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미국 집값이 6월에 정점 찍고 하락한 진짜 이유[아기곰의 부동산 산책]

    미국 중앙은행(Fed)이 급격하게 금리를 인상하면서 전 세계 경기가 싸늘하게 식어 가고 있다. KB국민은행 통계를 기준으로 한국의 아파트 값도 7월부터 하락으로 돌아서 10월까지 네 달 연속으로 하락 중이다.최근에는 미국 집값도 6월을 정점으로 하락하기 시작해 최신 통계치인 9월까지 세 달 연속으로 떨어지고 있다는 보도가 나오고 있다. 마치 전 세계 집값이 경쟁적으로 하락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그러면 이런 보도는 사실일까.미국 집값이 떨어지고 있다는 보도는 사실이기도 하고 사실이 아니기도 하다. 올해 6월 미국 주택 중위값은 41만3800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었다. 5월에 이어 40만 달러를 넘은 둘째 달이다. 하지만 올해 9월 미국 주택 중위값은 38만4800달러로 하락해 세 달 사이에 7.0%의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뜨거웠던 미국 주택 시장도 금리 인상의 여파를 이기지 못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미국 집값이 세 달 연속 하락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하락의 원인이 급격한 금리 인상에 따른 주택 경기의 침체로 해석하는 것은 명백한 과장이다. <표1>은 지난 10여 년간 미국 주택 중위값을 나타낸 표다.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 담보 대출) 부실 사태와 리먼브라더스 사태의 여파로 집값이 바닥을 찍었던 2011년 이후 집값이 전년보다 떨어진 적은 한 번도 없다. 심지어 집값이 하락하고 있다고 보도가 나온 최근의 집값도 전년 대비 8.4%나 상승한 수치다.그런데 <표1>을 자세히 보면 미국의 집값 흐름은 한국과 상당히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등고선처럼 보이는 집값은 매년 6월에 가장 비싸고 매년 1월에 가장 싸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것

    2022.10.29 06:00:08

    미국 집값이 6월에 정점 찍고 하락한 진짜 이유[아기곰의 부동산 산책]
  • 원자재 가격 급등에 올해 기업 영업이익률 하락 전망

    [숫자로 본 경제]국제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올해 기업의 영업이익률이 하락하는 등 경제 전반에 걸쳐 악영향이 예상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은 ‘국제 원자재가 급등(올해 1~9월 기준)이 기업 채산성 등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분석을 통해 기업의 영업이익률이 연간 1.8%포인트 하락하고 소비자 물가는 1.6%포인트의 상승 압력을 받는 등 부정적 영향이 클 것이라고 내다봤다.국제 유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지난해 4월 저점을 찍은 이후 최대 5배까지 상승했다.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지난해 4월 배럴당 15.06달러에서 지난 10월 75.03달러로 약 5배 치솟았다. 같은 기간 두바이유는 3.6배, 브렌트유는 3.8배 올랐다. 금을 제외한 알루미늄 등 비철금속 가격과 옥수수 등 주요 곡물 선물 가격도 가파른 상승세다. 이에 따라 올해 1∼9월 원화 기준 원재료 수입 물가 상승률은 전년 동기 대비 32.3%에 달한다.한경연은 기업들이 원재료 수입 물가 상승분의 절반을 제품 판매 가격에 반영하고 나머지 절반은 자체 흡수한다는 가정 아래 기업 채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그 결과 금융 업종을 제외한 전체 기업의 영업이익률이 코로나19 사태 이전 5년간(2015∼2019년) 평균 5.2%에서 원자재 가격 상승 이후 1.8%포인트 하락해 3.4% 수준에 그칠 것으로 예상됐다.기업 규모별 영업이익률 하락 폭은 대기업이 2.0%포인트로 중소기업(1.5%포인트)보다 컸다. 한경연은 대기업의 매출액 대비 재료비 비율이 더 높은 만큼 국제 원자재 가격 인상의 영향을 더 크게 받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경연은 또한 원자재 가격 상승분의 절반을 제품 가격에 전가한다면 소비자 물

    2021.11.06 06:02:14

    원자재 가격 급등에 올해 기업 영업이익률 하락 전망
  • [돈이 되는 경제지표] 니켈, 중국발 대량 공급에 하락했지만…

    [돈이 되는 경제지표] 전기차의 핵심 소재로 고공 상승하던 니켈 가격이 중국 기업의 대량 공급 이슈에 하락했다. 3월 3일(현지 시간) 런던금속거래소(LME)에 따르면 니켈은 톤당 1만7802달러로 전일 대비 4.19% 하락 마감됐다. 니켈 가격의 급락은 중국의 스테인리스 스틸 기업인 칭산(靑山)이 주도했다. 김광래 삼성선물 애널리스트는 “칭산이 올해 10월부터 화유(華友)와 CNGR에 고순도 니켈 매트를 각각 6만 톤과 4만 ...

    2021.03.08 12:11:26

    [돈이 되는 경제지표] 니켈, 중국발 대량 공급에 하락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