%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상승 폭은 2016년 11월 이후 가장 컸다. 신용대출 금리도 연 4.15%로 0.18포인트 뛰면서, 2019년 6월(4.23%) 이후 2년 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송재창 한국은행 경제통계국 금융통계팀장은 “8월 26일 기준금리가 인상되면서 코픽스, 은행채, CD 등 지표금리가 올라 9월 은행권 금리에 반영됐다”면서 “가계대출 관리를 위해 은행들이 우대금리를 줄였고, 일부 인터넷은행이 5∼6%대 중금리 대출을 늘린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기업대출 금리도 8월에 비해 0.10%포인트 오른 2.88%로 나타났다. 대기업 대출 금리는 0.08%포인트 상승한 2.64%, 중소기업 대출 금리는 0.12%포인트 뛰어오른 3.05%로 집계됐다. 기업대출과 가계대출의 모든 금리를 반영한 전체 대출금리는 전월 대비 0.09%포인트 높은 2.96%였다.한편 예금은행의 수신(예금)금리는 전월에 비해 0.14%포인트 오른 1.17%로 나타났다. 시중은행들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예금 금리를 인상한 바 있다
2021.10.30 06: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