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부동산 PF 리스크, 도미노를 막아라
지난 수년간 이어진 우호적인 부동산 경기 흐름 속에서 우후죽순격으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들이 추진된 바 있다. 부동산 PF 시장 내 금융사들의 참여 방식이 다양해지고, PF 공급 규모 역시 크게 늘어났으며, 유동화증권 등을 통한 자본시장과의 연계성도 매우 커져 있는 상태다. 최근 부동산 PF 사업들의 수익성이 악화되기 시작하자, 이미 경색 국면에 놓여있던 채권 시장을 중심으로 부동산 PF 사업의 위기 발생 가능성에 대한 징후가 본격적으로 포착되고 있다. 도미노처럼 번져 가는 부동산 PF 부실 리스크, 현황을 살펴보고 정책적 해법을 모색해봤다. 부동산 경기 하락...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 최저치주택산업연구원이 최근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10월 대비 11월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는 전국적으로 하락했으며, 10포인트 이상 하락한 지역도 다수로 나타났다. 특히 수도권은 10.8포인트 하락해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를 조사한 이래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이에 대해 주택산업연구원은 “올 초부터 금리 및 원자재 가격 상승에 기인한 건설 원가 상승과 부동산 경기의 하락으로 부동산 PF를 통한 기대수익이 감소하고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며 “브리지론에서 부동산 PF로의 전환이 어려워지고 있고 이는 주택건설사업자들의 재원 조달 및 사업 안정성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고 분석했다.이어 “미국의 급격한 기준금리 인상과 건설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주택 경기 침체는 단기간에 개선되기 어려울 전망으로 부동산 관련 규제 완화 정책과 더불어 공적 금융 지원 및 보증 지원을 확대하는 등의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당부했
2022.11.25 09:15:01
-
“저성장과 청년 실업 해법 지식재산에 있다”
[인터뷰]정갑윤 지식재산단체총연합회장은 제19대 국회 부의장 등을 역임한 5선 국회의원 출신이다. 지난해 제21대 총선을 앞두고 불출마를 선언하며 정계를 떠났다. 지난해 10월 ‘문화·예술과 과학기술이 하나 된 지식재산 강국 실현’을 목표로 지식재산단체총연합회(이하 지총)를 출범했다. 5선의 원혜영 전 의원과 공동 회장을 맡고 있다.정 회장은 “지식재산은 일자리 창출 등의 파급 효과를 지닌 경제·산업의 핵심 자원”이라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의 여파와 청년 실업, 저성장 등을 극복하는 해법이 지식재산에 있다”고 말했다.-지식재산은 구체적으로 뭘 뜻합니까.“흔히 알고 있는 특허·실용신안·상표·디자인 외에도 수많은 지식재산이 있습니다. 보르도 와인처럼 상품의 산지를 밝히는 ‘지리적 표시’도 국제적으로 지식재산의 범주에 속합니다. 세계지식재산권기구(WIPO)는 의약품의 원료로 쓰일 수 있는 유전 자원과 이를 활용하는 전통 지식을 지식재산의 범주에 포함할 여부를 논의하고 있을 정도로 그 범위가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지식재산이 왜 중요합니까.“국민 경제에 미치는 지식재산의 영향력이 막대하기 때문입니다. 한국 국내총생산(GDP)의 37.2%가 지식재산 집약 산업에서 발생합니다. 미국도 GDP의 38.0%가 관련 산업에서 창출되죠. 한국지식재산연구원에 따르면 제조 기업의 특허권이 1개 증가하면 6.4개의 일자리가 창출됩니다.”-한국의 지식재산 현황이 궁금합니다.“한국은 세계적 지식재산 강국에 속합니다. 우선 특허 분야에서 ‘아이피-파이브(IP5)’에 해당합니다. IP5는 &lsqu
2021.11.05 06:0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