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주차 몇대?' 부동산 시장의 떠오르는 가치 평가 기준[비즈니스 포커스]

    부동산 경기침체에 따른 매수자 우위 시장이 본격화하고 있다. ‘불패’라던 강남 부동산도 예외는 아니다. 거래가 좀처럼 성사되지 않으면서 높은 호가를 부르며 버텼던 매도인들도 가격을 크게 조정하는 추세다. 그럼에도 매수인이 줄을 서 기다리던 시절은 돌아오기 힘든 분위기다.선택지가 많아진 매수인들은 꼼꼼히 따져가며 매물을 고르고 있다. 좋은 입지, 비교적 신축에 활용도가 높아야 하는 것은 물론이다.땅값이 높은 도심에선 주차 가능 여부가 점차 거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비슷한 입지일 때 ‘사용자 만족도’에 직접 영향을 끼치는 주차 대수가 높은 곳을 매수인이 선호한다는 것이다.지난 몇 년간 세대당 주차 대수가 초고가 주택의 기준으로 자리매김했다면 불황기를 맞아 근린생활시설 및 오피스 매매 시장에서도 주차장의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다. 불경기에 집 사는 ‘하이엔드’ 입주민, 주차 2대도 부족해국토교통부 집계에 따르면 2023년 아파트 실거래가 상위 20위권에 속한 거래 중 75%인 15건은 하반기에 거래됐다. 지난해 주택시장이 상고하저(上高下低) 흐름을 보인 것과는 딴판이다.2023년 상반기에는 2022년 하반기 금리인상에 따른 가격 조정과 특례보금자리론 등 정책금융 시행 여파로 아파트 거래량이 살아나며 수도권 주택시장이 ‘반짝’ 반등했다. 그 후 불경기가 지속되고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위기가 본격화하면서 시장은 다시 잠잠해졌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 통계에 따르면 2023년 1월 1413건이었던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6월 3850건까지 급증했고, 9월 특례보금자리론 일반형 상품판매 중단과 함께 가파르게 감소했다.

    2024.01.30 06:00:11

    '주차 몇대?' 부동산 시장의 떠오르는 가치 평가 기준[비즈니스 포커스]
  • 1.77대가 아니라 1대와 0.77대가 돼야 한다[아기곰의 부동산 산책]

    -아기곰의 부동산 산책얼마 전 흥미로운 기사가 보도됐다. 한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 어떤 사람이 킥보드를 세워 놓고 그것을 옮기면 법적 조치를 하겠다고 경고문을 써 붙인 것이다. 이 사람이 사는 아파트는 주차 공간이 가구당 1.77대나 되지만 업무 특성상 매일 늦게 귀가해 주차할 공간을 찾기 어려웠던 것이다. 한 집당 자동차가 한 대씩이라면 주차 공간이 남겠지만 한 집당 두 대 이상 보유한 가구가 늘어나면서 벌어진 현상이다.물론 기사와 같이 킥보드를 주차장에 세워 놓은 것은 극단적인 경우다. 하지만 이 사람의 주장이 틀렸다고 볼 수는 없다. 아파트를 취득했다는 것은 건물 전용 면적에 대한 대금만 지급한 것이 아니라 대지 지분, 더 나아가 본인 지분만큼의 공용 면적에 대한 소유권을 취득한 것이기 때문이다.쉽게 말해 어떤 아파트에 같은 평형의 100가구가 있다면 그 단지의 1%는 각 아파트 소유자의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런 취지로 보면 킥보드의 주인은 자신의 재산권을 행사하려고 시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아파트 구입은 땅 소유권도 사는 것문제는 오랜 기간 동안 주차장 공간은 재산이 아니라 이웃과 나눠 쓰는 것이라는 인식이 일반화되면서 킥보드 주인과 같이 재산권을 주장하면 오히려 이상한 사람 취급을 받게 된 것이다. 하지만 논리적으로 보면 주차장의 지분을 소유한 사람은 본인의 지분 내에서는 주차 공간을 언제든 이용할 당연한 권리가 있다고 할 수 있다.이를 위해서는 지금과 같이 빈 공간을 먼저 본 사람이 먼저 주차하는 선착순 방식이 아니라 본인의 주차 공간이 지정되는 전용 주차장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 예를 들어 100가구가 사는 단지이고 주차 공간

    2022.09.23 06:00:08

    1.77대가 아니라 1대와 0.77대가 돼야 한다[아기곰의 부동산 산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