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정상화와 통화 긴축 전환에서 찾는 투자 기회
[베스트 애널리스트 투자 전략] 올해 상반기를 기점으로 예상보다 빨리 국내외 통화 정책 정상화 이슈가 부각됐다.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세계 경제는 대규모 금융 완화 기조와 경기 부양 정책 등에 힘입어 빠른 경기 회복 탄력을 나타냈다. 이에 따라 올 들어 인플레이션에 대비해 브라질과 러시아 등 일부 신흥국이 금리 인상에 나섰다. 2분기를 기점으로 캐나다 중앙은행의 자산 매입 축소와 국내 연내 금리 인상 시사 등으로 전 세계 통화 긴축 전환이 빨라지고 있다. 특히 미국 중앙은행(Fed)도 하반기 테이퍼링(양적 완화 축소) 논의를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이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예상보다 강한 세계 경제 경기 개선 탄력과 예상하지 못한 인플레이션 압력에 기인한다. 특히 지난해 말을 기점으로 세계적인 코로나19 재확산은 반대로 백신 접종의 가속화를 가져 왔고 이에 따라 올 상반기를 기점으로 선진국 중심의 코로나19 이후 일상으로의 회귀가 빨라지는 모습이다. 주요국 경기 부양책과 함께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며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도 높아졌다. 특히 미국 바이든 정권 출범과 함께 대규모 인프라 투자 계획 등이 인플레이션 우려를 가중시켰다. 이러한 경제 환경이 주요국으로 하여금 코로나19 당시 대규모 금융 완화 정책에 대한 정상화의 필요성을 높였다.특히 올해 하반기 전 세계 금융 시장에 가장 이슈가 되는 부분은 미국의 테이퍼링 논의다. 테이퍼링은 통화 정책에서 유동성 확대 규모를 점진적으로 줄여 가는 것으로 통화 긴축 전환에 앞선 예비 작업이다. 이는 2008년 미국 서브프라임 경제 위기 당시 대규모 유동성 확대 기조에
2021.08.02 06:00:07
-
고수익 채권 투자 기회, 中 하이일드에서 찾다
“가난한 사람들과 중산층은 돈을 위해 일한다. 그러나 부자들은 돈이 자신을 위해 일하게 만든다.” 지금으로부터 약 20년 전에 출간된 로버트 기요사키의 책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에 나오는 조언이다.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에서 저자는 대부분의 평범한 사람들이 근로소득으로 생활하고 남는 돈 일부를 저축하며 살아가지만 부자가 되기 위해서는 돈이 스스로 일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
2021.05.30 11:33:48
-
장기 금리 상승에도 여유로운 Fed…10년 저물가·저금리 시대 끝난다
[베스트 애널리스트 투자 전략]국내외 채권 금리가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미국 10년 금리는 연초 0.91%에서 3월 9일 기준 1.60%로 약 70bp(1bp=0.01%포인트) 급등했다. 국고 10년 금리도 연초 1.75%에서 2.04%까지 약 30bp 급등했다. 미국 중앙은행(Fed) 위원들은 미국의 실업률과 물가 수준을 감안하면 기준 금리 인상 시점이 아직 멀었다고 밝히며 금리 인상이나 테이퍼링(양적 완화 축소) 가능성을 일축하고 있지만 채권 시장은 높아질 인플레이션을 우려하며 장기 금리에 인플레 기대를 반영하고 있다.미 10년 금리가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주식 시장은 기술주를 중심으로 조정을 받았다. 나스닥지수는 고점 대비 10% 정도 하락했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지수는 약 5% 하락했다. 장기 금리 하락이 주가 하락을 촉발하자 일부 시장 참여자들 사이에서는 Fed가 장기채 매입 등을 통해 채권 금리를 안정시켜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그런데 어찌된 일인지 금리 급등을 바라보는 Fed의 시각은 시장보다 훨씬 차분해 보인다. “장기 금리 상승은 경기와 물가를 반영한 자연스러운 현상이고 인위적 개입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는 것이 Fed 내의 대체적인 시각이다.과거를 돌아보면 Fed는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하거나 경기가 둔화할 때 기준 금리를 낮추거나 장기채를 매입해 금리를 낮추는 방법으로 대응해 왔다. 명목 금리를 인플레이션보다 낮게 낮춤으로써 실질 금리를 마이너스 상태로 유지시키고 이를 통해 경제 주체들의 인플레 기대 심리를 자극해 결국 소비와 투자를 회복시킨다는 계획이었다(명목금리=실질금리+인플레이션 기대). 하지만 결과적으로 Fed가 목표로 했던 2%의 인플레는 현실화하지 못했고
2021.03.15 07:31:27
-
회사채 시장, ESG 채권 중심으로 강세 기조 이어 간다
[베스트 애널리스트 투자 전략] 백신 접종과 글로벌 경기 부양책에 대한 경기 회복 기대가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위험 자산 선호 심리가 심화되고 있다. 상대적으로 대표적 안전 자산인 채권 시장은 약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최근 인플레이션 가능성을 반영해 글로벌 채권 금리가 장기 구간을 중심으로 상승하고 있다. 이처럼 금리 상승에 따른 채권 시장 약세 기조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전반적으로 채권 투자 심리가 위축되는 ...
2021.03.02 08: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