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잠 안 오고 살 찌고…갱년기 주범은 ‘여성호르몬’
주부 박 모(50) 씨는 갱년기가 되면서 불면증에 시달리고 있다. 등을 바닥에 대면 금방 잠들곤 했지만, 요즘엔 밤이 두려울 정도로 잠이 안 온다. 밤에 자려고 누우면 갑자기 열이 나고 땀이 나서 잠도 잘 안 오는 데다, 질 건조 때문에 성생활도 쉽지 않다. 늘어 가는 피부 주름살, 뱃살 때문에 거울 보기도 싫다. 자식들이 다 커서 대학까지 보내고 집에 혼자 있는 시간이 많다 보니 허전함과 상실감이 크고 우울함을 자주 느낀다. 박 씨의 크고 작은 변화들의 핵심엔 '여성호르몬'이 있다. 여성은 50세 전후엔 여성호르몬이 급감하는 갱년기를 겪는다. 여성의 여성호르몬 양은 배란 주기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있지만 보통 40~400pg/mL 정도 된다. 하지만 50세 전후로 폐경을 하면 여성호르몬이 급격하게 떨어져 10pg/mL(젊을 때 4분의 1~40분의 1) 이하까지 떨어진다. 그러면서 몸의 이상징후가 30가지 이상 나타난다. 안면홍조 같은 가벼운 증상부터 심혈관, 치매 같은 심각한 질환까지 다양하다. 국내 여성의 90%가 이러한 증상을 겪는다. 여성호르몬이 우리 몸에서 무슨 일을 해 왔던 것일까. 매끈한 피부·잘록한 허리…여성호르몬의 마법 '아기 피부 같다'고 하면 여성이 먼저 떠오르는 이유는 여성에게 월등히 많이 분비되는 여성호르몬 때문이다. 여성호르몬이 많으면 남성이든 여성이든 피부 속 '콜라겐'이 많아져 피부 탄력성이 좋아진다. 여성의 잘록한 허리도 여성호르몬 덕분이다. 여성호르몬은 임신·출산 때문에 엉덩이에 지방이 잘 축적되도록 한다. 반면 여성호르몬은 복부지방 분해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어 잘록한 허리를 갖게 될 수 있다. ‘콜라병 몸매’가 여성호르몬 덕분인 것. 그러나 폐경이 되면 여성
2023.10.27 07:00:01
-
요즘 중년, 티 안 나게 젊어진 비결은
요즘은 얼굴만 보면 나이를 쉽게 가늠할 수 없다. 50세를 넘은 왕년에 잘나갔던 여배우들이 젊을 때와 비슷한 모습으로 스크린을 종횡무진하며 지금도 잘나가는 것을 보면 놀라울 뿐이다. 자기 관리 덕분인데, 피부 탄력에 있어서만큼은 좋은 화장품들에 더해 여러 시술들을 하기도 한다. 가장 흔한 것이 보톡스. 시술 비용이 저렴하며, 혹시라도 마음에 들지 않으면 6개월 후 원상복구가 되다 보니, 많은 사람들이 선호한다. 최근에는 고주파, 초음파, 레이저를 활용해 피부 진피 속 콜라겐을 자극해 탄력을 높이는 피부과 리프팅 시술이 인기다. 리프팅 효과를 내는 의료 장비의 경우 드물게 배우 이영애, 김성령 등을 광고 모델로 기용, TV 광고까지 하고 있다. 리프팅 시술은 왜 이렇게 핫할까. 40대가 넘으면 얼굴 피부 탄력이 떨어지면서 팔자 주름, 사탕을 문 것 같은 볼, 입꼬리 처짐, 턱선 무너짐 등이 생긴다. 전통적으로 성형외과에서는 피부가 늘어질 만큼 늘어졌을 때 피부를 절개해 끌어올려 꿰매는 안면거상술을 했다. 적어도 시술 연령대가 60세는 넘어야 했다. 또 수술이니 만큼 회복까지 시간이 꽤 걸렸다. 그런데 최근엔 달라졌다. 40대 혹은 30대라도 피부에 탄력이 살짝 떨어졌다고 느낄 때부터 리프팅 시술을 한다. 이들 시술은 시술 즉시 바로 화장을 해도 될 만큼 티가 안 난다는 것이 장점이다. 리프팅 시술이 주목받은 건 2003년 피부과에 고주파 장비가 도입되면서다. 피부과에 가면 고주파다, 초음파다, 레이저다 해서 시술 이름이 복잡하지만 리프팅 효과가 있는 피부과 시술들의 공통점은 피부에 열을 전달하고, 그 열을 통해 콜라겐 재생을 돕거나 피부 탄력 섬유를 늘리는 것이다. 다만 차이
2023.08.25 08:48:05
-
[special]울트라 중년, 도전에 한계 없다
“울트라맨 이제부턴 진정 난, 울트라맨 슈퍼 초울트라 매니아!” 가수 서태지가 노래하던 울트라맨이 실제로 존재한다면 어떨까. 근육질에 힘이 센 파이터? 수백억 원대 펜트하우스에 살며 비싼 슈퍼카를 모으는 재력가? 혹은 과학으론 설명할 수 없는 초능력자? 각자가 상상하는 울트라맨은 제각각이지만, 울트라(ultra), 즉 극한의 무엇을 해낼 수 있는 사람의 끝판왕은 자신의 한계를 넘어서서 도전하고, 끝내 무언가를 성취해내는 이들이 아닐까. 최근 그 중심에 중년이 있다. 100세 시대 제2의 멋진 인생을 꿈꾸며 극한에 도전하는 멋진 울트라 중년들을 소개한다.김수정 기자 hohokim@hankyung.com
2022.02.28 07:0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