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흑자 전환 성공…2023년 글로벌 로봇 시장 진출”

    [비즈니스 포커스]“실적이 적자에서 흑자로 돌아섰다.”이정호 레인보우로보틱스 대표는 12월 6일 한경비즈니스와의 인터뷰에서 “협동 로봇 시장에 진출한 지 불과 3년이 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이 같은 성과를 내 고무적”이라고 밝혔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2018년부터 협동 로봇 연구·개발(R&D)을 시작해 2020년부터 본격적으로 제품 판매를 시작했다.협동 로봇은 사람의 팔과 같이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산업용 로봇의 한 분류다. 기존의 산업용 로봇은 무겁고 빠르게 움직이다 보니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었지만 작업자에게 위협을 가할 수 있다.이 대표는 “협동 로봇은 기존의 고전적인 산업용 로봇과 비교해 일부 안전 기능을 내장하고 있어 작업자와 같은 공간에서 활용할 수 있는 로봇을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팔 모양 형태의 ‘RB 시리즈’, 최근 수많은 무인 로봇 카페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레인보우로봇카페’ 등이 이 회사에서 만든 제품들이다.이 대표에 따르면 레인보우로보틱스는 다양한 로봇 제품들의 판매 호조에 힘입어 2022년 3분기까지 누적 매출 104억원을 달성했다. 지난 한 해 매출 90억원을 벌써 넘어섰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11억9000만원, 13억8000만원으로 모두 흑자 전환했다.레인보우로보틱스는 업력이 10년 조금 넘은 로봇 플랫폼 전문기업이다. 카이스트 휴머노이드(인간형 로봇) 로봇연구센터가 이 회사의 전신이다. 이 대표와 그의 지도 교수이자 한국 휴머노이드 로봇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오준호 교수(현 레인보우로보틱스 최고기술책임자)가 함께 뜻을 모아 2011년 회사를 설립했다.2004

    2022.12.12 12:13:20

    “흑자 전환 성공…2023년 글로벌 로봇 시장 진출”
  • 두산로보틱스, 로봇 용접 자동화 솔루션 선봬

     두산로보틱스가 협력사와 함께 협동로봇을 활용한 용접 자동화 솔루션을 선보인다.두산로보틱스는 10월 18~21일 경남 창원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되는 ‘2022 창원국제용접 및 절단자동화전(WELDING KOREA 2022+ AUTOMATION)’에 참가한다고 18일 밝혔다.2022 창원국제용접 및 절단자동화전은 올해 20회를 맞는 용접, 절단 자동화 전시회로 두산, 한화, 레인보우로보틱스 등 100여개 기업이 참가한다.두산로보틱스는 이번 전시회에서 작업 현장의 니즈를 반영해 협력사들과 공동 개발한 △작업 유연성 높은 로봇 용접 자동화 솔루션(협력사 삼호클루스) △TIG(Tungsten Inert Gas welding) 로봇 용접 솔루션(협력사 페이브텍) △로봇 용접 자동화 솔루션 교육 실습용 키트(협력사 에이원테크놀로지) 등을 소개한다.두산로보틱스 로봇 용접 자동화 솔루션은 프로그래밍이 쉬워 작업을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다. 레이아웃 변경 없이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가 용이하다. 시스템에 자체 내장된 조인트 토크센서를 이용해 세밀한 작업이 가능하고, 업계 최고 안전 등급인 PLe, Cat4를 획득한 협동로봇을 적용해 높은 안전성을 확보했다.이 외에도 협동로봇 본체를 알루미늄 커버로 감싸 전자파 간섭(EMI) 저항이 높기 때문에 고주파 공정에도 활용할 수 있다.두산로보틱스는 로봇 용접 자동화 솔루션 외에도 △제품을 파렛트 위에 쌓는 팔레타이징(Palletizing) △가공물을 투입하고 완성품을 꺼내는 머신텐딩(Machine Tending) △검사 △건설 분야 시공 솔루션 등 다양한 제조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다. 두산로보틱스 관계자는 “두산로보틱스 로봇 용접 자동화 솔루션은 우수성을 인정받아 이미 유럽, 미주, 오세아니아 현지에서 꾸준하게

    2022.10.18 10:07:24

    두산로보틱스, 로봇 용접 자동화 솔루션 선봬
  • 더 튼튼해지고 더 가벼워졌다. 산업용 ‘로봇 팔’의 미래[테크트렌드]

    산업용 로봇은 1960년대부터 제조 공정에 주로 사용돼 왔다. 구조도 다양하다. 직교형 로봇에서 스카라(SCARA) 로봇, 수직 다관절(articulated) 로봇까지 진화해 왔다. 다양한 산업용 로봇들 중에서 사람의 팔처럼 6 자유도(degree of freedom) 이상의 동작을 할 수 있는 수직 다관절 로봇은 쉽게 말해 ‘로봇 팔’로 불리기도 한다.첫 등장 이후 2000년대에 이르기까지 로봇 팔의 진화는 줄곧 힘·정밀도·속도 등의 기능 향상에 초점을 뒀다. 오늘날 ABB·화낙 등 글로벌 산업용 로봇 기업들이 만드는 로봇 팔들의 작업 중량(load capacity)이나 가반 하중(들어올릴 수 있는 최대 무게, payload), 즉 로봇이 들거나 옮기는 식으로 다룰 수 있는 물체의 중량은 수 kg대에서 최대 수천 kg대에 달한다. 화낙의 대형 산업용 로봇인 M-2000iA는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과 맞먹는 무게인 2.3톤의 물체를 들어올릴 수 있다.또한 로봇 팔은 같은 작업을 수없이 반복해도 정확하게 정해진 위치나 자세에 맞춰 작동한다. 글로벌 기업들이 만드는 산업용 로봇 팔들이 같은 동작을 반복 수행할 때 정해진 위치에서 벗어나는 오차 범위는 ±0.01mm 이내에 그칠 정도다.사람 10명보다 무거웠던 로봇 팔, 작고 가볍게 진화로봇 팔은 강력한 힘과 높은 정밀도 등 우수한 성능을 지녔지만 로봇 팔 시장을 확장하는 데는 몇 가지 제약 사항이 있었다. 일단 로봇 팔은 크기가 커 많은 공간을 차지한다. 로봇 팔의 무게도 사람이 쉽게 옮기거나 다루기 힘들 정도로 무겁다. 그래서 공정 변화에 맞춰 로봇의 위치를 바꾸려면 충분히 넓은 공간을 새로 확보해야 하고 옮겨 설치하는 데도 많은 노력과 시간이 든다.예를 들어 화낙의 작업 중량 35kg급인

    2022.08.10 06:01:19

    더 튼튼해지고 더 가벼워졌다. 산업용 ‘로봇 팔’의 미래[테크트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