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사의 선배, 삶의 스승…그 애널리스트를 추억하며
[2022 상반기 베스트 증권사·애널리스트](편집자 주) 어제는 오늘을 만들고 오늘은 내일을 만든다고 한다. 산업은 말할 것도 없고 사람도 마찬가지다. 때로는 출중한 후배들이 나와 선배들의 명성을 흐릿하게 만들기도 하지만 오늘의 인재들은 선배들의 보이지 않는 영향 속에 성장했다.한국 증권 산업의 한복판에 있는 애널리스트의 역사를 정리하기로 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런 취지를 접한 김학균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이 한경비즈니스에 편지를 보내 왔다. 역사를 정리하며 선배 애널리스트들에 대한 개인적 헌사를 하고 싶다고 했다. 개인적인 얘기라 망설여진다는 말도 덧붙였다.하지만 편집진은 망설이지 않았다. 후배가 헌사를 남기고 싶은 선배라면 그들의 일과 삶은 기록될 가치가 충분하다고 판단했다. 한경비즈니스는 앞으로도 한국의 자본 시장과 함께한 더 많은 애널리스트들의 발자취를 기록할 예정이다. 필자는 1997년 11월부터 애널리스트로 일하고 있다. 직장 잡기가 어렵지 않았던 외환 위기 직전에 취업해 신입 사원 때부터 리서치센터에 발령받아 지금까지 애널리스트로 살고 있다. 일하면서 통찰력 있는 선후배들을 많이 만났지만 세 분의 선배들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이들은 내 애널리스트 생활의 스승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전 신한금융투자 고 정의석 상무정의석 상무는 1960년생으로 1990년대 초부터 애널리스트로 활동하면서 필명을 날렸다. 그는 소수 의견을 내는 데 두려움이 없었다. 1992년 부실기업들이 대규모로 나올 때 부도 예상 기업들에 대한 경고 의견을 담은 ‘멍멍이(doggie) 시리즈’ 리포트는 장안의 화제가 됨과 동시에 필화 사건으로 비
2022.07.21 06:00:09
-
“‘틀’이 무너지는 시기, 균형을 잡는 게 애널리스트의 역할”
[스페셜 리포트]홍성국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997년 외환 위기, 2008년 금융 위기를 예견한 애널리스트였다. 한국 경제가 위기에 처할 때마다 늘 경고등을 먼저 켰다. 그는 ‘애널리스트의 사관학교’로 불렸던 대우증권 리서치센터의 기초를 설계했고 동시에 1990년대 초반 한국 리서치센터의 역사를 증언해 줄 수 있는 적임자이기도 하다. ‘다독가’로 정평이 나 있는 홍성국 의원은 현대의 애널리스트들을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제자백가’에 비교했다. 담론을 통해 학문을 꽃피웠던 제자백가처럼 정보를 끊임없이 생성하는 것이 애널리스트의 주 업무라는 것이다. 지금처럼 시장이 혼란스러울수록 애널리스트의 ‘입’에 더 많은 시선이 쏠리기 마련이다. -국회에 입성한 지 2년이 됐습니다. 처음 정치권에 들어갈 때 뜻했던 바를 어느 정도 이루셨나요.“대선과 지방선거가 연이어 치러져 선거에 집중하는 시기가 길었어요. 하지만 제 지역구인 세종시에 국회 분원을 설치하는 법률 개정안을 처리한 것은 큰 소득이라고 보고 있습니다.”-동여의도(증권사)에서 서여의도(국회)로 입성한 대표적 인물인데 정치권에 들어오니 그간 보지 못했던 한국 증권가의 특징이 보이나요.“증권업은 먼 미래보다 당장의 손익을 바라보기 때문에 단기적 시각이 주류를 이뤄요. 최근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의 열풍이 불고 있기는 하지만 그간 공공성에는 다소 소홀했다는 특징도 있죠. 저는 증권인 출신으로 국회에 입성했기 때문에 금융의 시각을 국회에 알려주는 역할을 하고 있어요. 국회는 증권가의 많은 아이디어를 가져와야 하죠. 반대로 증권가는 국회
2022.07.20 06:0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