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시진핑, 반도체 산업 육성에 사활 건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미국의 첨단 기술 통제와 제재에 맞서 반도체 산업을 직접 챙기겠다며 나섰다. 과연 중국의 사활을 건 총력전이 통할까. “국산 반도체를 쓰고 있느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023년 3월 5일 열린 국회 격인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의 장쑤성 대의원들과의 회의에서 국영 쉬저우 건설기계그룹(XCMG) 임원에게 질문한 내용이다.쉬저우 건설기계그룹은 중국 최대 건설 장비 회사다. 쉬저우 건설기계그룹 임원이 “2017년 71%였던 크레인의 국산 부품 비율이 이제 100%가 됐다”고 밝히자, 시 주석은 “그 크레인에 사용된 반도체도 국산이냐”고 다시 물었다. 이 임원이 “모든 반도체가 국산”이라고 답하자, 시 주석은 크게 치하했다. 이 대화는 중국의 기술 자립을 중시하겠다는 시 주석의 강력한 메시지라고 볼 수 있다. 통상적으로 건설 장비에 쓰이는 반도체는 스마트폰, 컴퓨터 등에 들어가는 첨단 반도체에 비해 기술 수준이 낮지만 시 주석은 ‘완전 국산화’에 만족했다. 시 주석이 집권 3기에 들어가면서 반도체 등 첨단 기술과 과학 분야에서 ‘자력갱생’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시 주석이 3월 10일 전인대에서 국가주석과 국가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으로 각각 선출됐다. 전체 대의원 2952명은 반대표나 기권표 없이 만장일치로 찬성했다.국가주석 3연임은 1949년 중국 건국 이후 처음이며, 시 주석은 최고지도자로서 앞으로 5년간 재임을 연장하게 됐다. 이로써 시 주석은 지난해 10월 공산당 전국대표대회(당 대회)에서 당 총서기와 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에 선출된 데 이어 국가주석과 국가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으로 선출되면서 당&

    2023.03.27 10:00:45

    시진핑, 반도체 산업 육성에 사활 건다
  • 미·일, 중국 반도체 굴기 저지 총력전

    미국과 일본이 반도체 동맹을 통해 중국의 ‘반도체 굴기’를 막아서고 나섰다. 미국의 반도체 설계와 개발, 일본의 장비와 소재 분야 강점을 살려 중국의 반도체 패권 야망을 아예 싹부터 잘라 놓겠다는 구상으로 보인다. 일본은 반도체 소재·부품·장비(소부장)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도쿄일렉트론(TEL), 호야, 도쿄오카공업(TOK), 신에츠화학, JSR 등이 일본의 대표적인 반도체 소부장 기업들이다.이들 중에서도 도쿄일렉트론은 글로벌 3위의 반도체 장비 업체다. 글로벌 시장조사 업체 스테이티스타(Statista)에 따르면 미국의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점유율 16.4%)와 네덜란드의  ASML(15.4%) 다음으로 12.3% 점유율을 갖고 있다. 특히 반도체 장비 중에서도 코터·디벨로터 부문에선 점유율 90%로 압도적으로 세계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또 웨이퍼 프로버(웨이퍼칩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검사하는 장비, 세계 1위), 확산로(세계 1위), 세정 장비(세계 2위), 플라스마에칭(세계 2위) 등 반도체 공정 전 부문에 있어서 세계 최고 수준이다.ASML 등 반도체 장비 업체들은 보통 특정 공정에 특화된 장비를 만드는데, 도쿄일렉트론은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반도체를 만드는 모든 공정에 들어가는 장비를 만든다. 따라서 도쿄일렉트론은 이 세상에 유통되는 반도체 중 자신들을 거치지 않은 반도체는 없다고 자신한다. 도쿄일렉트론은 지난 6월 오는 2027년까지 5년간 1조 엔(9조4000억 원) 이상을 연구·개발(R&D)에 투입하는 경영 계획을 발표했다. 2017~2022년 5년 투자액보다 40%나 늘어난 규모다.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반도체 기술 혁신에 대응하면서 원천기술력

    2022.08.24 14:07:19

    미·일, 중국 반도체 굴기 저지 총력전
  • 한국, ‘칩4’ 참여 안 하면 ‘칩3’ 눈 뜨고 쳐다만 볼 수도 [강문성의 경제 돋보기]

    [경제 돋보기]반도체를 둘러싼 국가 간의 경쟁·견제·합종연횡이 난무하고 있다. 첨단 기술이 첨단 산업의 시장 지배력을 결정하고 나아가 첨단 무기를 바탕으로 한 군사력을 결정지을 것이라는 전망을 모든 국가가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앞으로 다가올 첨단 기술의 시대에서 반도체 기술과 생산 시설의 확보를 통해 원활한 반도체 공급망을 확보하는 것이 국가의 경제 발전, 기술 발전, 나아가 국가 안보 측면에서도 중요해졌다. 중국과 기술 패권 경쟁을 벌이고 있는 미국은 반도체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난 5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한국과 일본 순방 그리고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출범 선언이 이러한 노력의 산물이다. 아직 IPEF가 어떠한 방식으로 공급망 관련 이슈를 풀어 나갈지 미지수이지만 미국은 IPEF를 통해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미국의 우방과 함께 무역·공급망·탈탄소·조세 등의 협력체를 구성하고자 한다. 이러한 거시적 접근 방법 외에도 미국은 반도체 분야에 특화된 부문별 접근 방식 역시 추진하고 있는데, 그것이 ‘칩4(Chip 4)’다. 미국을 비롯해 한국·일본·대만과의 반도체 협력을 위한 협의체를 구성하는 것이 목적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한국의 칩4 참여 여부가 주목받고 있다. 일각에서는 지난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 체계) 사태와 같은 중국의 보복을 우려하고 있다. 중국이 반도체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한국의 대중 반도체 수출을 규제하기는 어렵겠지만 다른 부문에서의 보복은 어느 정도 예상해 볼 수 있다.하지만 한국이 불참을 선언하더라도 칩4가 완전히 무

    2022.08.15 06:00:06

    한국, ‘칩4’ 참여 안 하면 ‘칩3’ 눈 뜨고 쳐다만 볼 수도 [강문성의 경제 돋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