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금융레시피] 빚좋은 개살구? 고금리 예적금의 민낯

    최근 종료된 청년희망적금을 시작으로 정부 주도의 고금리 상품이 잇따라 나오고 있지만 ‘빛 좋은 개살구’라는 지적이 잇따른다. 저금리 고착화로 인해 반짝 인기몰이를 했지만 한시적으로 내놓는 정책 상품들 대부분이 지속성을 갖기가 어렵다는 측면에서 실효성이 크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고금리 예·적금 상품은 왜 반짝 인기에 그칠 수밖에 없는 걸까.# 직장인 김 모(36) 씨는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를 모집한다는 공고를 봤지만 만 19~34세 기준에 충족하지 못해 가입기회를 얻지 못했다. 이후에 김 씨는 은행들이 잇따라 내놓은 고금리 특판 상품도 살펴봤지만 신용카드 이용 이력이나 급여이체 여부 등 조건이 까다로워 가입을 해야할지 고민에 빠졌다.글로벌 긴축 흐름에 이어 금리 인상 압박이 거세지면서 제로금리까지 떨어졌던 기준금리가 2년 만에 1.25%를 회복했지만 여전히 1%대 초저금리 수준에 그치고 있다.앞으로 한국은행이 금리 인상에 속도를 올린다고 해도 과거 20~30년 전 예금금리였던 10~20%대까지 올라갈 가능성은 제로에 가깝다. 과거 인기리에 방영했던 드라마 <응답하라 1988>의 시대 배경은 은행 예금금리가 15%에 달한다. 이후 10년 만에 한 자릿수로 하락했고, 2015년에 1%대까지 하락했다. 드라마의 시대 배경인 1988년보다 34년이나 흐르면서 과거의 두 자릿수 슈퍼 금리로 되돌아간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절대 불가능한 일이 됐다.최근 흥행으로 마감한 청년희망적금은 총 1200만 원의 납입액(매월 50만 원씩 2년간 납입)을 기준으로 은행 제공 금리 연 5%와 은행별 최대 1%포인트의 우대금리를 더하고, 이자소득 비과세와 저축장려금 36만 원을 합하면 만기 시 수령액 1298만5000

    2022.03.29 09:00:05

    [금융레시피] 빚좋은 개살구? 고금리 예적금의 민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