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제로 코로나' 후유증 겪는 중국 경제 [글로벌 현장]

    [글로벌 현장]중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부채 비율이 또다시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지방 정부의 ‘숨겨진 채무’가 반영되는 기업 부채 비율이 큰 폭으로 뛰었다.중국 국가금융발전연구소(NIFD)에 따르면 중국의 지난 1분기 말 GDP 대비 총부채 비율은 281.8%로 집계됐다. 이전 고점인 작년 말의 273.1%에서 8.7%포인트 급등했다. 중국의 부채 비율은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유행) 초기인 2020년 9월 말 271.1%로 올라갔다가 2021년 말 262.8%까지 떨어졌다. 하지만 그 이후 5분기 연속 뛰었다.특히 지난 1분기 부채 비율 상승 폭 8.7%포인트는 코로나19 초기인 2020년 1분기의 14.3%포인트 이후 최대다. 지난 4개 분기 평균인 2.6%포인트의 세 배가 넘는다. ‘제로 코로나’ 해제 이후 경기 회복을 기대한 대출과 채권 발행 등이 많이 늘어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중국 부동산을 중심으로 한 내수 침체가 지속되면서 이런 부채 증가는 향후 더 큰 부담으로 돌아올 것으로 보인다. 3대 경제 주체 부채 비율 ‘최고’ 정부(51.5%), 가계(63.3%), 기업(167.0%) 등 3대 경제 주체의 부채 비율이 모두 사상 최고치를 나타냈다. 특히 기업 부채 비율은 1~3월 6.1%포인트 뛰었다.중국의 기업 부문 부채 비율은 이른바 ‘숨겨진 채무’ 때문에 다른 국가들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의 2021년 기준 각국의 기업 부채 비율은 미국 81%, 한국 113%, 일본 118% 등이다. 중국의 기업 부채 비율은 1인당 GDP가 비슷한 멕시코(24%), 튀르키예(74%), 말레이시아(77%) 등에 비해선 두 배 이상이다.중국의 부채 비율은 중앙 정부가 21.4%, 지방 정부가 30.1% 등으로 양호한 편이다. 미국(115%), 일본(221%), 한국(45%), 멕시

    2023.06.09 06:00:31

    ‘제로 코로나' 후유증 겪는 중국 경제 [글로벌 현장]
  • 기대만큼 크지 않았던 중국의 리오프닝 효과 [글로벌 현장]

    [글로벌 현장] 중국의 리오프닝(경제 활동 재개)이 세계 경제에 주는 활력이 기대만큼 크지 않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중국이 성장 동력으로 내세운 소비가 내수 서비스업에 쏠리고 있기 때문이다. 막대한 부채, 부동산 시장 침체 등으로 인해 중국 자체 경제도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당시에 보여 줬던 성장세를 재현하기 어려울 것이란 진단이다. 중국 에너지 수입, 글로벌 인플레 자극국제통화기금(IMF)은 중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5.2%로 제시했다. 미국(1.4%)이나 유로화 사용 20개국(유로존·0.7%)을 크게 웃도는 수치다. 하지만 중국의 수출과 수입은 지난해 12월까지 3개월 연속 전년 동월 대비 감소했다. 중국 지도부도 올해 경제 성장의 최대 동력으로 내수 소비를 제시했다.프레드릭 노이만 HSBC 아시아 담당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중국 경제가 올해 강하게 회복되겠지만 세계에 미치는 영향은 예전과 다를 것”이라고 예측했다. 중국 경기 반등이 자국 내 여행이나 오락 등 서비스 소비에 집중돼 해외에 미치는 효과가 작을 것이란 설명이다.과거 중국은 경기가 하강하면 인프라·주택·공장 등에 돈을 쏟아부었다. 독일 기계 업체, 남미의 구리 광산, 일본의 굴착기 업체, 호주의 석탄 광산 등이 그 수혜를 봤다. 글로벌 금융 위기 당시인 2009년에도 중국은 9.4% 성장률을 기록했다. 4조 위안(약 744조원)에 달하는 대규모 부양책이 성장을 이끌었다.하지만 현재 중국은 예전과 달리 부채 부담 때문에 대규모 부양책을 내놓기 어려운 상황이다.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부채 비율은 지난해 말 273.2%로 역대 최고점을 찍었다. 이 비율은 2008년 말 141.2%에서 2010년 말 180.

    2023.02.24 06:00:06

    기대만큼 크지 않았던 중국의 리오프닝 효과 [글로벌 현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