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지속가능 소비로 전환하는 새로운 시각 반영해야"

    "ESG의 대두에 따라 생산과 소비 행태가 바뀌고 있습니다. 지속가능 소비와 윤리소비 방향에 따라 새로운 시각을 반영해야 합니다."7일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와 EY한영 주최로 서울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소비자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ESG 베스트 프랙티스'에서 안대천 한국광고학회장(인하대 교수)은 ESG로 인한 기업과 소비의 변화에 대해 언급했다. 안 학회장은 기후변화로 인한 식량과 생태계의 변화가 인류의 삶을 위협하고 있다며, 소비에 있어 '균형성'과 '공정성', '환경 보호', '인간 중심'의 키워드가 고려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안 학회장은 특히 최근 ESG로 인한 생산과 소비 행태의 변화에 대해 초점을 맞추며 새로운 시각을 가져야 한다고 봤다. 이어 기조연설에 나선 옥용식 국제ESG협회장(고려대 교수)은 '지속가능성을 위한 ESG BP'라는 이름으로 성큼 다가온 ESG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했다. 옥 협회장은 "IPCC의 연구 결과 기후 변화에 인간의 영향이 명백하다고 나왔고, 이후 ESG에 대한 연구와 투자가 지속적으로 이뤄졌다"며 "ESG 금융 규모는 현재 500조원 이상이며, 앞으로 전세계 투자 대부분은 ESG로 가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옥 협회장은 "ESG 전환리스크는 기업의 기술변화를 촉발하고, 기술변화는 소비 패턴의 변화를 촉발할 수 있다"라며 "최근에는 소비자들이 ESG 워싱도 경계하고 있는데, 최근에는 플라스틱 워싱이라는 신조어도 지적되면서 기업의 활동에 대한 감시의 눈도 점차 강화되는 추세이며 앞으로 ESG 공시가 통합된다면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옥 협회장은 앞으로 지속가능한 소

    2022.10.07 16:58:07

    "지속가능 소비로 전환하는 새로운 시각 반영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