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삼성전자에서 스핀오프한 ‘에바’, 전기차 충전기 캐나다에 250만 달러 규모 수출 계약

    [한경잡앤조이=강홍민 기자] 전기차 충전 솔루션 전문 기업 에바의 이동식 및 고정식 충전 인프라가 올해 북미 시장에 진출한다.에바는 10일 캐나다 인공지능 솔루션 회사 데이터메트렉스 AI(Datametrex AI·이하 데이터메트렉스)의 자회사인 이브이 커넥트 솔루션즈(EV Connect Solutions)에 오는 2023년까지 자사 이동식 충전 시스템 및 고정식 충전 인프라를 제공하는 등 약 250만 달러(한화 약 31억 5000만 원)규모의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데이터메트렉스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사이버 보안, 원격 의료 및 전기차 관련 솔루션을 만드는 기술 중심 회사로, 이브이커넥트솔루션즈를 합병해 전기차 충전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할 예정이다. 이번 계약과 관련해 마샬 건터(Marshall Gunter) 데이터메트렉스 대표는 “우리는 전기차 충전이 상당한 잠재력을 가진 신흥 산업으로 보고 있다”며 “이번 계약은 우리의 개발력과 전기차 충전 기술이 융합될 수 있는 기회라는 점에서 매우 흥미롭다”고 했다.에바는 2017년 삼성전자 사내벤처로 시작해 스핀오프(분사창업)한 이후 삼성벤처투자, 현대자동차, 네이버 D2SF, DSC인베스트먼트 등으로부터 투자를 받았다. 지난해 11월에는 55억 원 규모의 시리즈 A 투자를 유치했고, 최근에는 세계 최대 IT 박람회 CES 2022에서 전기차 충전기로는 세계 최초로 2개 부문에서 혁신상을 수상하기도 했다.이훈 에바 대표는 “창사 이래 첫 수출 실적이라 매우 의미가 있으며, 이를 시작으로 해외 시장 개척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설 방침”이라고 했다.khm@hankyung.com

    2022.06.10 14:37:55

    삼성전자에서 스핀오프한 ‘에바’, 전기차 충전기 캐나다에 250만 달러 규모 수출 계약
  • K배터리 북미 지역 ‘북적’ 이유 있었네…강성 노조 없고 파격 인센티브

    전기차 시대를 맞아 K배터리 및 소재 업체들이 투자 환경이 좋은 북미 지역으로 생산 공장을 총집결하고 있다.완성차 업체들은 배터리 수급 비용을 줄이기 위해 배터리·배터리 소재 업체들에게 생산 공장의 현지화를 요구한다.이에 따라 미국 내 공장 설립을 추진 중인 K배터리·소재 업체들의 생산 공장들이 파격적인 인센티브 제공으로 투자 매력도가 높은 북미 일부 지역에 몰리고 있다.   ‘친기업 정책’ 캐나다, 글로벌 전기차 허브로 부상캐나다는 미국과 국경이 맞닿아 있어 미국과의 외교, 경제 및 문화 교류 관계가 강화되고 있다. 북미 교역의 허브이자 선진국 중 사업하기 쉬운 나라 중 한 곳으로 꼽힌다.미국·멕시코·캐나다의 신 북미 자유 무역 협정(USMCA)과 유럽연합(EU)·캐나다 간 포괄적 경제무역 협정(CETA)에 따른 무관세 혜택과 안정적인 친환경 전력 공급 등에 힘입어 글로벌 전기차 허브로 떠오르고 있다.캐나다는 2025년 7월부터 발효되는 신 북미 자유 무역 협정이 동일하게 적용되고 미국 시장 접근성이 좋아 북미 시장 공략을 추진하는 배터리 및 배터리 소재 업체들의 생산 공장 건립이 잇따르고 있다.캐나다는 지하자원이 풍부해 배터리 소재의 핵심 광물의 원활한 수급에도 용이하다. 배터리 핵심 소재인 니켈, 리튬은 각각 전 세계 매장량의 3%가 캐나다에 매장돼 있다. 캐나다는 주요 광물의 채굴 과정에서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해 수력 전력 사용을 약속하기도 했다.이외에도 외국기업 유치를 위해 조세 감면, 연구·개발(R&D) 사업 지원 등의 투자 인센티브 제공에도 적극적이다.자동차 제조사들은 장거리 수송이 위험한 리튬이온 배터

    2022.05.29 06:00:01

    K배터리 북미 지역 ‘북적’ 이유 있었네…강성 노조 없고 파격 인센티브
  • 서방의 대러시아 제재에 대박 난 국가는

    서방의 대러시아 제재에 대박 난 국가는 서방의 대러시아 제재 덕분에 새로운 원자재 공급망의 핵심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국가들이 있다. 이들 국가는 때아닌 특수에 미소를 감춰야 할 판이다. 카타르, 유럽의 새 LNG 공급원으로 부상 중동의 카타르가 오는 11월 월드컵을 앞두고 러시아를 대체할 유럽 각국의 새로운 천연가스 공급원으로 떠오르고 있다.카타르는 페르시아만에 돌출한 반도에 있는 자그마한 국가다. 남북과 동서의 길이가 각각 160㎞와 80㎞에 불과하고, 국토 면적은 1만1437㎢로 우리나라의 경기도보다 약간 작다. 남쪽으로 사우디아라비아와 국경을 접하고 있고, 국토의 나머지는 바다를 면하고 있다. 인구는 300만 명밖에 되지 않는다. 이 가운데 토박이는 40만 명밖에 되지 않고, 나머지는 인도, 파키스탄, 이란,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등에서 정착한 이민자 출신들이다.카타르는 1971년 이웃한 섬나라인 바레인과 함께 영국의 보호령에서 벗어나 독립했다. 국토의 대부분이 사막인 카타르 주민들은 어업과 진주 조개 채취로 생계를 이어왔다. 페르시아만에서 유전이 발견되면서 산유국으로 발돋움하게 된 카타르는 1989년 세계 최대의 천연가스전인 ‘노스 필드’(세계 전체 매장량의 10%)에서 가스가 생산되면서 중동의 부국(富國)이 됐다.천연가스의 경우 매장량에서 현재 세계 3위, 수출에서 세계 2위다. 카타르는 2021년 기준 세계 2위 수준의 액화천연가스(LNG)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다. 원유 매장량도 세계 12위인 에너지 대국이다. 카타르의 1인당 국내총생산량(GDP)은 국제통화기금(IMF)의 2021년 기준 6만4770달러로 세계 10위다.카타르에는 중동 최대 규모의 미군 기지인 알 우데이

    2022.04.25 10:36:38

    서방의 대러시아 제재에 대박 난 국가는
  • 한미약품, 캐나다 기업에 5000억원 규모 기술 수출

    한미약품이 최대 5000억원 규모의 기술 수출(라이선스 아웃)에 성공했다.한미약품은 백혈병 치료용 파이프라인(신약 후보 물질) ‘HM43239’를 캐나다 앱토즈바이오사이언스(이하 앱토즈)에 라이선스 아웃했다고 4일 발표했다.한미약품은 확정된 계약금 1250만 달러를 500만 달러의 현금과 750만 달러 규모의 앱토즈 주식으로 나눠 받는다. 향후 상업화 등에 따른 마일스톤으로 최대 4억750만 달러를 수령한다. 판매에 따른 단계별 로열티도 받기로 했다.앱토즈는 미국 나스닥에 상장된 혈액 질환 분야 전문 생명공학기업이다. 이번 계약으로 HM43239의 글로벌 개발과 상업화에 대한 독점적 권리를 확보하게 됐다.윌리엄 라이스 앱토즈 회장은 “HM43239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처럼 까다로운 악성 종양에서 검증된 우수한 파이프라인으로 앱토즈의 전략적 목표는 물론 기술적 전문성과 임상 경험에 매우 적합하다”며 “한미약품과의 긴밀한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개발 및 상업화 과정을 밟을 것”이라고 말했다.권세창 한미약품 사장은 “HM43239는 기존 치료제의 내성을 극복할 수 있는 강력한 혈액암 치료제”라며 “혈액 종양 분야에서 혁신적 경쟁력을 갖춘 앱토즈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임상개발 속도를 높이고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최은석 기자 choies@hankyung.com

    2021.11.04 18:52:50

    한미약품, 캐나다 기업에 5000억원 규모 기술 수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