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치킨 보다 더 오른 햄버거”...외식물가, 2년 5개월 동안 쉬지 않고 상승
외식 물가가 29개월 동안 한 번도 쉬지 않고 매달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외식 물가 지수는 117.15로 한 달 전보다 0.7% 상승했다.외식 물가 지수는 2020년을 100으로 삼고 있따. 외식 물가는 전월 대비 기준 2020년 12월부터 29개월 동안 계속 상승세를 보이는 상황이다. 원가 및 인건비 상승이 원인으로 꼽혀29개월(2년 5개월) 동안 누적된 물가 상승률은 16.8%였다. 특히 상승률이 높았던 품목으로는 햄버거(27.8%)였다.실제로 최근 비교적 ‘저렴한 한 끼’로 꼽히던 햄버거 가격이 줄줄이 오르면서 소비자들의 한숨이 커지고 있다.버거 프랜차이즈 업체들의 ‘도미노 인상’을 하고 있는 상황이다.업계에 따르면 버거킹은 지난 3월부터 버거류 32종, 사이드와 음료 15종 등 총 47종에 대해 판매 가격을 평균 2% 인상했다. 지난해 1월과 7월에 이어 8개월 만에 다시 가격을 올렸다.이번 가격 조정으로 와퍼는 6900원에서 7100원, 갈릭불고기와퍼는 7300원에서 7400원, 와퍼 주니어은 4600원에서 4700원, 프렌치프라이는 2000원에서 2100원으로 각각 올랐다.올해 초 롯데리아와 맥도날드를 비롯해 맘스터치, 노브랜드 버거, KFC, 써브웨이도 가격 인상을 단행했다.햄버거의 뒤를 그 뒤를 피자(24.3%), 김밥(23.2%), 갈비탕(22.5%), 라면(21.2%) 등이 이었다.자장면(21.0%), 생선회(20.4%), 떡볶이(19.9%) 등도 20% 내외의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외식 물가 상승의 주요 원인은 무엇일까. 업계에서는 그간 누적된 원유·곡물 등의 원가 가격 상승분과 인건비 인상 등을 꼽는다.일각에서는 코로나19 방역 조치가 완화되면서 식료품 수요가 외식 수요로 옮겨가면서 물가 상승을 부추겼다는 분석도
2023.05.08 08:14:27
-
“특급호텔 치킨 1만원대에 즐기는 법”
조선호텔앤리조트는 ‘조선호텔 한마리치킨’을 SSG닷컴을 통해 출시한다고 2일 밝혔다.‘조선호텔 한마리치킨’은 그랜드 조선 제주의 인룸 다이닝 및 풀 사이드바에서 서비스되는 인기 메뉴 치킨에 영감을 얻어 만든 제품이다.집에서도 특급 호텔의 경험을 누릴 수 있도록 가정 간편식(HMR) 상품으로 출시했다.신선한 국내산 삼계닭만을 사용했으며 통마리 닭을 4조각으로 절단 후 텀블링으로 염지하고 속살까지 밑간해 부드러우면서 담백한 맛을 구현한 것이 특징이다.고온의 오븐으로 구워내 육즙을 가둬 겉은 바삭하고 속은 촉촉한 맛을 담았고 여기에 조선호텔 특제 레시피로 만든 치킨간장소스가 동봉되어 프리미엄 치킨의 맛을 느낄 수 있다.조선호텔앤리조트 관계자는 “외식 물가가 오르며 치킨 배달도 망설여지는 요즘 합리적인 가격으로 집에서 간편하게 호텔 셰프의 특급 레시피를 담은 치킨을 즐길 수 있도록 제품을 출시했다”며 “가정의 달 5월 조선호텔의 인기 가정 간편식 메뉴들로 든든한 한끼를 나누며 즐거운 홈파티를 계획해보시기 바란다”고 말했다.김정우 기자 enyou@hankyung.com
2023.05.02 14:30:14
-
'냉장 치킨? 냉동 치킨?' 혼란스러운 치킨 소비자들
프랜차이즈 치킨 업체 BBQ가 ‘냉장육’을 선택하고 추가요금을 내는 선택메뉴(옵션)을 내놓아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최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BBQ 치킨 근황’이라는 제목의 글이 게재됐다.글쓴이 A씨는 “이제 냉장육을 먹으려면 추가금을 내야 한다”면서 “진짜인지 배달 앱을 찾아보니까 진짜였다”고 했다.첨부된 사진을 보면 BBQ ‘황금올리브치킨 핫윙’ 메뉴의 냉동육과 냉장육 가격이 다르게 책정돼 있음을 볼 수 있다.배달 주문 화면에서는 ‘핫윙 부분육 선택(필수 선택)’이라는 항목이 들어가 있다.그리고 ‘냉동’과 ‘냉장 변경’을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냉동은 추가 비용을 내지 않아도 되지만 냉장 변경은 3000원 추가 금액이 붙는다.이런 선택 사항은 매장마다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일부 매장은 냉장과 냉동 선택이 가능했다. 그러나 일부 매장은 냉동만 판매하거나 냉장만 선택할 수 있다.BBQ 측은 매장마다 옵션에 차이가 있는 것은 점주의 선택사항이라고 해명했다.기존 핫윙 제품은 냉동육만 써 왔지만 신선육을 요구하는 의견이 많았고, 소비자 선택지를 넓히기 위해 해당 옵션을 출시하게 됐다는 설명이다.BBQ 관계자는 “냉동과 다르게 신선육은 유통기간이 짧고 조리에 있어 추가 작업이 더 들어가는 점 등을 고려해 3000원 추가 요금을 받는다”고 말했다.관계자는 이어 “가격인상을 위해 냉장육에 추가금을 새롭게 붙인 것이 아니라, 15년 전부터 추가금을 받던 것을 이제야 메뉴판에 공식 옵션으로 올려 소비자에게 투명하게 알리려 했다”고 해명했다.김정우 기
2023.04.21 08:25:41
-
치킨 가격 3000원 올렸더니 “안먹는다”...위기의 교촌치킨
가격 인상을 단행한 교촌치킨을 향한 소비자 반응이 심상치 않다. 매번 치킨업계 가격 상승을 이끄는 교촌치킨을 두고 “사먹지 않겠다”는 불만들이 터져 나온다. 실적 반등을 위해 꺼내든 ‘가격 인상’ 카드가 오히려 ‘불매 운동’이라는 후폭풍을 불러일으키는 모양새다.교촌에프앤비는 4월 3일부터 소비자 권장가격을 품목별로 500원에서 최대 3000원까지 올렸다. 2021년 11월 가격을 인상한 이후 1년 반 만에 가격을 다시 한번 인상했다.이번 가격 인상으로 인기 제품인 허니콤보, 반반콤보는 2만3000원이 됐다. 배달료까지 합치면 치킨 한 마리를 시켜 먹는데 3만원 가량이 드는 셈이다.교촌치킨 측은 이번 제품가 인상이 가맹점주의 수익 보존과 원·부자재 가격 상승 때문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이 보다는 실적 부진으로 인해 가격 인상을 단행했다는 쪽에 무게가 실린다.실제로 지난해 교촌에프앤비의 영업이익(연결 기준)은 2021년에 비해 78.2% 줄어든 89억원을 기록했다. 당기순이익도 전년 대비 83.2% 줄어든 50억원이었다.치킨업계 매출 1위 자리도 bhc치킨에 내줬다. bhc치킨은 지난해 5074억원(개별 기준)의 매출을 거둬 10년간 매출 1위를 지켰던 교촌에프앤비(4988억원)를 앞질렀다.상황이 이렇자 실적 개선을 위해 결국 치킨 가격을 인상했다는 것이 관련 업계 관계자들의 시각이다.특히 소비자들의 불만이 거세지는 이유는 교촌치킨이 매번 치킨업계의 가격 인상을 주도했다는 점이다.교촌치킨은 2018년 치킨 업계 처음으로 배달비 유료화를 시행했다. 배달 주문 때마다 2000원을 추가해 받기 시작한 것이다. 2021년 7월부터는 배달비를 1000원 더 올렸다.이를 목격한 경쟁 업체들도 배
2023.04.13 12:44:15
-
배달 치킨 3만원 시대가 온다
먹거리 물가가 치솟고 있는 가운데 치킨 가격까지 올라 서민들의 지출 부담이 더 커지게 됐다.교촌치킨을 운영하는 교촌에프앤비는 4월 3일부터 소비자 권장 가격을 품목별로 500원에서 최대 3000원까지 올린다. 교촌 치킨이 가격을 조정하는 것은 2021년 11월 가격 조정 이후 1년여 만이다.주요 한마리 및 부분육 메뉴는 3000원 오른다. 이외 메뉴들은 사이즈 및 기존 가격대에 따라 500~2500원 상향된다. 블랙시크릿 등 일부 신제품은 가격 조정 없이 동결된다. 배달료(3000원~5000원)까지 고려하면 소비자가 치킨 1마리를 먹을 때 3만원에 가까운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교촌에프앤비 측에 따르면 이번 가격 조정은 가맹점 수익 구조가 수 년간 악화돼 부득이하게 결정했다는 설명이다.교촌 본사는 2014년 이후 10년간 주요 원자재 가맹점 납품가를 동결해왔다. 분담비용이 상승하면서 지난해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78% 감소란 것으로 집계됐다.교촌이 치킨 가격을 인상하면서 다른 치킨 프랜차이즈도 가격을 올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지만, 주요 업체 중 현재까지 이런 계획을 밝힌 곳은 없다.bhc치킨은 가격 인상을 논의한 적 없다고 전했다. BBQ 역시 가격 인상을 검토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김정우 기자 enyou@hankyung.com
2023.03.26 10:18: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