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pecial]리더십, '패' 말고 '판' 바꿔라...‘3R’ 주목

    포스트 코로나 시대, 명심해야 할 것은 ‘비정상의 정상화’가 아니다. 그라운드 제로에서 새롭게 시작해야 한다. 이때 리더는 과연 어떻게 소통해야 할 것인가. 3R(Rule·Role·Respect)로 정리해 살펴보자.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뉴노멀 리더십은? 결론부터 말하면 ‘패 말고 판을 바꾸라’다. 기존 리더십을 버전 업그레이드하는 것으론 부족하다. 달라진 판에 따라 룰(rule)과 롤(role)을 다시 정해야 한다. 코로나19는 이미 정해진 방향의 변화의 방아쇠를 당겼을 뿐이다. 이미 지각변동은 일어나고 있었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뷰카(VUCA : volatility, uncertainty, complexity, ambiguity의 앞글자를 따온 용어로, 변동적이고, 불확실하고, 복잡하고, 모호한 사회 변동을 말한다.)시대의 도래, 기존 성장 전략의 한계, 주52시간 근무제로 인한 한계 등이 그것이다.MZ(밀레니얼+Z) 세대의 비중이 커지면서 조직 구성원의 속성에도 큰 변화가 생겼다. 이들은 일과 조직을 바라보는 가치관에서 기성세대와는 전혀 다르다. 조용한 대이직(the great resignation) 바람이 불면서 인재 리텐션에 대한 필요성이 절실해졌다. 코로나이후 일상의 회복 이야기가 나오지만 우리가 ‘돌아온’ 혹은 ‘돌아갈’ 일상은 이전의 일상과 다르다. 현상은 비슷해 보여도 본질은 그때 그 일이 아님을 명심해야 한다. 리더에게 필요한 자질은 무엇일까.➊ 룰(rule)을 바꾸자“아웃풋(output)보다 아웃컴(outcome) 을 중시하라”“재택근무를 하니 눈에 보이지 않아 열심히 일하는지 아닌지 관리할 수 없어 답답했어요.” 코로나19 이후 관리자들의 한결같은 고충이었다. 반면에 MZ세대 직장인은 “사무실에서 일한다고

    2022.12.27 07:00:19

    [special]리더십, '패' 말고 '판' 바꿔라...‘3R’ 주목
  • CES 2022에서 주목해야 할 5대 포인트 짚어보기

    POINT 1AI·로봇·메타버스… 포스트 모바일 혁신 경쟁⚡️PC 인터넷에 이어 모바일 인터넷 다음엔..?‘모바일 인터넷이 언제까지 성장할 수 있을까?’ 코로나 이전부터 나왔던 질문이에요. 코로나 2년이 경과한 지금 CES 2022에서 그 해답을 제시했죠. CES 콘퍼런스 현장에서 뜨겁게 달군 아래 3가지 키워드✍가 포스트 모바일 혁신의 트렌드로 자리를 잡고 있어요.① AI : 비즈니스 프로세스, 의사결정 전반에 기여② 로보틱스 : 새로운 실험, 발전의 기회 촉진③ 메타버스 : 포스트 모바일 혁신을 선도할 유력 후보2022년 가장 주목해야 할 트렌드 기술로 AI, 로봇과 메타버스를 꼽은 이유는?빅테크(페이스북,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등)기업들은 이미 메타버스 선점에 뛰어들고 있어요.‍생산 가능인구 감소, 획기적인 비용 절감 필요성, 비대면 고객 경험의 시공간 확장 수요 등 비즈니스 환경이 급변하고 있기 때문이죠.변화를 재빨리 눈치챈 투자자들도 대규모 자금을 디지털 전환과 스타트업에 집중하고 있어요.POINT 2르네상스 맞이한 헬스케어CES 2022는 ‘헬스케어 쇼’팬데믹은 헬스케어의 사회적 수용과 기술 혁신을 가속화했어요. CTA에서 2020년 3월 이후 미국 가정의 20%가 처음 온라인 건강 서비스‍⚕️를 사용했고 올해도 계속 사용할 것으로 나타났어요.2022년 코로나 직전 대비 미국 업종별 매출 전망 순위에서 헬스케어(124%)는 디지털 기술(130%)과 1, 2위를 다투고⚡️있어요. 혁신을 이끌어가는 선도산업의 위상이 크게 바뀌고 있는거죠.POINT 3불붙은 ESG 경영♻️코로나 이후, 쇼핑할 때 함께 검색하는 키워드는?주기화된 팬데믹으로 환경 균형 붕괴와 관련 있다는 인식이 소비자들에

    2022.02.07 10:16:18

    CES 2022에서 주목해야 할 5대 포인트 짚어보기
  • 주가 재상승·유동성 숙취 극복, ‘트리플 Re’에 달렸다

    [한상춘의 국제경제 심층분석]“목적지에 거의 다 왔다(We are almost there).” 세계보건기구(WHO)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팬데믹(세계적 유행)으로 선언한 이후 1년 만에 종료 가능성을 시사한 앤서니 파우치 미국 국립 알르세기센터 소장의 발언이다.지난 1년 동안 ‘잃어버린 시간’이라고 부를 만큼 모든 세계인이 겪은 고통과 두려움을 고려하면 가장 기다렸던 격문이다.세계 경제, ‘격리’에서 ‘연계’ 체제로 이행 예상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서막을 알리는 파우치 소장의 발언으로 세계 경제와 증시는 단순히 코로나19 사태 이전으로 복귀되는 이상으로 변화를 겪을 가능성이 높다. 전염성이 강한 코로나19는 백신이 개발되기 전까지 유일한 대처 방안이 ‘격리’였던 점을 감안하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접어들면 세계 경제는 ‘연계’ 체제로 이행될 것으로 예상된다.코로나19 백신 보급 속도를 감안해 가장 최근 발표한 국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중간 전망을 보면 올해 세계 경제는 5.6%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작년 12월 내놓았던 4.2%와 비교하면 3개월 만에 1.4%포인트를 상향 조정된 것이어서 ‘성장률 서프라이즈’ 수준에 해당한다. 금융 위기와 달리 경제 시스템에 큰 문제가 없었기 때문이다.                 주목해야 할 것은 올해 국별 성장률이 코로나19 백신을 자체 개발하고 얼마나 빨리 보급하느냐에 따라 확연하게 차이가 난다는 점이다.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주도로 가장 빨리 경제 활동을 재개하고 백신을 개발해 보급한 중국 경제는 지난해 유일하게 플러스 성장세를 보인 데 이어 올해

    2021.03.25 07:26:14

    주가 재상승·유동성 숙취 극복, ‘트리플 Re’에 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