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합병 포스코인터 대표에 정탁 부회장…김준형 포스코케미칼 사장
정탁 포스코 사장이 부회장으로 승진하고 2023년 1월 포스코인터내셔널·포스코에너지 통합 법인으로 새출발하는 포스코인터내셔널 신임 대표에 올랐다.정기섭 포스코에너지 사장이 포스코홀딩스 경영전략팀장을 맡고 김준형 SNNC 사장이 포스코케미칼의 신임 사장으로 선임됐다. 포스코그룹은 이 같은 내용의 주요 사장단 인사를 단행했다고 12월 27일 밝혔다.정탁 포스코인터내셔널 신임 부회장은 포스코인터내셔널 쿠알라룸푸르지사장, 포스코 에너지조선마케팅실장, 포스코 철강사업본부장, 포스코 마케팅본부장, 포스코 대표이사 사장 등을 거친 포스코그룹내 대표적인 영업, 마케팅 전문가다.정 부회장은 포스코인터내셔널에서의 실무 경험과 모사인 포스코 대표로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합병에 따른 조직을 조기 안정시켜 시너지를 창출할 적임자로 꼽혔다. 포스코그룹은 정 부회장이 액화천연가스(LNG) 밸류체인 확장 고도화와 수소 등 친환경 에너지 시장 개척을 위한 리더십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했다.정기섭 포스코홀딩스 신임 경영전략팀장은 포스코인터내셔널 경영기획실장, 포스코 국내사업관리실장, 포스코에너지 대표이사 사장 등 그룹사를 두루 거친 그룹내 대표적인 재무 전문가다. 그룹내 사업 현장 전반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구조 조정 경험이 풍부해 그룹 차원의 위기 관리와 사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큰 역할을 해 줄 것으로 회사 측은 기대했다.김준형 포스코케미칼 신임 사장은 SNNC의 니켈사업을 2차전지와 연계한 고순도 니켈사업으로 한 단계 레벨업시킨 주역이다. 과거에는 포스코ESM 대표이사 사장으로서 포스코그룹의 초기 양극재 사업 안정화와 확장에 기여한 바 있는 그
2022.12.27 17:45:16
-
머스크가 찍은 미래 교통수단, 포스코인터도 뛰어들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이 하이퍼루프 글로벌 선도기업인 네덜란드의 하트(HARDT Hyperloop)와 손잡고 차세대 미래 운송 수단인 하이퍼루프 협력 사업을 추진한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11월 1일 인천 송도에서 주시보 사장과 베르트랑 반 이 하트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업무 협약식을 가졌다.양사는 협약을 통해서 △네덜란드에 건설 중인 하이퍼루프 시범단지 유럽 하이퍼루프 센터(EHC) 포스코 강재 공급 △하이퍼루프 사업 마케팅 공동 협력 △하트 지분 투자 계획을 포함해 포괄적 비즈니스 파트너로서 협업을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하이퍼루프(Hyperloop)란 음속을 뜻하는 ‘하이퍼소닉(Hypersonic)’과 연결고리를 뜻하는 ‘루프(Loop)’의 합성어로 공기 저항이 거의 없는 아진공(0.001 기압) 상태의 튜브 내부를 자기부상 캡슐이 초고속으로 이동하는 신개념 운송수단이다.특히 시속 1200km의 속도를 구현할 수 있어 서울-부산 거리를 20분만에 주파 가능한 꿈의 이동수단으로 불리며 주목받고 있다.하이퍼루프라는 개념이 알려지게 된 계기는 2013년 엘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언급하면서부터다.머스크 CEO는 당시 대도시 교통체증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미래형 교통수단으로 하이퍼루프를 제시했다. 머스크 CEO는 자신의 지하터널 굴착회사 보링컴퍼니를 통해 올해 본격적으로 하이퍼루프 시험을 개시할 계획이다.2016년에 설립된 네덜란드 하트는 2017년 머스크 CEO의 스페이스X가 주최한 하이퍼루프 컨테스트에서 우승하며 그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현재 하이퍼루프 산업기술 표준화를 주도하고 있다.분기·감압·제동 등 7개의 핵심 기술을 보유한 유럽 하이퍼루프 기술 선도기업으로
2022.11.02 07:03:01
-
YBM넷, 포스코인터내셔널과 함께 우즈벡 청소년들에게 영어프로그램 제공
[한경잡앤조이=이진호 기자] 국내 대표 교육기업 YBM넷이 포스코인터내셔널이 진행하는 ‘커뮤니티 위드 포스코’ 사업을 통해 우즈베키스탄 청소년들의 영어실력 향상을 위한 외국어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고 13일 발표했다.포스코인터내셔널은 우즈베키스탄 페르가나(Fergana) 지역 청소년들을 위한 외국어 교육센터를 건립했다. 지역사회 청소년들이 자유롭게 공부할 수 있는 외국어 교육 공간과 교육 기자재를 제공하고 외국어 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할 계획이다. YBM넷 자체 면접 시스템을 통해 선발된 국내 거주 원어민 강사가 직접 우즈베키스탄 페르가나 지역 청소년(17~24세)들과 실시간 일대다 수업(Group Study)을 진행한다. YBM넷이 자체적으로 개발한 ESL(English as a second language) 교재를 통해 초급반과 중급반으로 나누어 줌을 이용한 화상수업 (주2회/회당 40분) 형태로 운영될 예정이다. YBM넷 관계자는 “포스코인터내셔널이 진행하는 뜻깊은 사업을 함께 진행할 수 있어 기쁘게 생각한다”며 “자사가 가지고 있는 교육 노하우를 활용해 우즈벡 청소년들의 영어 실력을 도울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포스코인터내셔널은 1992년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지사 설립, 1996년 현지 방직공장 설립을 시작으로 현재 우즈벡 내 최대 면방 생산기업으로 성장해 왔다. 면방사업을 운영하는 우즈베키스탄 현지 미래 세대의 교육역량 강화를 위해서 이번 사업을 진행하게 됐다. jinho2323@hankyung.com
2022.10.13 21:10:30
-
포스코인터내셔널, 백신 개발 벤처 바이오앱에 50억원 투자
포스코인터내셔널이 바이오앱 지분 투자로 미래 성장을 위한 본격 행보에 나선다.포스코인터내셔널은 7월 19일 회사가 지원하는 중소벤처 지원 프로그램 1호 기업인 ‘바이오앱’에 50억원을 투자했다고 21일 밝혔다.바이오앱이 제3자 배정 신주를 발행하고 이를 포스코인터내셔널이 매입하는 방식이다. 이는 바이오앱 지분의 4.4%에 해당한다.바이오앱은 돼지열병, 코로나19 백신 등 사람과 동물의 질병 백신을 개발하는 바이오 벤처기업이다. 식물에서 추출한 단백질로 바이오의약품을 생산하는 ‘식물단백질 플랫폼’ 기술을 갖고 있다.이번에 투자되는 50억원은 바이오앱의 공장 증설과 설비 투자, 돼지열병, 조류독감 등 국내 백신 임상시험에 쓰일 예정이다.포스코인터내셔널이 바이오앱에 투자하게 된 배경은 식물단백질 플랫폼 기술의 성장성을 높게 평가했기 때문이다.식물단백질 플랫폼 기술로 생산하는 ‘그린백신’은 식물에서 분리 정제한 단백질을 활용하기 때문에 기존 백신 대비 부작용이 거의 없고 효과가 우수하다. 게다가 다품종 백신이나 치료제 등을 신속하게 대량생산할 수 있어 레드 바이오 산업으로의 확장성이 큰 기술이라는 평가다.이러한 기술력 덕분에 바이오앱은 2020년 이래 한미사이언스 45억원을 포함, 대교인베스트먼트 등 다양한 기관들로부터 총 160억원의 투자를 유치한 바 있다.바이오앱은 2021년 12월 국내 시장에 돼지열병 백신을 출시해 돼지열병 청정화에 기여했다. 조류독감 백신 등 다양한 동물백신을 추가로 개발 중이다. 최근에는 주력 사업인 식물기반 백신뿐 아니라 동물, 인체용 진단키트 분야까지 사업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한국동물협회에
2022.07.21 16:18:12
-
[100대 CEO-주시보 포스코인터내셔널 사장] ‘현장 전문 해외통’ 전통 상사 넘어 글로벌 사업 첨병으로
[100대 CEO] “신시장 개척에 앞장서는 글로벌 톱 종합 사업 회사로 도약하겠다.”주시보 포스코인터내셔널 사장은 3월 21일 열린 정기 주주 총회에서 회사의 창립 55주년을 맞아 “포스코홀딩스 출범을 계기로 글로벌 사업의 첨병으로서 전통 상사의 역할을 뛰어넘어 경쟁력 있는 사업 구조를 만들어야 하는 시대적 소명을 안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주 사장은 2020년 3월 대표이사 사장에 선임됐다. 포스코인터내셔널에 2005년(당시 대우인터내셔널) 입사해 2015년까지 미얀마에서 11년간 근무했고 에너지 사업 분야 본부장을 맡으며 미얀마 가스전, 액화천연가스(LNG) 등 에너지 사업 부분을 이끌어 왔다.그는 포스코인터내셔널 입사 전에는 한국석유공사 베트남 시추 사무소, 영국 텍사코, 미국 브리티시페트롤륨(BP) 등에서 핵심 업무를 두루 경험하며 현장에 대해 혜안을 가진 ‘현장 전문가’로 인정받았다. 오랜 해외 근무 경험으로 글로벌 감각이 뛰어나 글로벌 종합 상사를 이끌어 가기에 최적임자로 꼽혔다. 소통에 힘쓰면서 실질적인 비전과 방향 제시에 탁월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2021년에는 매출 33조9489억원, 영업이익 5854원, 순이익 3565억원을 창출하며 포스코그룹 편입 직전인 2011년과 비교해 매출 1.7배, 영업이익 3.6배의 성장을 이룬 초우량 기업으로 성장시키는 데 일조했다. 이는 매출 기준 포스코에 이은 그룹 내 2위, 2021년 기준 유가증권시장 상장 기업 중 17위 수준이다.포스코인터내셔널의 이러한 성장 배경 중 하나로 다양한 신성장 사업 육성 등을 통한 균형잡힌 사업 포트폴리오 구축을 꼽을 수 있다. 2011년 영업이익의 대부분이 트레이딩에서 발생했던 상황에 비해 202
2022.07.06 08:04:16
-
ABCD가 지배하는 글로벌 곡물 시장…한국 기업의 역할은
[비즈니스 포커스]세계 각국이 ‘식량 창고’를 걸어 잠그고 있다. 기후 변화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으로 인해 식량 가격이 치솟고 있기 때문이다. 코로나19 사태로 가뜩이나 불안하던 식량 시장에 직격탄을 날린 것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다. 우크라이나는 전 세계 밀 수출량의 25%를 차지하는 ‘유럽의 빵 바구니’이지만 러시아의 침공으로 밀 수확량이 급감했다. 이에 더해 5월 14일부터 인도가 밀 수출을 금지하고 정부의 허가 물량만 수출하기로 결정하면서 식량난이 가속화될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밀에서 촉발된 식량난은 다른 식량군으로도 번지고 있다. 세계 1위 팜유 생산국인 인도네시아도 수출 제한에 나섰다. 인도네시아 업자들이 수출에만 집중해 내수 시장의 식용유 값이 오르고 품귀 현상이 벌어졌기 때문이다.한국은 국가별 식량 안보 수준을 비교 평가하는 세계식량안보지수(GFSI)에서 2021년 32위를 기록하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하위권이다. 전체 곡물 수요의 80%를 수입에 의존한다. 세계 각국이 식량 안보를 앞세울수록 난처한 상황에 놓일 수밖에 없다. 기후 변화와 전쟁 등으로 치솟는 식량 가격곡물 시장은 소수의 곡물 수출국이 자국의 소비량을 제외하고 다수 국가에 수출하는 ‘공급자 우위’의 성격을 띤다. 이는 이른바 ‘ABCD’로 불리는 세계 4대 곡물 기업이 유통을 꽉 쥐고 있기 때문이다. 아처대니얼스미들랜드(ADM)·번지(Bunge)·카길(Cargill)·루이스드레퓌스컴퍼니(LDC)가 ‘ABCD’인데, 이들은 전 세계 곡물 교역량의 75%를 장악하고 있다. 농협중앙회 농협경제연구소는 ‘ABCD&r
2022.05.31 06:00:10
-
쿠데타에 전쟁까지…지정학 리스크에 떠는 포스코인터내셔널
[비즈니스 포커스] 포스코인터내셔널이 2021년 미얀마 군부 쿠데타에 이어 올해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지정학적 리스크에 시달리고 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의 알짜 사업인 가스전 사업과 식량 사업이 모두 현지 쿠데타와 전쟁의 영향권에 놓여 있기 때문이다.러시아가 2022년 2월 24일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러시아명 키예프)를 미사일로 공습하고 지상군을 투입하는 등 전면 침공을 감행하면서 시작된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현지에 진출해 있는 한국 기업들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우크라이나에서 대규모 곡물 수출 터미널을 운영 중인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아직까지 관련 피해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현지 주재원과 가족을 모두 인근 국가나 국내로 대피시키고 터미널 운영을 잠정 중단한 상태다.러시아군은 최근 키이우를 장악하기 위해 인근의 주요 거점 도시에까지 무차별 공격을 이어 가고 있다. 하르키우·마리우폴·미콜라이우 등 대도시에 집중 공격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전쟁이 장기화하면 포스코인터내셔널의 식량 사업에도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현지 식량 사업 확장에 제동 걸려포스코인터내셔널은 식량 사업을 철강·에너지와 함께 3대 핵심 사업 중 하나로 집중 육성하고 있다. 시장 변화에 대응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트레이딩에 그치지 않고 농장-가공-물류 인프라에 이르는 식량 밸류 체인을 구축해 왔다.포스코인터내셔널의 식량 사업은 인도네시아 팜오일 사업, 미얀마 미곡 종합 처리장, 우크라이나 곡물 창고(터미널) 등 3개 나라를 거점으로 하고 있다. 현지 인프라 운영과 트레이딩의 연계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식량
2022.03.24 06:00:21
-
‘글로벌 종합 사업 회사’로 변신하는 포스코인터내셔널
[비즈니스 포커스]포스코인터내셔널이 종합 상사를 넘어 ‘글로벌 종합 사업 회사’로 변신하고 있다. 철강·에너지·식량 등의 핵심 사업을 기반으로 친환경차 부품 등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넓히는 중이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1967년 설립된 대우실업이 모태다. 1982년 (주)대우로 이름을 바꾸면서 대우그룹의 무역 부문을 전담했다. 2000년 대우인터내셔널로 분할됐다가 2010년 포스코그룹에 편입됐다. 2019년 포스코인터내셔널로 사명을 바꾼 뒤 사업 다각화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전기차 핵심 부품 매출 ‘쑥쑥’한국의 도로를 달리는 대부분의 친환경차가 포스코인터내셔널의 구동 모터 코어를 장착하고 있다는 사실을 아는 이는 거의 없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이 생산한 모터 코어는 현대차와 기아는 물론 세계 유수의 자동차 메이커에 적용되고 있다.모터 코어는 자동차와 산업용 설비 등 모터에 사용되는 부품이다. 구동 모터의 심장이라고 해도 무방하다. 전기차 등 친환경차의 핵심 부품으로 꼽힌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이 구동 모터 코어 시장에서 존재감을 과시하는 이유는 46년간 모터 코어를 생산해 온 100% 자회사 포스코SPS 덕분이다.포스코SPS는 2009년부터 현대차와 기아에 모터 코어를 공급하고 있다. 한국 모터 코어 제조사 중 유일하게 금형 연구소를 자체 보유해 금형의 설계부터 코어 제조까지 모두 직접 하는 곳이다. 최근엔 ‘엠보싱 프리(EMFree)’ 기술을 개발해 구동 모터 코어 제품에 적용하고 있다. 엠보싱 프리는 박판 전기 강판에 미량의 접착제를 도포한 뒤 낱장의 코어를 접착하는 본딩 적층 기술이다. 기존 엠보 적층 타입에서 발생하던 전기적 손실을 최소
2021.07.07 06:44:02
-
주시보 포스코인터내셔널 사장, ‘글로벌 종합 사업회사’ 이끄는 현장전문가
[100대 CEO] 주시보 포스코인터내셔널 사장은 올해 초 대표이사에 재선임되며 임기 2년 차를 맞았다. 주 사장은 업계에서 현장 전문가로 꼽힌다. 그는 대우에 입사해서 미얀마E&P(탐사·생산) 사무소장, 해외생산본부장, 석유가스운영본부장, 자원개발본부장, 에너지본부장 등을 역임했다. 특히 포스코인터내셔널의 핵심 에너지 사업인 미얀마 가스전에 초기부터 참여해 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는다.주 사장은 포스코인터내셔널을 종합상사를 넘어 ‘글로벌 종합 사업 회사’로 키우겠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철강·에너지·식량등 3개의 핵심 사업에 더해 친환경 모빌리티 사업 등 신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에너지 사업에서는 미얀마 가스전의 성공 경험과 사업 역량을 토대로 기보유운영광구와 신규 광구의 탐사·개발·생산에 매진하고 있다. 액화 플랜트, 액화천연가스(LNG) 트레이딩, 벙커링, 수입 터미널, 파이프라인 등을 망라하는 가스 밸류 체인 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있다.식량 사업에서는 글로벌 톱10으로 성장하는 게 목표다. 이를 위해 2030년까지 곡물 취급량 800만 톤을 2500만 톤 규모로 확대하고 매출 10조원을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포스코인터내셜은 우크라이나 곡물 수출 터미널, 미얀마 쌀 도정 공장, 인도네시아 팜오일 농장 등 현지 사업을 개발해 운영하고 있다. 최근에는 농업 분야의 트렌드 변화에 대응해 장기적 관점에서 한국의 유망 어그테크(농업+기술) 기업과의 협업을 모색하고 있다.또한 주 사장은 올해를 ‘글로벌 톱 구동 모터 부품사’ 도약의 원년으로 삼고 친환경 자동차 부품 시장을 적극 공
2021.06.21 06:51:22
-
포스코, 커지는 미얀마발 리스크…알짜 가스전 어쩌나
[비즈니스 포커스] 글로벌 기업 포스코가 미얀마 군부 쿠데타로 인해 사업 리스크에 직면했다. 포스코는 자회사 포스코인터내셔널과 포스코강판을 통해 미얀마 가스전 개발 사업과 아연도금, 컬러 강판 사업 등을 각각 진행하고 있다. 올해 2월부터 미얀마 군부 쿠데타로 유혈 사태가 빚어지면서 포스코에 대한 국제 사회의 압박이 거세지고 있다. 미얀마 인권 단체 저스티스포미얀마(JFM)와 국제앰네스티, 한국의 참여연대 등 시민·인권 단체들이...
2021.04.26 07:32:31
-
전기차에서 돈맥 캐는 상사들…미래 먹거리 찾아 '무한 변신'
[비즈니스 포커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의 영향으로 실적에 타격을 입은 대표적인 업종 중 하나는 바로 종합상사다. 업계 빅3인 포스코인터내셔널·LG상사·삼성물산 상사부문이 2020년 거둔 연간 영업이익은 총 7283억원으로 전년(8460억원)보다 약 14% 줄었다. 코로나19로 전반적인 교역량이 위축되면서 부진한 실적을 낸 종합상사들이 주력 사업인 트레이딩에서 벗어나 사업 다각화와 각종 신사업...
2021.03.25 07:2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