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빨라지는 긴축 시계…2022 채권 투자 전략은

    [베스트 애널리스트 투자 전략]2022년은 미국 중앙은행(Fed)과 한국은행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해 풀었던 막대한 유동성 잔치를 끝내고 경기 회복 정도를 가늠하며 인플레이션에 대응하기 위해 긴축을 본격화하는 해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금융 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고 채권 금리가 상승하면서 크레디트 채권 투자 환경도 녹록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금리 인상기 채권과 크레디트 투자는 쉽지 않은 선택이다. 하지만 기업의 양호한 펀더멘털과 신용 등급 추이, 회복된 가격 메리트를 감안할 때 크레디트 채권 투자는 유효하고 기회 요인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코로나19 사태 직후 하향된 전망과 등급이 대부분 회복됐지만 탄소 중립과 저탄소 산업으로의 전환과 인프라 투자 확대, 신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인수·합병(M&A) 등의 변화 가운데 기회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산업별로 코로나19 수혜(음식료)와 위드 코로나에 따른 회복 산업(항공), 물류 대란 수혜 산업(해운·조선), 원자재 가격 상승과 인플레이션하에서 판가 전가력과 수익성 확보가 가능한 선도 기업(반도체), 기술력을 확보한 혁신 기업(수소전기차), 저탄소 전환 인프라 투자 확대 수혜 기업(건설·에너지)의 투자가 유망해 보인다.예상보다 빠른 경기 회복과 기준금리 인상, 지난해 8월 이후 심화한 인플레이션 우려로 시장 변동성이 크게 확대되면서 크레디트 투자자는 힘든 시간을 보냈지만 다시 저가 매수의 기회도 커지고 있어 고금리 크레디트 채권 투자도 추천한다. 다만 변동성이 커지고 있고 유동성이 줄어들고 있는 시기이기 때문에 현금 유동성과 재무 건전성이 양호한 기업을 선별할

    2022.01.18 17:30:05

    빨라지는 긴축 시계…2022 채권 투자 전략은
  • 금리 상승의 충격…과거에서 힌트 찾아보니

    [베스트 애널리스트 투자 전략]1.88%. 10월 18일 기준 국고채 3년 금리다. 2019년 초 이후 1.8%를 넘어선 것은 2년 10개월 만이다. 당시 기준금리는 1.75%로 지금보다 100bp(1bp=0.01%포인트)가 높았던 시절이다. 크레디트 시장은 국고채 3년 금리에 예민하다. 발행 만기가 3, 5년물에 집중돼 있다 보니 초단기나 초장기물 금리보다 3년물의 흐름이 중요하다.한국은행은 지난 8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25bp 인상했고 10월 금통위에서는 기준금리 인상보다 더 무서운 동결을 결정했다. 현재 시장 금리는 기준금리 1.25% 그 이상을 가정하고 있다.국채 금리의 불확실성은 크레디트 투자를 머뭇거리게 한다. 국채 금리의 가파른 상승과 연말을 앞둔 불안감에 크레디트 시장의 약세가 지속되고 있다. 바야흐로 통화 정책 정상화 시기다.과거 기준금리 인상기의 크레디트 시장은 지금처럼 약세의 연속이었을까. 남아 있는 연말 찾아오게 될 연초 시장의 힌트는 과거를 돌아보면 얻을 수 있다. 지난 20년간 기준금리 인상기는 총 3번 있었다. 2005~2007년(5회), 2010~2011년(5회), 2017~2018년(2회)이다.2005~2007년은 세계 경기가 확장 국면에 있던 상황이다. 세계적 금리 상승 시기다. 한국의 기준금리는 2005년 10월 첫 인상 이후 2006년 8월까지 5회 인상이 단행됐다. 시장 금리는 이미 2005년 7월부터 상승하기 시작했다.장·단기 스프레드라고 할 수 있는 국고채 3년물과 10년물의 스프레드는 이때부터 축소세로 전환됐다. 올해와 마찬가지로 국고채 3년 등 중·단기물 금리 상승과 함께 연말까지 회사채 ‘AA-’ 3년 스프레드는 30bp에서 47bp로 약 17bp 확대된 바 있다.2010~2011년은 금융 위기 이후 경기의 일시적 회복이 확인되던 시점이

    2021.10.25 06:01:20

    금리 상승의 충격…과거에서 힌트 찾아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