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흘 만에 178명’ 폭염에 온열질환 환자·사망자 속출
30일 질병관리청 온열질환 응급실 감시체계에 따르면 이달 26일부터 28일까지 사흘간 온열질환자가 178명으로 집계됐다. 24일과 25일 온열질환자는 각각 7명, 14명이었다가 장마 종료가 선언된 26일 46명으로 급증, 27일 62명, 28일에는 70명으로 늘었다.질병청의 감시체계 운영이 시작된 5월 20일부터 지난 28일까지 누적 온열질환자는 938명, 추정 사망자는 3명이다. 경북에서 온열질환으로 추정되는 노인 4명이 심정지 상태로 병원에 이송되는 등 주말 상황이 통계에 반영되면 환자 수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질병청에 따르면 온열질환자 연령대는 65세 이상의 노인이 26.7%로 가장 많고, 50대가 20.9%로 뒤를 이었다. 성별로 보면 남성 79.6%, 여성 20.4%이다. 온열질환의 81.0%가 실외에서 발생하며 실외 중에서도 실외 작업장(32.4%), 논·밭(12.7%), 길가(11.9%) 순으로 많이 발생한다. 발생 시간은 오후 12시부터 5시까지 낮 시간대가 52.0%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오전 시간대인 10∼12시 발생도 18.2%로 나타났다.한편,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30일 현재 일부지역 폭염경보가 발생했으며, 농촌 온열질환 사망자가 발생했다고 전했다. 강홍민 기자 khm@hankyung.com
2023.07.30 15:29:47
-
건강까지 지켜주는 목례, 어떠신가요?
손을 매개로 한 감염을 원천 차단하는 비접촉 인사법인 목례가 대세다. 코로나19 시대에 상대방의 건강까지 배려하는 마음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앞으로 이런 비접촉 인사법의 정착을 위해 ‘악수 대신 목례’ 대국민 캠페인을 전개할 방침이다.손을 이용하는 모든 인사법 위험해코로나19 재난 상황에서 대다수 국민은 감염병 예방 차원에서 악수를 하지 않는다. 손은 사람 간 감염을 일으키는 주요 경로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주먹을 부딪치며 인사하는 ‘주먹 인사’가 대안으로 많이 활용됐다. 그러나 손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감염 위험성은 악수와 크게 다를 바 없다. 중앙방역대책본부도 정례 브리핑(2021년 4월 6일)을 통해 주먹 인사의 전염 위험성에 대해 경고한 바 있다. 그러나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지난달 실시한 ‘코로나19 관련 악수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결과를 보면, 15%가 넘는 국민은 여전히 ‘악수하지 않기가 예방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상황에서 공단은 ‘악수 대신 목례’ 대국민 캠페인을 전개해 손을 매개로 하는 코로나19 감염을 원천 차단하겠다고 나섰다.건강까지 배려하는 인사, 목례공단은 ‘악수 대신 목례’ 대국민 캠페인을 통해 코로나19 상황에서 비접촉 인사 문화를 정착시켜 감염병을 예방함으로써 국민 건강권 보호 및 건강보험 재정 절감까지 꾀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악수 등 접촉식 인사를 하루아침에 목례로 대신하는 비접촉식 인사로 전환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중·장년층은 친근함을 표현하기 위해, 젊은층은 ‘기본적인 예의’로 인식하고
2021.06.29 09:3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