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네시스, 폼 미쳤다" 8월 미국 판매 전년 같은 달 대비 26.5% 증가
현대자동차·기아의 8월 미국 시장 판매량이 전년 대비 6% 증가하며 순항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하이브리드카와 전기차 등 친환경차, 레저용 차(RV), 제네시스 등 고부가가치 차종 중심으로 성장세가 이어졌다.4일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현대차·기아의 8월 미국 시장 판매대수는 14만3646대로 전년 동월 대비 6% 늘었다. 세부적으로 현대차(제네시스 포함)가 7만1499대를 팔아 3% 증가했고, 기아는 7만2147대로 집계돼 작년 보다 9.2% 성장했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친환경차와 제네시스 등 고급차, RV가 판매 확대를 견인했다“고 말했다.현대차·기아가 8월 미국 시장에서 판 친환경차는 2만7900대로 월간 기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전년 동월과 비교해선 87.1% 증가한 수치다. 특히 이 가운데 전기차 판매대수는 1만1267대로 집계돼 기존 기록을 깨고 역대 최고치를 새로 썼다. 아이오닉5(3572대), EV6(2449대), 아이오닉6(1663대), 니로EV(1621대), 코나 일렉트릭(1439대) 순으로 판매량이 많았따.제네시스 브랜드도 8월 6453대를 팔아 전년 동월과 비교해 26.5% 증가했다. 특히 7월에 이어 2개월 연속 월간 최다 판매 기록을 올렸다. 차종별로는 미국 공장 현지생산 영향으로 공급확대된 GV70이 2451대를 기록했고 GV80 1938대), G70(1394대) 등도 판매 호조세가 지속됐다.이홍표 기자 hawlling@hankyung.com
2023.09.04 15:51:28
-
제네시스, 아우디·벤츠까지 제쳤다...비교 평가서 ‘최고 점수’
현대자동차 고급 브랜드 제네시스의 스포츠유틸리티차(SUV) GV70 전동화 모델이 독일 자동차 전문지 비교 평가에서 아우디, 벤츠 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다.26일 업계에 따르면 아우토빌트가 최근 GV70 전동화 모델, 아우디 Q8 e-트론, 벤츠 EQE SUV 등 3개 차종을 비교평가한 결과, GV70 전동화 모델이 '우수한 전동화 시스템과 최고의 품질을 갖춘 차' 평가를 받으며 1위에 올랐다.아우토빌트는 독일의 3대 자동차 매거진으로 꼽힌다.이번 비교평가는 바디, 편의성, 파워트레인, 주행성능, 커넥티비티, 친환경성, 경제성 등 7가지 부문에서 이뤄졌다.GV70 전동화 모델은 이 가운데 파워트레인, 친환경성, 경제성 등 3개 항목에서 1위를 차지했다.총 점수는 603점으로, 574점을 받은 아우디 Q8 e-트론과 570점을 받은 벤츠 EQE SUV를 제쳤다.특히 GV70 전동화 모델은 전기차의 핵심 경쟁력으로 꼽히는 파워트레인 항목에서 우수한 주행 성능을 갖춘 PE(파워 일렉트릭) 시스템, 빠른 충전 속도 등을 인정받으며 최고 점수인 103점을 받았다.또 환경기술, 외부 소음 등을 평가하는 친환경성 항목, 유지보수, 보증 등으로 구성된 경제성 항목에서도 각각 최상위 점수인 80점과 79점을 받았다.GV70 전동화 모델은 최대 출력 320㎾(부스트 모드 시 360㎾), 최대 토크 700Nm의 동력성능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77.4㎾h(킬로와트시) 배터리를 탑재해 1회 충전 시 최대 400㎞ 주행이 가능하다.김정우 기자 enyou@hankyung.com
2023.06.26 16:39:24
-
현대차·기아·제네시스, ‘레드 닷·카 디자인 어워드’ 5관왕
현대자동차그룹은 현대자동차·기아·제네시스 브랜드가 세계적 디자인 상인 ‘레드닷 어워드’와 ‘카 디자인 어워드’에서 5개 상을 수상했다고 24일 밝혔다.독일 노르트라인 베스트팔렌 디자인센터가 주관하는 2023 레드닷 어워드에서 현대차의 디 올 뉴 그랜저는 수송 디자인 부분, 이피트(E-pit) 전기차 초고속 충전기는 도시 디자인 부문 본상 수상작으로 각각 선정됐다.현대차그룹에 따르면 디 올 뉴 그랜저는 ‘끊김없이 연결된 수평형 LED 램프’와 함께 과거 그랜저를 현대적 감각으로 계승하며 플래그십(기함급) 세단 이미지를 충실히 구현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E-pit 충전기는 ‘인간 중심’이라는 주제로 고객을 최우선으로 고려한 디자인이란 점이 점수가 좋았다. 기아의 니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와 제네시스의 플래그십 모델 G90은 디자인 부문 본상을 받았다. 니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는 기아의 브랜드 디자인 철학 ‘오퍼짓 유나이티드’가 적용돼 창의적이며 세련된 디자인을 완성하면서 친환경 디자인과 소재를 접목한 독창성을 인정 받았다.G90은 ‘역동적 우아함’이라는 제네시스의 디자인 정체성이 반영된 외관으로 같은 부문에서 본상을 수상했다. 제네시스 브랜드 최초의 컨버터블(지붕이 열리는 차량) 콘셉트카 엑스(X) 컨버터블은 이탈리아 자동차 전문지 ‘오토 앤드 디자인’이 주최하는 카 디자인 어워드 2030에서 올해의 콘셉트카로 선정되기도 했다.김태림 기자 tae@hankyung.com
2023.04.24 11:57:33
-
현대차그룹, 24조 통큰 투자로 전기차 톱3 목표
현대차그룹이 2030년까지 한국 전기차 분야에 24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 2030년 순수 전기차만 연간 364만 대를 생산해 ‘글로벌 톱3’ 전기차 회사로 거듭나겠다는 전략이다.현대차그룹은 경기 화성시 기아 공장에서 4월 11일 윤석열 대통령,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송호성 기아 사장 등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첫 전기차 전용 공장 기공식을 열었다. 이 공장은 현대차그룹이 29년 만에 한국에 건설하는 완성차 제조 공장이자 세계 최초 목적 기반 차량(PBV) 전용 공장이다. PBV는 전자 상거래·물류·셔틀 등 다양한 상업 목적으로 사용되는 차를 뜻한다.기아는 이 공장에서 연간 최대 15만 대 수준의 생산 능력을 확보한 뒤 이를 점차 늘려 나갈 계획이다. 2025년 선보일 중형급 PBV가 첫 양산 제품이 될 것으로 보인다.현대차그룹은 2030년까지 한국 전기차 분야에 24조원을 투자하겠다는 계획도 내놓았다. 지난해 밝힌 투자액(21조원)보다 3조원 증액됐다. 한국 전기차 생태계를 고도화하고 글로벌 미래차 산업 혁신을 선도할 허브 역할을 강화하려는 전략이다. 이를 통해 현대차그룹은 2030년까지 한국 전기차 연간 생산량을 151만 대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생산량의 60%인 92만 대는 수출한다.전기차 글로벌 판매량 3위권에 진입하겠다는 청사진도 발표했다. 현대차그룹은 2030년 글로벌 전기차 생산량을 기존 323만 대에서 364만 대로 12.7%, 내수 생산량은 144만 대에 151만 대로 4.8% 각각 상향 조정했다. 지난해 창사 이후 최초로 글로벌 완성차 판매 3위에 오른 데 이어 전기차 분야에서도 주도권을 잡겠다는 구상이다. 김영은 기자 kye0218@hankyung.com
2023.04.14 14:35:08
-
현대차그룹, 美 자동차 어워드 싹슬이
[비즈니스 플라자]현대자동차그룹이 미국 유력 자동차 전문지의 어워드에서 그룹 사상 가장 많은 상을 받았다.현대차그룹은 카앤드드라이버가 발표한 ‘에디터스 초이스 어워드’에서 현대차 8개, 기아 9개, 제네시스 6개 등 총 23개 차종이 수상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고 2월 23일 밝혔다. 이는 현대차그룹 역사상 최다 수상 기록이다.카앤드드라이버는 1955년 창간된 자동차 전문지로, 전문 에디터들이 미국 시장에 판매되는 신차를 평가해 ‘에디터스 초이스’라는 이름으로 차급과 부문별 수상 모델을 발표한다. 올해 어워드는 400종 이상의 차량을 대상으로 평가가 이뤄졌다.브랜드별로 현대차는 코나·투싼·팰리세이드·싼타페·싼타크루즈·아이오닉 5·엘란트라 N·쏘나타 등 8개 차종이 수상했다.기아는 쏘울·스포티지·쏘렌토·텔루라이드·EV6·카니발·리오·니로 하이브리드·K5 등 9개 차종이 이름을 올렸다.제네시스는 GV60·GV70·GV80·G70·G80·G90가 상을 받았다.지난 1월 발표된 카앤드드라이버 ‘베스트10 트럭 앤드(&) SUV’에도 현대차 아이오닉 5, 기아 EV6, 기아 텔루라이드, 제네시스 GV70가 포함되는 등 북미 시장에서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다.미국 시장 내 존재감도 높아지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미국에서 지난해 연간 147만4224대를 판매했고 지난 1월에는 작년 동월보다 14.7% 증가한 10만7889대를 팔았다.김영은 기자 kye0218@hankyung.com
2023.02.24 07:00:06
-
그때 그 시절 거리를 활보한 명차들 [놓치지 말아야할 한경비즈니스-2]
[스페셜 리포트] 제네시스에 담긴 축적의 시간, 한국 자동차 60년한경비즈니스는 1년에 두 번 합본호를 냅니다. 설날과 추석 2주치를 한꺼번에 낸다는 말입니다. 기자들은 이때 약간은 숨을 돌릴 여유를 갖습니다. 물론 온라인 기사도 써야 하기 때문에 마냥 맘이 편할수 만은 없지만요. 이 정도로는 좀 아쉽다는 독자분들이 계셨습니다. 그래서 한경비즈니스 편집진은 올해 썼던 기사 가운데 ‘시간의 간섭’을 받지 않는 기사들을 추려봤습니다. 공부해두거나 읽어두면 상식이 되거나, 트렌드를 이해할 수 있는 12개의 기사입니다. 이를 한곳에 정리했습니다. 연휴 기간 영상에서 벗어나 활자의 세계로 눈을 돌린 독자분들께 작은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편집자 주>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으로 올라설 확률은 얼마나 될까. 엄청나게 낮다는 것을 한국이 보여줬다. 2021년 7월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가 ‘회원국 만장일치 합의’로 한국의 지위를 개발도상국 그룹에서 선진국 그룹으로 변경했다. UNCTAD가 1964년 설립된 이후 개도국에서 선진국 그룹으로 지위를 변경한 것은 한국이 처음이다. 한국이 선진국의 반열에 오르기까지 큰 축을 담당했던 산업으로 자동차 산업을 꼽을 수 있다. 자동차 산업은 전후방 연관 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많은 일자리를 만들고 소득도 늘었다. 2022년 전국 자동차 등록 대수는 2500만 대를 돌파했다. 인구 2명당 자동차 1대를 보유하고 있는 셈이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올해 상반기 판매량이 일본 도요타, 독일 폭스바겐 다음인 3위에 올랐다. 2010년 글로벌 5위를 달성한 지 12년 만이다. 빛나는 현재가 있기까지 정부와 기업의 뼈를 깎는 노력이 있었다. 이 과
2023.01.22 05:42:04
-
“운전자 얼굴 알아본다”…달라진 제네시스 ‘2023 GV60’ 가격은?
제네시스 전용 전기차 ‘GV60’ 연식변경 모델에 운전자의 얼굴을 알아보고 문을 열어주는 기능이 추가된다. 제네시스는 ‘2023 GV60’를 12월 16일 출시하고 본격적인 판매에 돌입했다. 2023 GV60에 고객 만족도가 높은 고급 사양을 기본화하고 새로운 사양을 추가했다.우선 사람과 차량을 교감할 수 있게 해주는 혁신 기술인 페이스 커넥트를 전체 트림에 기본으로 적용했다. 페이스 커넥트는 차량이 운전자 얼굴을 인식해 키 없이도 차량 도어를 잠금 및 해제할 수 있는 기능이다. 도어핸들 터치 후 차량 B필러에 카메라에 얼굴을 인식시켜 사용할 수 있다.또 제네시스는 2023 GV60에 배터리 전원을 이용해 외부 전자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실내 V2L과 배터리 관리 시스템(BMU) 무선(OTA) 업데이트 기능을 기본화했다. 무드램프와 연계된 풋램프를 통해 자연스럽고 아늑한 공간을 연출한 것도 이번 모델의 특징이다.퍼포먼스 모델에는 엔진과 변속기가 장착된 듯한 느낌을 전달하는 가상 변속 기능 VGS(Virtual Gear Shift)가 기본으로 들어갔다. VGS는 모터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을 기반으로 가상의 변속감, 변속 사운드, rpm 변화 등을 발생시킨다.2023 GV60의 판매 가격은 세제 혜택 후 △스탠다드 후륜 모델 6493만원 △스탠다드 사륜 모델 6836만원 △퍼포먼스 모델 7406만원이다.제네시스 관계자는 “이번 2023 GV60는 더 많은 고객들이 차량과 교감할 수 있는 혁신 기술을 경험할 수 있게 상품성을 강화했다”며 “앞으로도 럭셔리 전기차 GV60를 통해 차별화된 감성을 제공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제네시스 GV60는 지난 10월 미국 고속도로안전보험협회(IIHS)가 발표한 충돌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톱
2022.12.17 06:00:04
-
현대차, ‘제네시스 정체성’ 이끈 동커볼케 사장 승진
현대자동차그룹이 최고창조책임자(CCO) 루크 동커볼케 부사장을 사장으로 승진시키는 등 대표이사와 사장단 인사를 단행했다. 글로벌 경영 환경의 불확실성 장기화에 대비한 위기 대응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성과 기반의 핵심 인재 발탁과 함께 미래 모빌리티 전략 컨트롤타워를 신설한 것이 핵심이다. 벤틀리 수석디자이너 출신인 동커볼케 사장은 2016년부터 현대차그룹에 합류해 현대차와 기아, 제네시스 차량 디자인과 미래 항공 모빌리티(AAM) 같은 미래 모빌리티 관련 고객 경험 디자인을 이끌어 왔다. 선행 디자인, 콘셉트 디자인을 통해 현대차·기아·제네시스의 정체성과 지향점을 명확히 하는 작업을 지휘했다. 미국 뉴욕에 설치된 ‘제네시스 하우스 뉴욕’ 같은 창의적인 프로젝트를 총괄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현대차그룹의 외국인 사장은 호세 무뇨스 현대차 글로벌 최고운영책임자(COO)와 동커볼케 사장 등 2명이 됐다. 현대글로비스 대표이사에는 재무, 해외 판매, 프로세스 혁신 등 다양한 경험과 글로벌 역량을 보유한 현대차 프로세스혁신사업부의 이규복 전무를 부사장으로 승진, 내정했다.이규복 부사장은 유럽 지역 판매법인장과 미주 지역 생산법인 최고재무책임자(CFO)를 경험한 재무, 해외 판매 기반의 전략 기획 전문가다. 수익성 중심 해외 권역 책임 경영 체제의 기틀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최근에는 현대차그룹의 지속 가능한 미래 성장을 위한 프로세스 전반의 혁신을 담당해 왔다.현대차그룹은 핵심 사업 간 연계 강화를 통한 미래 모빌리티 그룹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해 글로벌 전략 오피스(GSO)도 신설하기로 했다. GSO 각 부문의 인사와
2022.12.02 08:03:21
-
GV60, 美 IIHS 충돌평가 최고 등급…제네시스 전 차종 ‘안전 입증’
제네시스의 첫 전기차 전용 모델 GV60이 미국 충돌평가에서 최고 등급을 얻었다.제네시스는 미국 고속도로 안전보험협회(IIHS)가 27일(현지시각) 발표한 충돌평가에서 GV60이 최고 등급인 ‘톱 세이프티 픽 플러스(TSP+)’를 획득했다고 28일 밝혔다.IIHS는 1959년 설립된 비영리단체다. 매년 미국 시장에 출시된 차량의 충돌 안전 성능 및 충돌 예방 성능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결과를 발표한다.특히 2012년부터 차량 전면부 일부만 충돌시켜 안전성을 평가하는 스몰 오버랩 테스트를 도입하는 등 세계에서 가장 엄격한 신차 안전성 평가로 꼽힌다.최고 안전성을 나타낸 차량에는 TSP+ 등급을, 양호한 수준의 성적을 낸 차량에는 TSP 등급을 매긴다.TSP+ 등급을 받기 위해서는 △운전석 스몰 오버랩 △조수석 스몰 오버랩 △전면 충돌 △측면 충돌 △지붕 강성 △머리지지대 등 6개 충돌 안전 항목 평가에서 모두 최고 등급인 ‘훌륭함(good)’ 등급을 받아야 한다.또 전방 충돌방지 시스템 테스트에서 ‘우수함(advanced)’ 이상의 등급을, 전체 트림의 전조등 평가에서 ‘양호함(acceptable)’ 이상의 등급을 획득해야 한다.GV60는 6개 충돌 안전 항목과 전 트림 전조등 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훌륭함’을 받았다. 전방 충돌방지 시스템 평가에서도 시속 40km 이내 차대차 충돌은 물론 보행자를 효과적으로 감지해 사고를 방지한다고 평가받으며 가장 높은 등급인 ‘탁월함(superior)’을 획득했다.GV60에는 △차로 이탈방지 보조 △지능형 속도 제한 보조 △운전자 주의 경고 △하이빔 보조 △후측방 충돌방지 보조 △후방 교차 충돌방지 보조 △고속도로 주행 보조 등 다양한 첨단 주행안전보조 기능
2022.10.29 06:00:10
-
기술 구걸하던 현대차, 독일 명차들과 맞짱 [환갑 맞은 K-자동차①]
[스페셜 리포트] 제네시스에 담긴 축적의 시간, 한국 자동차 60년‘제네시스가 벤츠·BMW·아우디의 경쟁자가 됐다.’불과 10년 전만 해도 상상도 못했던 일이 벌어지고 있다. 약간의 과장이 있을 수 있겠지만 현대자동차의 고급차 브랜드 제네시스가 선택의 목록에 포함됐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자동차 커뮤니티에는 ‘독일차 비싸게 주고 살 바에 제네시스 풀옵션을 사겠다’는 글들이 심심치 않게 올라오고 있다. 단순 통계만으로 우위를 판단하기 힘들지만 판매량도 만만치 않다. 제네시스는 2년 연속 한국 자동차 시장에서 벤츠·BMW·아우디 등 ‘독일 3형제’의 판매량을 압도했다. 2021년 벤츠와 BMW의 한국 판매량은 각각 7만6152대와 6만5669대로, 제네시스 내수 판매량(13만8757대)의 절반에 그쳤다. 아우디는 2만5615대로 제네시스 판매량의 6분의 1 수준에 불과했다.고급차의 선택 기준은 다양하다. 디자인·가격·성능 등과 함께 브랜드 파워도 중요한 기준이 되고 있다. 2000년대 초 미국 자동차가 한국에서 팔리지 않은 것도 이 영향이 컸다. 한국에서 자동차는 단순한 이동 수단이 아니다. 자신의 지위를 보여주는 수단이라는 인식이 컸기 때문에 브랜드가 중요했다. 고급차 경쟁에서 제너럴모터스(GM)의 캐딜락·포드·크라이슬러가 독일 3사와 렉서스에 밀릴 수밖에 없었던 이유다. 제네시스는 이 고급 브랜드 경쟁에서 한 자리를 차지한 첫째 국산차가 됐다는 점에 많은 전문가들이 동의하고 있다. 가장 비싼 G90의 선전 제네시스가 처음 나올 당시인 2008년만 해도 제네시스를 벤츠, BMW와 비교하는 사람은 없었다. 아무리 제네시
2022.09.24 06:00:11
-
그때 그 시절 거리를 활보한 명차들 [환갑 맞은 K-자동차②]
[스페셜 리포트] 제네시스에 담긴 축적의 시간, 한국 자동차 60년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으로 올라설 확률은 얼마나 될까. 엄청나게 낮다는 것을 한국이 보여줬다. 2021년 7월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가 ‘회원국 만장일치 합의’로 한국의 지위를 개발도상국 그룹에서 선진국 그룹으로 변경했다. UNCTAD가 1964년 설립된 이후 개도국에서 선진국 그룹으로 지위를 변경한 것은 한국이 처음이다. 한국이 선진국의 반열에 오르기까지 큰 축을 담당했던 산업으로 자동차 산업을 꼽을 수 있다. 자동차 산업은 전후방 연관 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많은 일자리를 만들고 소득도 늘었다. 2022년 전국 자동차 등록 대수는 2500만 대를 돌파했다. 인구 2명당 자동차 1대를 보유하고 있는 셈이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올해 상반기 판매량이 일본 도요타, 독일 폭스바겐 다음인 3위에 올랐다. 2010년 글로벌 5위를 달성한 지 12년 만이다. 빛나는 현재가 있기까지 정부와 기업의 뼈를 깎는 노력이 있었다. 이 과정에서 우여곡절도 많았다. 히트작을 내놓았지만 과도한 투자로 흡수된 기업이 있었고 시장 진입에 가로막혀 너무 늦게 출발하다가 결국 손을 뗀 기업도 있었다.자동차는 한국인들에게 단순한 이동 수단 그 이상의 가치가 있었다. 집에 이은 둘째로 큰 자산이었고 자신의 부를 보여주는 수단과도 같았다. 대형 차를 좋아하는 특징이 생긴 배경이다. 1960~1970년대에는 자동차를 산 후 온 가족이 울산에 있는 공장에 내려가 하룻밤을 자고 차를 받아 오는 일이 흔했다. 한 시대를 풍미한 모델들을 따라가며 한국 자동차 역사를 들여다봤다.◆1950~1970년대시발부터 포니까지1950년대 거리는 한산했다. 예약제로 운영
2022.09.24 06:00:10
-
[EDITOR's LETTER] 제네시스 그안에 담긴 축적의 시간…독일차와 경쟁하는 첫 국산차로
[EDITOR's LETTER]아나크로니즘(anachronism). 가장 좋아하는 예술 용어입니다. 한글로 번역하면 ‘시대착오’라고 합니다. 하지만 이 번역에는 단점이 있습니다. 긍정적 함의가 없습니다. 개인적 해석은 ‘작품에 녹아 있는 시간들’ 정도가 아닐까 합니다. 위대한 작품 안에 여러 시간대가 뒤섞여 있다는 말입니다. 작품이 만들어진 과거, 우리 앞에 작품이 있는 현재, 그 사이를 이어 주는 긴 시간 등입니다. 전문가들이 가장 위대한 그림으로 꼽은 벨라스케스의 ‘시녀들(라스 메니나스)’을 예로 들어볼까요. 스페인 프라도 미술관에 있는 이 그림이 눈 앞에 있다고 상상해 보시죠. 보고 있는 이 시간은 현재입니다. 이 그림이 그려진 것은 1656년, 과거입니다. 이후 365년간 이뤄진 수많은 지적이고 감성적 해석이 이 작품에는 녹아 들어가 있습니다. 이 수수께끼 같은 그림에 논쟁을 불러일으킨 대표적 인물이 미셸 푸코입니다. 저서 ‘말과 사물’ 발문으로 시녀들을 끌어들입니다.대략 이런 내용입니다. 이 그림은 누구를 위해 그렸을까. 왕의 서재에 걸리기 위해 그려진 그림입니다. 궁중화였지요. 하지만 푸코는 말과 사물에서 오늘날처럼 미술관에 걸려 있어 많은 관람자가 보는 상황으로 해석했습니다. 궁정화라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무시한 겁니다. 그 작품이 그려진 시대의 관점에서 해석하지 않고 사람들 앞에 전시된 시점을 기준으로 해석했다는 얘기입니다. 푸코는 이를 근거로 이 그림에는 회화의 세 가지 요소인 화가·모델·관객이 모두 두 겹으로 그려져 있다며 이를 ‘고전주의식 재현의 재현’이라고 결론 내립니다. 프랑스 예술사가 다니엘
2022.09.24 06:00:03
-
서울반도체, '제네시스 G90' 살균 나선다…'바이오레즈' 적용
서울반도체가 제네시스 차량에 자사 살균 기술을 적용했다. 15일 서울반도체는 UV-C 살균 기술 '바이오레즈'가 제네시스 G90 모델 수납함에 적용됐다고 밝혔다. G90 뒷좌석에는 탑승자의 소지품을 살균할 수 있도록 암레스트 수납공간 내부에 UV-C LED 램프를 장착했는데, 여기에 서울반도체의 '바이오레즈' 기술이 적용됐다.서울반도체 측은 "모델에 따라 6개 또는 12개의 LED가 내부에 장착되며, 뚜껑을 닫았을 때 개인 소지품의 유해균(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폐렴간균)을 10분 내 최대 99.9%까지 살균한다"라고 설명했다. 다만, 이 결과는 국제인증기관 인터텍의 검증을 받은 현대자동차 제시 시험 결과 기준이며, 실제 사용 환경에 따라 결과는 다를 수 있다.‘바이오레즈’는 서울반도체의 자회사인 서울바이오시스가 세계 최초로 개발, 양산하는 특허 기술로 살균 기능을 가진 자외선(UV) LED를 응용해 세균과 바이러스의 증식을 방지한다.서울반도체 관계자는 "제네시스 최고급 세단에 바이오레즈 기술이 적용된 UVC-LED를 공급해 기쁘다"라며 "자체 자동차 공기·표면 살균실험실을 운영하며 UV LED 살균 기술 발전에 최선을 다하는 만큼 '바이오레즈' 기술은 앞으로 자동차 실내 헬스케어 시장을 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최수진 기자 jinny0618@hankyung.com
2022.09.15 13:54:57
-
제네시스 ‘신기술 만족도’ 캐딜락‧벤츠‧볼보‧BMW 제쳤다
현대자동차그룹이 신차 첨단 기술 만족도 조사에서 최상위 순위를 달성했다.미국의 시장조사기관 제이디파워는 25일(현지시간) ‘2022 미국 기술 경험 지수 조사(TXI)’에서 제네시스가 캐딜락(584점), 벤츠(539점), 볼보(526점), BMW(516점) 등 유수의 완성차 브랜드를 제치고 643점으로 전체 1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현대자동차와 기아도 일반 브랜드에서 각각 1위와 2위에 올랐다.TXI 조사는 2022년형 신차 모델을 구입하고 90일 이상 소유한 8만여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올해 2월부터 5월까지 진행됐다. 해당 조사는 차량의 △편의성 △최신 자동화 기술 △에너지 및 지속가능성 △인포테인먼트 및 커넥티비티 등 4가지 카테고리에 포함된 35개 기술에 대한 만족도를 1000점 척도로 묻는 고객 설문을 통해 각 브랜드의 신기술 혁신 수준과 사용 편의성을 평가한다.특히 TXI 조사는 제이디파워사의 주요 조사로 꼽히는 신차 품질 조사와 상품성 만족도 조사의 보완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제네시스는 최고 점수인 643점을 획득, 전체 및 럭셔리 브랜드 순위에서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1위에 올랐다. 전체 업계 평균인 486점을 크게 웃돌았다.현대자동차는 534점을 받아 럭셔리 브랜드를 제외한 일반 브랜드에서 3년 연속 1위를 기록했다. 전체 브랜드 순위에서도 볼보, BMW 등 고급 브랜드를 제치고 4위에 등극했다.기아는 일반 브랜드에서 현대자동차 뒤를 이어 495점으로 2위에 올랐다.리키 라오 현대자동차 북미권역본부 제품기획담당은 “고객의 요구에 맞는 첨단 기술을 제공하기 위해 제품 개발과 딜러 교육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고객이 혁신 기술을 친숙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2022.08.27 06:00:09
-
NIGHT IN SEOUL
열대야로 잠 못 이루던 어느 여름밤, 무작정 차에 올라 타고 서울을 누볐다. GENESIS GV60GV60은 제네시스가 현대자동차그룹의 전기자동차 전용 플랫폼인 E-GMP로 만든 첫 번째 전기차다. 현대차 아이오닉 5, 기아 EV6와 동일한 플랫폼으로 만들었지만 한 단계 강력하고 고급스럽게 만들었다. 파워부터 다르다. 아이오닉5나 EV6가 최고 325마력 정도를 내는 데 반해 GV60 퍼포먼스 모델은 430마력의 성능을 발휘한다. 여기에 부스트 모드도 달았다. 운전대 하단의 동그란 버튼을 누르면 10초간 출력이 급증해 4초 만에 시속 100km에 도달한다. 부스트 버튼은 연속 사용이 가능하다. 반면 실내에는 최첨단 기술이 가득하다. 이를테면 키가 없어도 운전자의 얼굴을 인식해 문을 열어주고, 지문으로 시동을 걸 수 있다. 가장 눈에 띄는 건, 구(球)로 된 전자식 변속기. 시동이 꺼져 있을 땐 무드등 역할을 하다가 시동을 걸면 회전하면서 변속기가 나타난다. 차체 대비 넓은 실내 공간도 장점으로 휠베이스(앞뒤 바퀴 사이 거리)길이가 GV80과 비슷한 수준이다. LEXUS LC500 Convertible섹시하고 관능적이다. ‘LC500 컨버터블’은 렉서스 역사상 가장 섹시한 모델로 평가받는다. 특히 쿠페처럼 낮게 자리한 전면의 펜더와 예리한 조각도로 파낸 듯한 측면 디자인이 강렬한 인상을 전한다. 강렬하기로는 보닛 안에 품은 엔진도 마찬가지. 5.0리터 자연 흡기 V8 가솔린 엔진과 10단 자동변속기가 맞물려 최대 출력 477마력, 최대 토크 55.1kg·m의 강력한 힘을 뿜어낸다.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 달리는 데 필요한 시간은 고작 4.6초. 박력 넘치는 배기음이 질주 본능을 자극한다. 지붕에는 천과 흡음재 등 4중 구조로 설계한 소
2022.08.02 14:07:15