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성기학 영원무역 회장, 투자 확대하며 해외 경쟁력 강화[2022 올해의 CEO]

    성기학 영원무역 회장은 1974년 창업 이후 단 한 번도 적자없이 견고한 성장을 이끌어 왔다. 특히 올해는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을 강화하며 업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해외 시장에서도 영향력을 제고하기 위해 나섰다.대표 성과는 ‘녹지 개발을 통한 온실가스 저감’이다. 방글라데시 치타공 소재 한국수출가공단지(KEPZ)에서는 20여 년 이상의 기간 동안 약 1157만248㎡(350만여 평)의 불모지에 수백여 종 200만 그루 이상 규모의 대형 조림 프로젝트를 통해 45만8678㎡(150만여 평)에 달하는 녹지를 개발했다.현지 민간 주도로는 최대 규모인 5억 갤런의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수역을 조성해 세계에서 손꼽히는 친환경 산업 단지를 만들었다. 그 결과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세계자유무역지대협약·세계은행 등 전 세계 20여 개 업체와 국제 기구의 관심을 받기도 했다. 이와 함께 성 회장은 적극적인 사회 환원 활동을 통해 더불어 살아가는 나눔의 미덕을 실천하고 있다. 사업장이 소재한 현지 국가와 지역의 장기적인 균형 발전을 도모했다. 국내외에 걸쳐 도움을 필요로 하는 이웃들을 위한 나눔 활동을 월드비전·국제적십자사 등의 국제 기구와 함께 오랜 기간 지속적으로 실천하고 있다. 생산 기지 다변화와 해외 시장 진출에도 적극적이다. 최근 인도에 약 1573억원 규모의 투자를 단행했다. 생산 기지 마련과 인도 내수 시장 진출을 위한 결정으로, 영원무역은 2019년 인도 텔랑가나 정부와 양해각서(MOU)를체결했고 2020년에는 인도 남부 텔랑가나 주 와랑갈 텍스타일 파크에 현지 법인을 설립했다. 전체 투자 규모는 1억2000만 달러(약 1573억원, 현재 기준) 규모다.

    2022.12.18 06:00:07

    성기학 영원무역 회장, 투자 확대하며 해외 경쟁력 강화[2022 올해의 CEO]
  • 하나금융 회장 후보군 확정…함영주·박성호 등 5명

    하나금융그룹 차기 회장 최종 후보군(숏리스트)이 28일 확정됐다.최종후보군에는 함영주 하나금융지주 부회장과 박성호 하나은행장, 윤규선 하나캐피탈 사장 등 내부 인사 3명과 이성용 전 베인앤드컴퍼니코리아 대표, 최희남 전 한국투자공사 사장 등 외부 인사 2명이 이름을 올렸다.회장후보추천위원회(회추위)는 “대표이사 회장 경영승계계획 및 후보 추천 절차에 따라 공정하고 투명하게 심의를 거쳐 하나금융그룹 회장 경영승계를 위한 최종 후보군을 내부 후보 3명, 외부 후보 2명 등 총 5명으로 압축했다”고 밝혔다.이어 “금융업의 경계가 무너지고 있는 변화와 도전의 시기에 안정적으로 하나금융그룹의 성장을 이끌면서 디지털 전환, 글로벌화, 환경·사회·지배구조(ESG) 등 그룹의 핵심 전략을 추진할 적임자들을 후보로 선정했다”고 부연했다.회추위는 이들 최종 후보군을 상대로 프리젠테이션 및 심층 면접을 거쳐 2월 말쯤 새 회장 후보를 단독 선출할 계획이다.김정태 현 하나금융그룹 회장은 오는 3월 정기 주주총회일에 임기가 종료된다. 김 회장이 최종 후보군에서 제외되면서 2012년 김 회장이 그룹 수장직에 오른 이후 10년 만에 하나금융 회장이 교체된다.김태림 기자 tae@hankyung.com 

    2022.01.29 11:51:33

    하나금융 회장 후보군 확정…함영주·박성호 등 5명
  • 미래에셋증권 회장에 최현만…전문경영인 회장 시대 열었다

    미래에셋증권은 최현만 수석부회장을 회장으로 승진시키는 인사를 단행했다고 6일 발표했다.최 회장은 미래에셋금융그룹 창업 멤버로 합류해 25년간 증권·운용·생명·캐피탈 등의 최공경영자(CEO)를 역임하며 그룹의 성장을 이끌어 왔다. 미래에셋을 독립 투자 전문 그룹으로 발전시키는 데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금융투자업계 최초로 전문경영인 회장이 됐다.최 회장은 2016년 이후 미래에셋증권과 대우증권의 통합을 진두지휘해 왔다. 금융투자업계 최초로 자기자본 10조원, 고객 예탁 자산 400조원, 2년 연속 영업이익 1조원 달성을 견인했다.미래에셋증권은 1999년 12월 자본금 500억원으로 설립한 이후 약 20년 만에 200배 성장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게 됐다. 한국 자본시장을 넘어 세계 자본시장에서 글로벌 투자은행(IB)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다.이번 승진 인사는 전문 경영자들이 회사를 이끌어 가는 역동적 문화를 가진 미래에셋을 만들어 가겠다는 박현주 미래에셋금융그룹 회장의 의지가 반영된 결정인 것으로 알려졌다.미래에셋금융그룹은 지난 11월 전면적 조직 개편을 통해 전문경영인 체제 구축을 본격화하고 성과 중심의 수평적 조직 문화를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담은 인사를 단행한 바 있다.미래에셋금융그룹 관계자는 “고객과 주주 가치를 우선에 둔 책임 경영을 통해 글로벌 사업환경 변화에 신속·유연하게 대응하며 글로벌 IB와 경쟁할 것”이라고 말했다.최은석 기자 choies@hankyung.com

    2021.12.06 17:05:12

    미래에셋증권 회장에 최현만…전문경영인 회장 시대 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